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AVER

질문 저가 과학자 되고 싶어요~~~~~~~~~~
정보가 없는 사용자 조회수 167 작성일2009.12.23

안녕하세요.. 현재 중2인 학생인데요..

 

제가  천문학자가 되는 것이꿈이거든요..

 

근데 천문학자가 되려면 진로를 어떻게 해야 할 까요??

제가 인천 남동구에 살고 있구요..

 

고등학교나 대학교(?)를 어느 곳을 가야할지 생각이 들더라고요.. 성의 것 답변좀..

 

 

프로필 사진

답변자님,

정보를 공유해 주세요.

4 개 답변
3번째 답변
프로필 사진
star****
영웅
본인 입력 포함 정보

천문학자가 되기 위해 가장 중요한것은 별과 우주에 대한 호기심과 열정이라 생각합니다.

 

우리나라에서의 천문학자라고 한다면 한국천문연구원에 소속되어 본원에서 연구를 하거나, 전파천문대에서 연구를 하거나, 소백산천문대나 보현산천문대에서 별을 보며 연구를 하는 사람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들을 보면 꼭 서울대학교 천문학과를 나와야만 잘 되는것은 아니라는걸 알 수 있습니다. 좋은 대학의 천문관련 학과를 나와도 여러가지 이유로 천문 관련기관에 가지 않아서 님이 말씀하시는 '천문학자'가 되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자기가 남들보다 별에 관한 호기심과 열정이 강하다면 지방대 천문학과를 나왔다고 할지라도 열심히 별을 보고 연구해서 위의 기관에서 계속 연구활동을 하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기본적인 학교 공부를 열심히 하시구요, 별에 대한 호기심과 열정을 계속 지켜가세요.

2009.12.23.

  • 채택

    질문자가 채택한 답변입니다.

도움이 되었다면 UP 눌러주세요!
UP이 많은 답변일수록 사용자들에게 더 많이 노출됩니다.
1번째 답변
프로필 사진
wk****
시민
본인 입력 포함 정보

님하.아무래도 고등학교는 아무곳이나 가도 상관은 업을드시 싶어요.

제가 추천하는 대학교는 경희대천문학과 이고 서울대천문학과랑 고려대학과를 추천함.

2009.12.23.

도움이 되었다면 UP 눌러주세요!
UP이 많은 답변일수록 사용자들에게 더 많이 노출됩니다.
2번째 답변
프로필 사진
gust****
중수
본인 입력 포함 정보
국내 천문학과에 진학하고자 하는 학생들에게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지않을까 해서 이렇게 글을 씁니다.
 
 
1. 국내 천문학과의 현황
국내 천문학과의 숫자는 그다지 많지 않습니다. 서울대, 연세대, 경희대, 세종대, 경북대, 충북대, 충남대로 총 7개 대학에서 개설 중으로 상당히 미약한 실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나마 있는 천문학과 조차 재정적이나 지원상태가 좋지 않은 걸로 알고 있습니다.
 
2. 천문학과와 천문학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
천문학 하면 학생들이 떠올리는 것은 일반인들과 마찬가지로 망원경으로 우주를 들여다 보거나 나사에 취직하여 우주비행사를 하거나 연구한다 입니다. 또한 천문학과에 진학하려는 학생들 중에서도 자신이 왜 천문학을 좋아하는지 또 어떠한 분야를 연구하고 싶은지 모르는 학생도 많고 막연히 별이 좋아서, 우주가 좋아서 천문학과에 진학하려는 학생들이 많은 걸로 알고 있습니다. 설사 자신이 어떠한 분야를 연구하고 싶은지 알고 있더라도 아무 대학의 천문학과에 점수를 맞춰 가면 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모든 천문학과에서 천문학의 모든 것을 가르쳐 줄 것이라는 인식 때문이지요.
 
3. 천문학과의 선택
천문학과의 선택은 자신이 천문학에서 어떤 분야를 좋아하고 각 대학의 천문학과의 교수들이 천문학의 어떤 분야를 전공하고 현재 연구 중인지를 알아 보고 가는 것이 좋습니다. 교수들이 어떤 분야에 대해 전공하고 있는지를 안다면 대학에서 배우는 것은 교양 천문학 즉, 천문학의 서론 밖에 가르쳐 주지 않지만 자신이 특정 분야를 파고 들경우 꼭 수업에서 가르쳐 주지 않더라도 교수에게 직접가서 질문등을 통해 전공분야에 관한 지식을 쉽게 획득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다음으로 자기전공 분야의 교수들의 판단은 출신 대학이나 논문등으로 파악할 수 있습니다. 출신 대학이 유명한 곳이라면 교수가 다른 교수들에 비해 더 많은 것을 배웠다는 것 입니다. 하지만 이 것으로 교수가 자기 분야에 대해 열정적이다고는 판단하지 못합니다. 고 학력 교수보다는 자기 분야에 연구를 왕성히 하고 있는 교수가 좋습니다. 그 만큼 발전의 기회가 더 많고 학생들에게도 자기분야의 지식에 대해 더 많이 전수할테니까요. 그런 교수들의 판단은 논문 수로 합니다. 논문이라는 것은 자기가 연구한 것을 발표하는 것이니 논문수가 많다는 것은 그 만큼 그 분야에 대해 자기가 많이 연구했다는 것은 대변하니까요. 하지만 논문 수가 꼭 연구를 많이 했다고 완전히 대변하는 것은 아닙니다. 중요도가 높은 연구와 낮은 연구. 그리고 시간과 노력이 많이 필요한 연구와 적게 필요한 부분이 있으니까요. 물론 논문 수 외에는 학생이나 일반인의 신분으로 이 모든 것을 파악하기는 어렵습니다. 학생들은 자기가 공부하고 싶은 분야에 어떤 학교에서 어떤 교수가 그 부분을 연구하고 논문 제목과 숫자를 통해 얼마나 왕성한 활동을 하는가를 파악하고 대학을 선택하는 것 입니다.
이제 각 대학의 천문학과에 대한 특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국내 대학 천문학과의 교수 연구 분야와 특징     
1) 각 대학의 특징은 교과과정이 아닌 교수 연구분야로 분류했으니 유의하시길 바랍니다.
2)  ★표는 해당교수가 최근 연구하고 있는 분야를 나타낸 것 입니다.          
3) 외국 대학원 출신 교수들의 경우 대학 표기를 영문 그대로 했습니다. 한글로 번역하면 다른 대학임에도 불구하고 대학 명칭이 같아지는 경우가 있기 때문입니다. ( University of Washington과 George Washington University, Washington University in St. 대학 같은 경우 모두 워싱턴 대학으로 표기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ㅡㅡ)
 
1. 서울대학교 물리학부 천문학전공
교수
현정준(명예교수)
윤홍식(명예교수)
홍승수
이상각
구본철
이형목
이명균
박용선(부교수)
채종철(조교수)
임명신(조교수)
김웅태(조교수)
이정훈(조교수)
최종학력
 
Indiana University  이학 박사
Mayo Greenberg at State University of New York이학 박사
Case Western Reserve University 이학박사
PhD Thesis,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
미Princeton of University 천문학 박사
Post Doc., Institute of Astronomy and Astrophysics, Academia Sinica, Taiwan
 
 
 
 
연구분야
 
SOHO의 UV스펙트럼 분석, 플레어 활동과 자기 구조, 흑점, ★자기장의 극부 활동
성간물질
천체분광학, 광학 및 근적외선의 왜성 연구, 은하 헤일로 관측, 별의 광도 연구★
전파 천문학, X-선 천문학★
구상 성단 및 은하★
외부은하, 우주론적 관측★
분광학★
태양 분광학★
은하
거대 분자 구름
 
전임교수
박창범
박수종
최종학력
 
 
연구분야
 
 
특징: 서울대학교는 거의 모든 분야에 대해 연구를 하며, 관측쪽 분야를 제외한다면 최고를 달린다고 할 수 있습니다. 재정적으로도 가장 안정적인 대학 입니다.(더 덧붙일 말도 없습니다 ^^;)
 
 
2. 연세대학교 이학부 천문우주학과
교수
천문석
최규홍
이영욱
김용철
김석환
변용익
박상영
송영종
이석영
윤석진
최종학력
Austrailian National University
University of Pennsylvania
Yale University
정보없음
정보없음
정보없음
Texas A&M University 항공우주 공학 박사
연세 대학교
정보없음
정보없음
연구분야
구상 성단, ★외부 은하
천체역학, 천체물리, ★우주동역학, ★궤도역학
별의 진화, UV천체 물리학, ★구상성단 및 타원은하 군집, 우주론, RR변광성
정보없음
정보없음
은하내 먼지 감광, 타원은하 나선팔 구조, 은하 UV관측
★궤도 최적화, 우주 임무 분석, ★우주선 고도 통제, 우주선 시스템 설계, 천체역학
정보 없음
정보없음
정보없음
연구교수
이재현
최종학력
정보없음
연구분야
정보없음
특징: 관측 분야에서는 가장 좋은 실적을 기록하고 있는 대학입니다. 이외에도 우주론에 관해서 활발히 연구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들리는 소리에 따르면 요즘 이학부에서 우주쪽으로 전공을 잡는 사람이 없어 신입생이 없다고 합니다.(물론 어디까지나 소문 ;;) 하지만 이것이 사실이라면 이를 기회로 삼아 교수들의 관심을 한몸에 받으며, 공부할 수 있는 최적의 요건이 될 수도 있겠죠^^; 제가 아는 한도에서는 사람하기 나름이겠지만 착실히만 한다면 미래는 확실히 보장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3. 세종대학교 물리천문지구환경학부 천문우주학과
교수
강영운
이희원
성환경
김성은
이재우
채규현
David Mkrtichian
최종학력
연세대 천문학 박사
California Institute of Technology 천체물리학 박사
서울대 천문학박사
연세대 천문학 박사
연세대 천문학 박사
고려대 물리학 박사
연구 교수 정보 없음
연구분야
항성 천문학
★행성상 성운 연구
★별의 진화 및 운동, ★거대 분자운
★X-선 천문학, ★은하, 성간물질
★적외선 측광, ★구상성단 관측
★중력렌즈
정보 없음
방문교수
Alex Yushchenko
이동욱
Kenji Mochizuki
송인옥
이강환
최종학력
정보없음
정보없음
정보없음
정보없음
정보없음
연구분야
정보없음
정보없음
정보없음
정보없음
정보없음
특징: 우주구조에 관해서 재정적으로도 탄탄하며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대학입니다.  세종대 홍보에도 우주구조 사업을 내세울 정도로 말이죠^^
 
 
4. 경희대학교 전자정보학부 우주과학과
교수
민영기(명예교수)
김원규(명예교수)
김갑성
김상준
이동훈
장민환
김성수
 
최종학력
Rensselaer Polytechnic Inst. 물리 및 천문학과 대학원 이학박사
경희대 전자공학과 공학박사
Kyoto University 이학박사
New York
University of Minnesota 이학 박사
Georgia
UCLA 천문학 박사
 
연구분야
전파 천문학
유도제어 및 항행 시스템
태양물리학, 수치천체물리학, 궤도역학, 영상처리, 천체력 계산 코드, 복사전달 문제 계산 코드 개발
태양계 천문학, 천체분광 및 적외선 관측, 인공위성 및 외계 생물체 탐색
우주공간물리학
관측 천문학(측광, 영상), 외부은하, 변광성, 위성 및 로켓 탑제 망원경 개발
천체물리, 성단 및 은하 역학, 수치천체물리학
 
특징: 타 학교의 천문 우주과학과와 달리 경희대 우주과학과는 공대 학부입니다.(전자공학, 컴퓨터 공학과 같은 학부임) 따라서 교과 과정에 전자회로에 관한 내용도 포함되어 있으며, 관측이나 우주론 분야보다는 위성 탑재체, 지구 근거리 궤도 환경 연구, 태양물리쪽으로 연구 분야가 있습니다. 그리고 과 교수님들 중 장민환 교수님은 우리나라에서 두번째로 새로운 변광성을 발견하신 걸로 유명합니다.
 
 
5. 충북대학교 천문우주학과
교수
정장해
이용삼
서경원
김천휘
김용기
이대영
최종학력
연세대 천문학 박사
연세대 천문학 박사
미University of  Minnesota 천문학 박사
연세대 천문학 박사
독일 베를린 공대 물리학 이학 박사
미 University of Rice  천문학 박사
연구분야
쌍성, 관측시스템
분광관측, 천문기기, ★고천문학
적외선 천문학, ★성간물질, 은하구조
쌍성관측, 궤도역학, 인공위성 궤도 역학
X-선, 자외선 천문학
우주과학, 우주환경
특징: 충북대 천문학과 교수진들의 연구분야를 살펴보면 관측 천문학 쪽에 매우 집중 되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주로 쌍성이나 다양한 파장대의 관측에 연구가 집중되어 있으며 두드러진 특징으로 이용삼 교수의 고천문학 연구가 있으며, 이용삼 교수의 고천문학의 경우 꽤 정평이 나있는 바입니다.
충북대의 경우 4명의 교수가 개인 논문 홈페이지가 없어서 최근 연구 동향을 파악 할 수 없었습니다.
 
 
6. 충남대학교 물리천문우주과학부 천문우주과학과
교수
김광태
오갑수
류동수
김용하
이 유
조정연
이수창
최종학력
미 University of Toronto 천문학 박사
미 University of California, Santa Cruze 천문학 박사
미University of Texas 천문학 박사 
미State University of New York 천문학 박사
미University ofColorado at Boulder 천문학 박사
미University of Texas 천문학 박사
연세대학교 천문학 박사
연구 분야
★전파천문학,  ★외부은하 천체 현상, 지구 상층 대기, 태양의 흑점 및 코로나
천문기기, ★구상성단,  ★왜소은하 항성계 역학
★자기유체역학, ★유체역학, 우주론
★자외선과 적외선을 통한 행성과 지구고층 대기 연구
★태양풍, 행성자기권 상호작용, 우주환경 예보
★우주 플라즈마, ★성간물질, 난류
광학 ,적외선, 자외선을 이용한 우리은하 및 외부은하의 구상성단 시스템, 왜소은하와 타원은하의 특징 및 기원 연구
방문교수
이우백
이태형
민영철
최종학력
 
경희대학교 천문학 박사
 
특징: 충남대의 경우 은하와 성단, 성운 그리고 행성의 대기에 대해 집중적으로 연구한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유명한 교수로는 류동수 교수가 있으며 우주론으로 관련분야 사람들에게 전세계적으로 널리 알려져 있습니다. 2006년도에 BK21사업 선정으로 인하여 재정적으로도 많은 지원을 받고 있는 대학 입나다.
 
 
7. 경북대학교 천문대기과학과
교수
박명구
윤태석
황재찬
장헌영
최종학력
미Princeton of University 천문학 박사
미Indiana of University 천문학 박사
미University of Texas 천문학 박사
영University of Cambridge 천문학 박사
연구분야
중성자 별, 블랙홀, 중력렌즈, ★수소 상대적 복사
변광성의 분광 및 측광, 천문기기
★우주론
태양 물리, 천체물리
특징: 타 대학에 비해 학과 교수가 매우 적으나 교수들의 최종학력은 입이 떡 벌어질 정도로 좋습니다. 천문학계의 1위를 달리고 있는 프린스턴 대학원을 나온 박명구 교수, 그리고 그에 버금간다는 영국 케임브리지 대학원을 나온 장헌영 등 상당한 교수진을 갖추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는데요. 특히 박명구 교수의 경우 국책 사업인 우주구조와 진화 연구를 선도하고 블랙홀 분야에서는 전문가로 정평이 나있습니다.
 
경희대 자료를 제공해주신 송용준님 감사합니다.
 
도움이 되었다면 UP 눌러주세요!
UP이 많은 답변일수록 사용자들에게 더 많이 노출됩니다.
4번째 답변
프로필 사진
qkrr****
초수
본인 입력 포함 정보
천문 대학을 가시는게좋을듯

2009.12.23.

도움이 되었다면 UP 눌러주세요!
UP이 많은 답변일수록 사용자들에게 더 많이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