NAVER

질문 조상들이입던옷
sung**** 조회수 2,869 작성일2008.03.26

옛날조상들이입던옷과만드는법 음식도마찬가지

프로필 사진

답변자님,

정보를 공유해 주세요.

5 개 답변
1번째 답변
프로필 사진
ethn****
수호신
세계사 24위, 한국사 70위, 사회학 14위 분야에서 활동
본인 입력 포함 정보
옛 조상들이 입었는 옷의 종류와 그 쓰임새.

★ 조상들이 여름에 입던 옷

* 주요 옷감 : 삼베, 모시
* 삼베와 모시가 여름옷감으로 좋은점
- 옷감에 구멍이 촘촘히 나 있어 시원하다.
- 통풍이 잘 된다.
- 옷감이 살갗에 달라붙지 않는다.

보충) 조상들의 여름나기 물건
- 잠방이, 등토시, 등등거리, 죽부인 등..

★ 조상들이 겨울에 입던 옷

* 주요 옷감 : 무명, 비단
* 무명과 비단이 겨울옷감으로 좋은점
- 따뜻하다.
- 올의 간격이 촘촘하여 바람이 잘 들어오지 않는다.
- 두겹의 천 사이에 솜을 넣어 입기도 하였다.

보충) 조상들의 겨울나기 물건
- 조바위, 풍차, 굴레, 겨울토시, 버선 둥그니 신 등..


이건 조상들이 입던 옷의 종류와 쓰임새 하니까 쓰는 겁니다^^;
특별한 뜻은 없습니다.

+ 조상들이 즐겨먹던 음식

★ 계절에 따라 먹는 음식

* 봄 : 꽃전, 진달래 꽃전
- 이유 : 꽃이 많이 피고, 색다른 봄의 느낌을 가지기 위해서

* 여름 : 삼계탕, 닭, 인삼, 대추
- 이유 : 무더운 여름에 땀을 많이 흘려서 허약해진 기운을 보강하기 위해서

* 가을 : 송편, 찹쌀, 콩, 참깨
- 햅쌀과 햇곡식으로 한해의 추수를 감사하며 조상에게 차례를 지내기 위해서

* 겨울 : 팥죽, 팥
- 이유 : 팥의 붉은 색이 악귀를 쫓아준다고 믿었기 때문에

★ 명절 음식

* 설(음력 1월 1일) : 떡국
* 단오(음력 5월 5일) : 수리취떡, 앵두화채, 준칫국
* 대보름(음력 1월 15일) : 나물, 오곡밥, 약식
* 추석(음력 8월 15일) : 송편, 햇과일과 햇곡식으로 만든 음식
* 삼짇날(음력 3월 3일) : 진달래 꽃전
* 동지(음력 12월 22일 경) : 팥죽

★ 저장 음식

* 여름 : 말린나물, 부각, 장아찌 등 각종 밑반찬
* 겨울 김치, 곶감 등..

2008.03.26.

  • 채택

    지식인 채택 답변입니다.

  • 출처

    dfcvz7

도움이 되었다면 UP 눌러주세요!
UP이 많은 답변일수록 사용자들에게 더 많이 노출됩니다.
2번째 답변
프로필 사진
염딱
초수
본인 입력 포함 정보

①추위를 막기 위해 무명과 비단으로 한복을 만들어 입었다.


②따뜻하게 만들기 위해 저고리,바지,두루마기 속에 솜을 얇게 넣어 입었다.


③추위를 막기 위해 옷을 여러 벌 겹쳐 입었다.


⑵무명과 비단


①무명


ㆍ고려 말 공민왕 때 문익점에 의해 우리 나라에 들어왔다.


ㆍ목화에서 씨를 발라 내고 솜만을 거두어 실을 뽑아 내어 옷감을 짠다.


ㆍ천이 부드럽고 손질하기가 쉬워서 어느 계절에나 사용되었다.


ㆍ겨울에는 두겹의 목화 사이에 목화솜을 넣어 누빈 옷을 입기도 하였다.


ㆍ만들어지는 과정:목화가꾸기→말리기→씨빼기→고치를 말아 다발묶기→실뽑기→베틀로 옷 감짜기→옷만들기


②비단


ㆍ누에가 만든 누에고치에서 실을 뽑아서 옷감을 짠다.


ㆍ광택과 촉감이 우수하며 부드럽고 따뜻하여 겨울철 옷감으로 많이 이용되었다.


ㆍ누에를 키우기가 까다롭고 옷감을 만드는 과정이 어려워서 주로 귀족층에서 입었다.


ㆍ만들어지는 과정:누에키우기→누에고치에서 실뽑기→실내리기→베틀로 옷감짜기→옷

만들기


⑶우리 조상들의 겨울나기 물건


①방한용 모자:남바위,조바위,풍차,굴레 등이 있다.


ㆍ남바위:주로 부인과 노인이 겨울철 나들이할 때 쓰던 모자이다.속에는 털이 붙은 가죽을

 

 대고 겉은 비단 등의 천으로 만들었다.앞은 이마를 덮고 뒤는 귀를 거쳐 목과 등을 덮으

 

며,위쪽에는 구멍을 뚫었다.부인용에는 수,구슬 등의 장식을 달았는데 조바위는 이것이 변

형된 것이다.


ㆍ조바위:여자들이 착용한 방한용 모자이다.


ㆍ풍차:남녀 모두 사용하였으며,귀와 뺨,턱을 가리는 볼끼가 달려 있다.


ㆍ굴레:조선 후기 상류층 가정의 어린이들이 쓰던 수놓은 모자이다.


②겨울용 신발:목화,둥그니신,설피 등이 있다.


ㆍ목화:사슴가죽으로 만든 반장화 모양의 방한용 신발이다.


ㆍ둥그니신:짚으로 엮어 만들었으며,서민층의 남녀 모두가 사용하였다.


ㆍ설피:눈이 많은 고장의 주민들이 신바닥에 덧대어 신는 물건이다.설피를 신으면 눈이 깊

어 도 빠지지 않으며 비탈에서도 잘 미끄러지지 않는다.


③겨울용 버선:추운 겨울을 따뜻하게 나기 위해 두 장의 무명 사이에 솜을 넣고 누벼서 신

었 다.남쪽 지방에서는 발 위쪽에만 솜을 넣었고,북쪽 지방에서는 발의 위아래에 모두 솜

을 넣었다.


④목도리:목 부분에 둘러 추위를 막는데 사용하였다.


⑤토시:손목에서 팔꿈치까지 털가죽이나 솜을 둔 천을 끼워 추위를 막았다.

 

 

조상들의 겨울나기 물건  조바위, 풍차, 굴레, 겨울토시, 버선, 둥그니 신 등

 

(1) 버선 : 지금의 양말과 같은 것으로 겨울에는 천과 천 사이에 솜을 넣은 솜버선을 신어
     발을 따뜻하게 하였다.


 

 
 
(2) 풍차 : 외출용 방한 모자의 하나로, 남녀가 모두 썼지만 여자용은 술장식 등으로 장
     식을 했다. 볼끼 겉감에는 끈이 붙어있어 그 끈으로 턱 밑에 묶거나 볼끼를 위로 올려
     정수리에 묶기도 하였다.
 

 


(3) 토시 : 겨울철 손목 방한구로서 원래는 남자용이었으나 개화기 이후 부녀자들도 외출
     시 착용하였다.

 

 

(4) 조바위 : 조선 후기부터 서양의 목도리가 등장할 때까지 부녀자들이 사용한 방한모

                겉은 검정 비단, 안은 남색 비단이나 무명이 대부분이며, 겹으로 만들었다.

 

 

조상들의 겨울 옷

1. 겨울철 한복의 특징
(1) 목화의 보급으로 두 겹의 천 사이에 솜을 둔 핫바지나 핫저고리와 같은 솜옷을 입었다.
(2) 바지에 대님을 매고 소매 끝에 토시를 끼고, 저고리 위에 조끼, 마고자 등을 겹쳐 입어
     추운 기후에 대응하였다.
(3) 외출할 때에는 방한과 의례용으로 솜두루마기나 누비두루마기를 입었다.
(4) 한복은 추위를 막기 위해 여러 겹 껴입었다.
    ① 남자의 경우 '속고의 → 바지 → 저고리 → 버선 → 대님 → 조끼 → 마고자 → 두루
        마기'순으로 껴입었다.
    ② 여자의 경우 상의로는 '속적삼 → 속저고리 → 저고리 → 배자 → 두루마기'순으로
        입었고, 하의로는 '다리속곳(가장 밑에 입는 옷) → 속속곳(바지 밑에 입는 옷) → 바
        지속곳(단속곳 밑에 입는 옷으로 고쟁이라고도 한다) → 단속곳(바지 위에 입는 옷으
        로 길이가 약간 길다) → 너른바지(단속곳 위에 입는 옷) → 무지기(귀족들의 속치마)
        또는 대슘치마(왕족들의 속치마) → 치마'순으로 입었다.
(5) 여러 종류의 방한용 모자를 써서 머리 부분의 추위를 막았다.

 

2. 겨울철 한복에 사용되는 옷감
(1) 명주 : 누에의 실샘으로부터 분비된 단백질이 주성분인 천연 섬유로서 그 광택과 촉감이
     우수하며 부드럽고 따뜻하다. 누에고치를 기르는 과정이나 섬유로 만드는 과정이 어려
     워 삼국시대 이후 명주나 비단옷은 일부 귀족층에서 주로 입었다.
(2) 무명 : 문익점에 의해 우리 나라에 도입되기 전까지 일반 서민들은 겨울에도 삼베옷을
     입었다. 그러나 문익점이 중국으로부터 목화씨를 들여온 후 무명이 전국적으로 보급되
     었다. 무명은 천이 부드럽고 손질이 쉬워 사계절 모두 사람들이 많이 이용하였다.


조상들의 겨울나기 물건

1. 조상들의 겨울나기 물건
(1) 버선 : 지금의 양말과 같은 것으로 겨울에는 천과 천 사이에 솜을 넣은 솜버선을 신어
     발을 따뜻하게 하였다.

 



(2) 풍차 : 외출용 방한 모자의 하나로, 남녀가 모두 썼지만 여자용은 술장식 등으로 장
     식을 했다. 볼끼 겉감에는 끈이 붙어있어 그 끈으로 턱 밑에 묶거나 볼끼를 위로 올려
     정수리에 묶기도 하였다.
(3) 토시 : 겨울철 손목 방한구로서 원래는 남자용이었으나 개화기 이후 부녀자들도 외출
     시 착용하였다.


 

1)무명
목화의 솜으로 실을 만들어 짠 옷감이다.
부드럽고 손질하기 쉬워 사계절 내내 이용한다.
과정: 씨빼기- 솜반짓기-고치말기-실뽑기- 베틀로 옷감짜기

2)비단
누에고치에서 실을 뽑아 만들었다.
손질이 까다로워 일반 백성들은 이용하기 힘들었다.
과정:누에키우기- 누에고치에서 실뽑기- 베틀로 옷감짜기

 



(2)겨울철 한복의 특징
1)비단과 무명으로 옷을 만들어 입었다.
2)추위를 막기 위해 옷을 여러 벌 겹쳐 입었다.
3)두 겹의 옷감 사이에 솜을 얇게 넣어 누빈 옷을 입었다.

 

겨울옷-솜으로 만든옷,겨울한복

추가설명
1. 솜을 넣어 만든 옷을 입었습니다.

저고리, 바지, 버선 등에 솜을 얇게 넣어 입었습니다.
핫바지, 핫저고리, 솜두루마기, 누비두루마기등

2. 추위를 막기 위해 여러 벌 끼어 입었습니다.

바지에 대님을 매고 소매 끝에 토시를 끼었으며, 저고리 위에 배자나 털까죽을 안에 댄 갖저고리를 겹쳐 입었습니다.
외출할 때 남자는 솜두루마기, 누비두루마기를 입었고, 여자들은 얼굴을 가리기 위한 장옷, 쓰개치마를 겹으로 또는 솜을 ㄴ허어 만들어 입었습니다.
남자 : 속고의→ 바지→ 저고리→ 버선→ 대님→ 조끼→ 마고자→ 두루마기
여자 : 웃옷* 속적삼→ 속저고리→ 저고리→배자→ 두루마기
아래옷* 다리속곳→ 속속곳→ 바지속곳→ 단속곳→ 너른 바지→ 무지기 → 치마

2008.03.29.

도움이 되었다면 UP 눌러주세요!
UP이 많은 답변일수록 사용자들에게 더 많이 노출됩니다.
5번째 답변
프로필 사진
khk6****
시민
본인 입력 포함 정보

조상들이 입던 옷에는 여름과 겨울만 알려드리겠습니다.

 

여름:삼베와 모시로 옷을 주로 만들어 입었죠
종류는 등등거리,토시,등토시등이 있습니다

음식은 삼계탕이 있습니다

 

 

겨울:비단과 무명으로옷을 주로 만들어 입죠

종류는 풍차,버선등등

음식은 팥죽등이 있어욤

 

2008.04.15.

도움이 되었다면 UP 눌러주세요!
UP이 많은 답변일수록 사용자들에게 더 많이 노출됩니다.
8번째 답변
프로필 사진
탈퇴한 사용자 답변

.삼베와 모시가여름옷감으로좋은점

.옷감에 구멍이 촘촘히 나있어서 시원하다

2008.07.16.

  • 출처

    따라하지마 멜롱

도움이 되었다면 UP 눌러주세요!
UP이 많은 답변일수록 사용자들에게 더 많이 노출됩니다.
10번째 답변
프로필 사진
삭제된 답변
작성자가 직접 삭제한 답변입니다.
2023.02.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