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촌역(경의선)

서울 지하철 2호선 신촌역에 대해서는 신촌역(지하)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경의선
서울 방면
서 울

3.1 km
신 촌
2.7 km
도라산 방면
가 좌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문산 방면
가 좌

2.7 km
신 촌
(P314)

3.1 km
서울 방면
서 울
경의·중앙선 (서울역-문산 급행)
문산 방면
디지털미디어시티

4.4 km
신 촌
3.1 km
서울 방면
서 울
일제강점기 당시에는 이 역과 서울역(당시 '경성역') 사이에 아현리역서소문역이, 가좌역 사이에는 연희역이 있었으나 1944년에 폐역 되었다.
신촌역

다국어 표기
영어Sinchon
한자新村
중국어新村
일본어シンチョン
역번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P314
300px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승강장 크게보기
300px
신촌역 민자역사 크게보기
주소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신촌역로 30
(舊 신촌동 74-12)
수도권 전철
운영기관
섬네일을 만드는 중 오류 발생: 파일이 없음
경의선 개업일2009년 7월 1일
경의·중앙선 개업일2014년 12월 27일
일반 철도
운영기관코레일 서울본부
용산선 개업일1920년 12월 1일
역등급보통역(3급)

新村驛 / Sinchon Station

정식명칭신촌역사 주식회사
영문명칭SINCHON STATION DEVELOPMENT CO.,LTD
설립일1997년 1월 28일
업종명부동산임대업
상장여부비상장기업
기업규모중소기업

1 개요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P314.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신촌역로 30(舊 신촌동 74-12번지)에 소재.

2 역 정보

파일:Attachment/shin.jpg

1998년 당시 신촌역.

파일:신촌역스탬프.png

신촌역의 한국철도 100주년 기념 스탬프. 분실되었다가 재비치되었다.

2.1 대한민국 철도의 숨겨진 정맥

2009년 7월 1일 경의선 복선전철 개통 이후, 평균 1시간에 1대꼴, 출퇴근시간(RH) 30분에 1대 꼴로 전동열차가 운행하게 되었다. 만약 열차 도착 시간보다 엄청 일찍 들어갔다면 KTX, ITX-새마을, 그 외 기타 등등 열차가 통과하는 굉음과 열차풍을 5분마다 체험하게 될 것이다.

왜 이렇게 배차 간격이 안습인가 하면, 수많은 열차들의 회송 구간이기 때문이다. 경의선과 연결되어 있는 수색차량사업소 및 고양 고속철도 관리단이 있어서, 새마을호 열차와 무궁화호 열차는 물론이고 심지어 KTX 열차마저 이 선로를 통해 서울역용산역으로 진입하기 때문이다. 모두 병점차량기지 소속인 누리로가 없는 것을 다행으로 여겨야 하나? 그렇기 때문에 기지 입출고 관계로 회송하는 수많은 여객열차들로 인해 선로가 포화되어 전동열차가 자주 운행하기가 힘들다고 한다. 그나마 고성능 전동차가 다니니까 다행이다. 어쩔 수 없는 이유다. 최대로 배차간격을 좁혀 봐야 30분 정도. 한마디로 '대한민국 철도의 숨겨진 대동맥'이다. 거짓말 보태서, 경부선, 경부고속선이 아니라 경의선 서울 - 가좌 구간이 진짜 대동맥이다. 진짜 심장구조에 빗대면 서울 ~ 수색 구간은 대동맥으로 발사할 피를 공급하는 '폐정맥'에 해당한다. 2007년 가좌역에서 지반침하 사고가 났었을 적에 여객열차 운행은 당연히 개판이 되었다. 이 때문에 주한미군.국군의 전차.장갑차등 군장비가 화차에 실린 차량이 신촌역에 30분정도 발이 묶였다.

코레일 측에서는 2012년 경의선의 완전 개통(용산 - 공덕 - DMC 구간)까지만 임시 운행이라고 말하기도 했으나, 도심과 신촌 인근 대학료들의 통학 수요라는 큰 떡밥이 있기 때문에 향후에도 전철은 계속 들어올 것같긴 하다. 자칫 잘못하면 초거대 민자 역사 주제에 승객 취급을 안 하는 빈 수레 고자역이 될 뻔했다. 하지만 일부 낮 시간대에는 정말 썰렁하다.

이 역과 서울역의 역간 거리는 3.1km로 긴 편이다. 일제강점기 시대엔 이 역 간거리에 서소문역아현리역이 있었으나, 일제의 공출로 인해 폐역되어 흑역사에 묻히고 말았다. 안습. 그렇지만 이 역과 서울역 사이는 선로 분기기나 철도 건널목 등이 매우 많기 때문에 열차가 제 속도를 내지 못한다. 그러나 어디까지나 고속으로 다니지 못하는 것일 뿐, 경의선 서울역행 기준으로 약 7~10분 정도 소요된다. 열차시각에만 잘 맞춘다면, 지상 교통 중 이 일대에서 서울역으로 가는 가장 빠른 방법이다. 비슷하게 타임어택을 할 수 있는 건 심야 시간대의 택시뿐이다.

2012년 12월 15일부로 급행 시스템이 바뀌면서 한때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의 급행 정차역에서 제외되었다. 신촌역의 기능은 공덕-문산 급행 계통 신설에 따라 용산선상의 홍대입구역으로 넘어갔고, 신촌역 덕에 먹고 살던 이대 상권의 몰락이 예상되었으나 결국 2013년 3월 4일부터 다시 신촌역에 서울역으로 가는 급행 열차가 양방향 정차한다. 이대 통학 수요를 잡으려는 모양인 듯하다.

이대정문 옆길, 신촌동주민센터와 마주보고 있는 경의선신촌역 앞 광장은 고양시(주로 일산 방향)나 파주시 차적의 경기도 시내버스/일반좌석버스의 회차점이자 진입 한계선이기도 하다. 강화도로 가는 3000번도 들어오지만, 경의선신촌역에서 승하차가 안 된다.

2.2 스크린도어 미설치 문제

350px

한편 이 사건의 배경이 된 역이기도 한데, 특히 이 역에서 이런 짓을 하면 거의 자살 행위나 다름 없다. 무슨 철싸대인가? 경의선 전동열차야 1시간 배차이긴 하지만 신촌역의 한 선로에 거의 5분 간격[1]으로 KTX, 새마을호, 무궁화호 등의 회송열차, 심지어 화물철도가 지나다닌다. 아침 저녁 때는 경의선 전동열차가 한시간에 2~3편성이 들어오고 나가고 이 시간대에 주로 화물철도가 같이 지나다녀서 거의 1분에 한 대 꼴로 열차가 지나다닌다! 그래서 어쩔 때는 방송 없이 통과하는 경우도 있어서 다른 역에 비해 매우 위험하다. 주로 화물철도인 경우 방송이 나가기 전에 열차가 통과해버려서, 뒷북이 되어버리는 셈이다. 열차 유효장이 너무 길어서 역의 센서가 감지를 늦게 하는 것 같은데, 특히 서울역에서 가좌역 방면으로 가는 열차가 그렇다. 아현터널을 나오자마자 바로 신촌역 진입이다 보니 아현터널 내에 센서가 없는 것 으로 보인다. 가좌역 방면에서 오는 열차는 그나마 방송이 제때[2] 나와서 이런 위험천만한 상황은 덜하다. 정상인이라면 어느 역에서나 절대 저런 행동을 하지 말자. 철도법에 위반되는 행동인 건 물론이고 진짜 죽을 수도 있다. 그래서 그 다음 역인 가좌역은 지하역 개통에 맞춰 역을 싹 다 뜯어고치기 전까지 전동열차가 진입하기 몇 분 전까지는 게이트 출입을 아예 통제했었다. 이제 과천선 대공원역느리긴 하지만 '안전도어'가 설치되고 있으니 여기도 무언가 조치를 취해야 한다. '이 역'은 대한민국 철도 노선의 숨겨진 폐정맥 한가운데에 위치하고 있으니 말이다!

2.3 구 역사

파일:Attachment/261261.jpg

서울역보다 더 오래된 구 역사가 존재하며, 이는 밀리오레 민자역사를 짓기 위해 출입구를 지나는 축을 기준으로 선대칭이동 시켰다. 원래 구 역사는 'ㅡ^(출입구는 ^ 안에 있으며 오른쪽)'모양이었으나, 민자역사 짓는 과정에서 ^를 그대로 놔둔 후 ㅡ를 뜯어 오른쪽으로 붙여 이동시켜 '^ㅡ(출입구가 왼쪽)'모양이 됐다. 보존은 보존인데, 건물 반을 부수고 좌우 대칭 형태로 새로 만들었으니 원형도 아니고 참으로 애매하다고 할 수밖에 없다. 이 구 역사는 2004년 12월 31일 등록문화재 136호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다. 밀리오레가 사기성 분양 광고로 자본을 유치해 지어졌지만 원래 여객 이동량이 많지 않은 역인 데다 중심 상권에서 벗어난 자리라 결국 영화관 외엔 장사가 안 되는 거의 빈 건물로 남은 현재, 결론적으로 이 역에 굳이 원형을 훼손하면서까지 민자 역사를 지었어야 하는가도 의문으로 남게 되었다. 실제로 구 역사는 수도권 전철이 개통된 이후에는 평소엔 통학/통근하는 여객 외에 이용객이 거의 없고, 주말에나 일산 백마 등지로 가는 인근 이대 서강대 연대 등 대학생의 MT인원, 행락 인원들이 주로 이용하던 역이었다.

2.4 민자역사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개통과 함께 밀리오레의 민자역사가 문을 열었다. 전동차가 한 시간에 한 대 꼴로 들어올 역에 민자역사를 여는 것에 대해 당시 여러 말이 있었는데, 신촌로터리-명물거리-이대 상권을 잇는, 유동인구가 많은 경의선 신촌역사 자리에 대형 쇼핑몰을 열기 위해 민자역사의 형태만 빌렸다는 분석도 있었다.

이렇게 많은 기대를 받은 신촌 민자역사였으나 2012년 넘어서도 공실률이 70%에 달하는 사실상 망한 상가가 되고 말았다. 경의선 신촌역과 가까운 이대 상권 자체가 조금 침체된 상태였는데, 원래는 신촌 밀리오레가 이 상권을 끌어올려주리라고 기대되었지만 신촌 밀리오레까지 망한 것이다.

이대 상권은 보세 의류 등을 중심으로 번성했던 상권이다. 그러나 저가 의류 시장이 SPA 브랜드와 인터넷 쇼핑몰, 대형 아울렛 등으로 움직이면서 쇠락을 맞았다. 밀리오레는 대형 쇼핑몰이기는 하지만 브랜드 의류가 아닌 보세 의류를 중심으로 하기 때문에 이대 상권을 살리는데 별 도움이 되지 못했다. 사실 본점인 명동 밀리오레조차 경영이 안 좋아지는 상황이다.[3]

한때 이마트이랜드그룹에서 신촌역 민자역사를 인수한다는 출처를 알 수 없는 소식이 각종 매체를 통해 보도된 적이 있으나, 이마트와 이랜드 둘 다 신촌역 민자역사 인수는 사실 무근이라고 발표했다.[4]

2.4.1 분양사의 과장 광고

참으로 안타까운 것은 밀리오레를 운영하는 성창에프엔디 측에서 민자역사 투자자를 모집할 때 '경의선이 복선화되면 5~10분 걸러 열차가 288회나 다닌다'라고 과장 광고를 했던 것. 경의선은 대부분 용산역으로 가고, 서울역쪽 선로에는 한 시간에 한 대 꼴로 전철이 선다는 걸 몰랐던 투자자들은 전부 속아 넘어갔다. 288대나 다니는 건 맞다. 거짓말은 하지 않았다. 그 중에 2대 빼고는 전부 회송열차라는게 문제일 뿐. 결국 대법원 판결을 통해 분양금을 돌려주게 되었다.[5]

2.4.2 텅빈 `신촌역사`

현재 밀리오레는 영업을 중단한 상태. 2층은 경의선 신촌역과 연결되어 있어 출입은 가능했지만 2014년 현재는 아예 막아둔 듯하다. 2층에는 화장실이 하나 있는데 표지판에는 '여성전용 화장실'이라고 적혀 있으면서 화장실 문 앞에는 남자 화장실 표시와 여자 화장실 표시가 둘 다 있는 이상한 광경을 볼 수 있다. 3층과 4층은 직원들이 지키고 있어서 일반인들은 출입할 수 없다.

신촌과 이대라는 주요 상권을 잇는 명물거리의 번화한 풍경 한가운데 이런 폐가같은 건물이 들어서 있는 광경은 참으로 이색적이라, 폐허덕후들의 관심을 받기도 한다. 사실 건물의 입지 자체는 좋기 때문에 5층에 있는 메가박스 신촌점에 사람이 꽤 몰리는데 메가박스 홈페이지의 신촌점 교통 안내에도 경의선보다는 인근 2호선 역으로 안내한다. 여담으로 메가박스 신촌점은 이화여자대학교 구내에 있는 독립영화 상영관인 아트하우스 모모와 포인트를 공용할 수 있었으나, 현재는 아트하우스 모모가 인터파크의 전산망으로 갈아타는 바람에 공용이 안 된다.

250px 250px
밀리오레가 아직 영업하던 2012년 8월 19일 저녁 7시 30분에 촬영한 신촌 밀리오레 2층의 모습. 한창 붐벼야 할 일요일 저녁 시간임에도 불구하고 상인도 손님도 보이지 않는다. 메가박스로 가기 위해 에스컬레이터를 오르내리는 사람들만이 보일 뿐이었다. 현재는 이 에스컬레이터마저 운행하지 않아 메가박스로 가려는 사람들은 엘리베이터나 계단을 이용해야만 한다. 이런 상황 때문에 주변 상권에까지 영향을 끼치고 있는데, 신촌 밀리오레 일대의 투자수익률이 2015년 1분기 1.25%에서 2분기 1.18%로 내려갔으나 서울 전체가 같은 기간 1.36%에서 1.43%로 오른 것과 대조된다.[6]

어른의 사정으로 인해 공실율이 많은 건물에 거의 영화관이 먹여살리는 구조의 건물로는 비슷하게 춘천의 투탑시티내에 입점한 CGV춘천이 있다. 입지 자체는 춘천 신규택지가 몰려있는 곳의 노른자위 비슷한 곳이긴 한데 유치권 문제로 인해 웨딩홀과 영화관 빼고는 제대로 돌아가는 데가 드물다.

2.5 2호선 신촌역과의 관계

신촌오거리의 지하철 신촌역과는 800m 정도 떨어진 별개의 역이며, 오히려 이대역이 여기서 더 가깝다. 환승역인 홍대입구역도 400미터 넘게 걸어야 하는걸 생각하면 그리 먼 것 같지도 않지만. 게다가 아이러니하게도 신촌동주민센터 옆에 있는 골목을 지나면 곧바로 이대정문이라 이 곳이 이대역보다도 이화여자대학교에 더 가깝다. 하지만 1시간 배차간격을 감수하고 이 역을 이용할 사람이 얼마나 될까 싶겠지만 고양, 일산에서 오는 사람들 중 실제로 시간표를 보면서 이용하는 사람들도 상당수 있다. 실제로 경의선 전철 개통 이전에는 인근 이 역을 통해 연대이대에 통학하던 학생들도 전철 개통 이후에는 시간 맞을 때나 가끔씩 이용하고 디지털미디어시티역에서 환승을 한다. 게다가 디지털미디어시티역에서 시내버스로 환승하면 학교 바로 앞이나 후문에 내려주기 때문에 더 가깝고, 하교시 이 역에서 열차를 타면 서울역에서 이미 자리를 다 깔고 오기 때문에 서서 가야한다.

이 역은 행정구역상 신촌동에 위치하고 있다. 신촌동과 대현동의 경계였는데, 경계 조정을 통해 신촌동에 들어왔다. 역 바로 옆에는 신촌동주민센터가 있으며, 근처에 있는 창천동, 봉원동, 대현동도 모두 신촌동주민센터 산하에 있기 때문에 거기서 거기다.

서울 지하철 2호선보다 훨씬 오래 전부터 신촌역이라는 이름으로 있었으니, 이제와서 이름 바꾸기도 뭐하고 해서 역명을 그대로 놔두고 지상/지하, 전철역/기차역, 혹은 2호선/경의선 등으로 구분한다.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개통 이후 엄밀히 따지면 '기차'역은 아니게 되었으나, 이곳을 지나는 버스들은 아직도 다들 '신촌기차역'으로 안내방송이 나온다. 전동열차는 열차가 아니란 건지. 시간이 조금 걸리긴 하였으나, 수색기차역과, 수색전철역은 수색역디지털미디어시티역으로 정리된 것과 비교된다. 뭐 사실 '신촌역'으로서는 이 역이 워낙 존재감이 없다 보니 2호선 신촌역을 그냥 신촌역으로 부르고 이 역을 신촌기차역으로 부르는 것이 훨씬 경제적(?)인지도 모르겠다. 하긴 증기기관차가 다니던 시절부터 기차역으로 쓰인 세월이 지하철 2호선 신촌역이 생긴 이후보다 몇 배나 길기 때문에, 인근 주민들에게는 기차역이 맞다.

지금은 수정되었으나 한 때는 일부 버스의 경우 아예 '신촌기차역'도 아니고 '신촌역'으로 안내방송이 나와서 혼란을 가중시켰다. 예를 들어, 751번 구산동 방향의 경우 바로 앞 정류장은 '신촌기차역입구'인데 이 역의 정류장 이름은 '신촌역'이었다.

이 역으로 들어오는 시내버스들(751, 7017 등)이 세브란스병원으로 나갈 때에는 100% 봉원고가 하단에서 U턴하여 세브란스병원으로 간다. 연세로 대중교통 전용지구 공사 후 경의선 신촌역에서 수색 방면으로 좌회전이 가능하게 되었지만, 좌회전하는 노선버스는 주중에 연세로를 경유하는 노선인데 주말의 연세로 교통 통제로 우회 운행하는 노선들(163, 172, 700)뿐.

3 역 주변 정보

4 승강장

가좌
21
서울역
1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완행·급행서울역 방면
2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완행·급행가좌·디지털미디어시티·대곡·문산 방면


섬식 승강장에 외선이 설치된 형태이다. 철도역 승강장의 유형에서 3.3.1을 볼 것. 외선은 화물철도열차가 대피하거나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서울역 급행 열차가 KTX새마을호 등을 대피하기 위해 사용한다.

서울 지하철 9호선방이사거리역(가칭)이 신촌역의 구조를 따를 예정이다. 공교롭게도 안전도어 미설치 전철역인 경부선 세류역의 승강장은 대피선이 내선인 상대식 승강장이 설치된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5 기타

다!다!다!의 동네 전철역이 신촌역으로 로컬라이징 되었는데 어차피 이름만 빌려온 거라 전혀 상관 없는 얘기다.

6 일평균 승차량

  • 하차량은 포함하지 않는다.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2009년2010년2011년2012년2013년2014년2015년
936명1,032명1,118명1,133명893명1,060명807명
  1. 양방향으로 따지면 2분보다 조금 넘는 간격이다.
  2. 열차가 가좌역을 출발할 때 통과 안내방송이 나온다.
  3. 「쇼핑몰의 호텔변신 기대 컸는데…명동 밀리오레의 불운」, 2014-02-07, 매일경제
  4. 「이마트·이랜드 "신촌 밀리오레 인수 안해"」, 2012-07-10, 연합뉴스
  5. 「"허위광고 신촌밀레오레 분양금 188억 돌려줘라"」, 2009-08-31, 한국경제신문
  6. 「부활한 `경의선 숲길`… 텅빈 `신촌역사`」, 2015-09-02, 매일경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