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AVER

질문 4가지 논문관련 영작부탁드립니다^^*
dnah**** 조회수 18,496 작성일2009.01.09

추운데 건강하게 지내시는지 모르겠네요^^지아님의 도움으로 천천히 준비가 잘되어가고 있습니다.

한국에 계시면 언제 식사라도 같이 하시죠^^제가 맛있는거 사드릴께요.

몇가지 논문을 제출하라고 하는데 지금 보내드리는것에서 어려운 전공단어는 한글로 표기하셔도 됩니다.

그외에 하실수 있는 부분만 해주시고요. 어려운 부분은 한글로 표기하셔도 무관합니다.

계속 짐만 드리네요. 이건 다음주까지 하셔도 되는것이니 너무 무리하시면서 하지는 마세요^^

그리고 제가 여기 네이버내공으로는 사례가 부족한거 같아 식사대접하고 싶으니 연락처라도 남겨주세요

항상 행복하시고, 유학의 길에서 좋은 인연을 만난거 같아 기분이 좋습니다. 부탁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1. 서론

 

“유비쿼터스(Ubiquitous)는 현대의 생활 속에서 생소한 것이 아닌 일상생활 요소로 모든 분야에 적용되고 있다. 또한, IT분야를 주축으로 개발되면서, 건축·도시의 전반적인 부분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러한 배경에서 세계는 ‘U-City(Ubiquitous City)’라는 개념 및 지속가능한 도시개발과 함께 구체적인 기본계획을 세우고 일부 도시를 대상으로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그러나 계획 및 적용하기에 앞에서 경제적 측면이 고려되어야 한다. 과연, 대대적인 자본을 투자하여 그 이상의 효과를 얻을 수 있는지에 대한 의구심이 불분명하다. 즉, 개발초기단계에 실험적인 진행상황으로 인해 U-City 개발 표준화(UDS : U-City Development Standard) 내용이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UDS를 통한 개발이 경제적으로 얼마만큼의 효과를 낼 수 있는지 “U-City 개발의 유형화 및 항목”을 설정하고 그것을 통해 다양한 연관성 분석 방법을 적용하여 경제적 척도를 분석하기 위한 기초연구의 틀 설정구축에 있다.

연구의 방법은 유비쿼터스와 도시에 대한 근본의 개념의 이론적 고찰을 통해 정립하고, 현대의 개발동향에 맞추어 두 가지 요소들에 대한 연관성 및 세부내용을 파악하는 것이다. 그것을 바탕으로 국내․외 U-City개발 사례 각각 총 38개를 선정하여 그에 관련된 계획목적 그리고 물리적 측면의 계획 방법을 파악한다. 더불어, 그 요소들을 통해 U-City의 개발유형을 발췌하여, 환경론을 고려한 지속가능한 도시개발 방향과 어떤 연관성을 갖는지 분석한다. 이렇게 분석된 내용을 바탕으로 UDS를 위한 5가지의 측면(인간․생활․인프라․서비스․제도의 표준)을 만든다. 다양한 개발측면을 통해 물리적 계획방법과 U-City개발유형에 따른 방향과 함께 서로간의 연관성을 분석한다.

 

2. 이론적 고찰 : 도시와 유비쿼터스(City and Ubiquitous)

 

2.1. 도시

 

2.1.1 개념 및 형성배경

 

과거의 도시는 왕궁 소재지인 정치 중심지로 도읍(都邑)과 상업 중심지로서의 저자(市場)의 역할을 함께 지니고 성립하였고, 근대 이전의 도시는 이 두 가지 기능을 중심으로 대부분 발달해왔다.

19세기 산업혁명 이후의 도시는 기계문명에 힘입은 공업제품의 대량생산 및 그 제품의 대량거래, 대량수송으로 경제 및 자본에 의한 실용의 도시로 발전되어 갔다. 또한, 급속한 경제성과 더불어 세계적으로 도시는 점차 기존의 상징적인 부분에서 벗어나, 새로운 모습으로 거듭나게 된다.

그럼에 따라 도시에 있어 가장 큰 이슈가 되고 있는 것이 “환경”문제이다. 이를 위한 개발정책 및 개발방향으로 환경문제를 염두에 둔 “지속가능한 개발” 현상은 현대의 도시의 환경을 다시 한 번 변화 시키고 있다.

 

 

2.1.2 개발동향 : 환경론에 입각한 지속가능한 도시개발

 

위와 같은 이유로, 환경문제가 인간의 생존을 위협한다는 가설이 1970년대에 인식되면서 환경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환경문제의 근원을 이론적으로 연구가 시작하였다. 현대에 이르러 환경에 대한 가치에 대해 오리어든 (O`Riordan , 1981)은 환경운동의 초창기에 나타난 사고방식이나 이데올로기를 기준으로 기술중심주의(technocentrism)와 생태중심주의 (ecocentrism)으로 분류하였으며, 샌드바흐(Sandbach, 1980)는 사회과학적 이론에 의한 분류로 기능주의에 기초한 다원론과 마르크스주의에 기초한 사회․인간중심주의(anthropocentrism)견해로 분류하였다. <표1 참조>

 

2.2 유비쿼터스(Ubiquitous)

 

2.2.1 개념 및 형성배경

 

과거 산업사회의 발달과 함께 20세기에는 새로운 형태의 매스 미디어인 전파 매체가 등장한다. 이후 정보사회의 컴퓨터 등장과 확산에 의한 퍼스널 컴퓨터(Personal Computer)의 대량보급은 사회․문화적 변혁을 가져왔으며 더 나아가 컴퓨터 네트워크 환경이 가속화 되면서 오늘날에는 새로운 패러다임인 “유비쿼터스(Ubiquitous)”가 등장하게 되었다.<표2 참조>

유비쿼터스는 언제, 어디서나 도처에 존재 한다”는 의미로 유비쿼터스 컴퓨팅(Ubiqitous Computing)은 장소나 시간에 구애 받지 않고 생활 속에서 자유롭게 컴퓨터를 사용할 수 있는 환경, 즉 모든 사물이 네트워크로 연결된 상태를 말한다.

 

2.2.2 개발동향 : 유비쿼터스 이론 및 개념 정립

 

세계의 유비쿼터스 개발현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이 정리 할 수 있다. <표3 참조>

미국은 제록스 PARC(Palo Alto Research Center)에서 연구원으로 일하던 마크 와이저(Mark Weiser, 1952~1999)는 사람을 포함한 현실 공간에 존재하는 모든 대상물들을 기능적·공간적으로 연결해 사용자에게 필요한 정보나 서비스를 즉시에 제공할 수 있는 기반 기술로서 유비쿼터스 컴퓨팅(이하 유비컴)을 정의했다. 세계 최대의 소프트웨어 업체인 마이크로소프트(MS)의 빌 게이츠 회장은 컴덱스 기조연설에서 'SPOT(Smart Personal Object Technology)'를 새로운 화두로 제시했다. 미국의 유비쿼터스 컴퓨팅은 DARPA(U.S. Department of Defense> Defense Advanced Research Projects Agency:미 국방부 산하 고등연구계획국), NIST(U.S. Government> National Institute of Standards and Technology: 미 국립표준기술원) 등이 국가적 차원에서 주도하여 대학들로 하여금 프로젝트를 수행토록 하고 있으며, 일반 기업체로는 마이크로소프트(Micosoft)가 “Easy Living 프로젝트”를 통하여 Calm technology(조용한 기술)의 구체화를 추진하고 있으며, 휴렛패커드(Hewlett Packard)는 “Cool Town 프로젝트”를 통하여 장소중심의 Embodied Virtuality를 이룩하기 위하여 노력하고 있다.

일본은 1999년 노무라 연구소의 무라카미 데루야스는 ‘유비쿼터스 네트워크’라는 개념으로 마크 와이저의 유비쿼터스 컴퓨팅을 재해석 하였다. 이는, 네트워크 세 단계 P2P(Person to Person), P2O(Person to Object), O2O(Object to Object)로 나누고 O2O단계에서 유비쿼터스 컴퓨팅 시대가 도래한다고 하였다. 일본의 트론(TRON) 프로젝트를 주도해 세계의 주목을 받은 바 있는 도쿄대 사카무라 켄 교수는 저서 '유비쿼터스 컴퓨팅 혁명'을 통해 '선진국의 경우 저성장 사회로의 이행이 가속화되고 있는데 유비쿼터스 컴퓨팅은 지속적 성장이 가능한 순환형 시스템의 정착을 가능하게 해줄 것이라고 전망하고 있다. 일본은 IT-전략본부(본부장: 고이즈미 수상)가 지금까지 추진해온 e-Japan 전략을 재검토하여 IT를 활용하여 새로운 가치창조를 하기위한 u-Japan 전략을 추진하고 있는데 ‘IT를 활용한 새로운 가치 창조: u-Japan 전략’이라는 제목의 이 제안서를 보면 유비쿼터스 네트워크화를 추진해 세계에서 유래 없는 IT 인프라를 창조하고 이를 바탕으로 디지털 콘텐츠, 유비쿼터스 일렉트로닉, 유비쿼터스 서비스 등 새로운 가치를 창출해 낼 것을 목표로 설정하고 있다. 또한 총무성은 2005년까지 “무엇이든, 어디서든 네트워크”의 요소기술의 확립을 위한 연구개발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다.

유럽연합(EU)은 EC의 정보사회와 미디어(Information Society and Media)의 비비안 레딩(Viviane Reding)위원은 "정보통신기술은 사람들의 보건 복건과 복지, 그리고 사회활동을 보다 풍요롭게 만들 수 있는 강력한 도구가 될 수 있다. 그러나 9천만명 이상의 유럽연합 시민들은 나이나 여러 장애요인으로 인해 정보통신기술의 혜택을 받지 못하고 있다. 정보통신 기술 제품과 서비스에 대한 접근성을 개선하는 사회적으로 중요하다. 동시에 이를 통해 경제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고 주장한다. 유럽연합(EU)의 유비쿼터스 추진 동향은 2001년에 IST(정보화사회기술계획)의 일환으로 FET(미래기술계획)가 자금을 지원하는 형태로 시작되고 있다. 대표적인 계획인 ‘사라지는 컴퓨팅 계획(Disappearing Computing Initiative)’을 중심으로 16개의 프로젝트를 통해 유비쿼터스 혁명에 대처하고 있다.

한국의 개발현황을 하원규 박사의 이론에서 살펴보면 유비쿼터스를 제3의 공간으로 정의하고 이것을 구현하는 핵심기술 중 하나가 유비쿼터스 컴퓨팅이며 그 개념은 ‘칩이나 센서와 같이 아주 작아서 도처의 사물 속에다 집어넣거나 입을 수도 있으며, 이들을 무선으로 연결시키는 것’ 이라고 정의 하였다. 최남희 박사는 “유 비즈니스는 유비쿼터스 정보기술을 활용해 전자공간과 물리공간이 연계된 공간에서 물리적 요소의 통합을 통해 언제나 접속되고 있고(always connected), 언제나 상황인식을 할 수 있으며 (always aware), 사람을 대신해 언제나 지능적/자율적으로(always smart), 행동/서비스 할 수 있는(always active), 제반 시스템을 중심으로 전통적인 산업경제 활동과 접목되어 경영관리, 쇼핑과

매장관리, SCM, CRM, 자산의 유지관리, 제조공정관리, 물류, 교통, 의료 복지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된 새로운 비즈니스/애플리케이션 체계라고 정의하고 있다. 산업자원부는 상황과 환경에 적응 가능한 네트워크 환경 (어디서 네트워크에 연결)을 제시하며, 편의성, 다양성이 높은 단말 환경(무엇이든 단말로 사용), 서비스 및 애플리케이션의 자유로운 이용환경(자유로운 콘텐츠 사용), 다수 사용자가 동시 이용 가능한 초고속 망 환경(편안한 네트워크), 안전한 정보이용 환경(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는 네트워크)로 정의하고 있다.

 

2.3 환경론과 U-City의 연관성 : U-City개발동향

 

환경론을 고려한 지속가능한 도시개발은 유비쿼터스의 개념과 합쳐져 새로운 U-City 개념으로 생성된다.<그림1 참조>

 

“기술중심주의” 도시개념은 미국과 일본의 유비쿼터스 추진방향과 유사한 방향 연관되어 진행되며, “사회․인간중심주의”는 유럽연합(EU)과 국내의 추진방향과 연관성을 갖는다. 마지막으로, “생태중심주의” 도시개념의 경우 기술, 인간, 사회와 절제된 공간개념에서 시작하므로 아직까지 유비쿼터스의 개발과는 차이가 있다. 하지만 개발 방향에 있어서는 향후 반드시 고려되어야 하는 부분이다.

 

3. U-City 사례분석

 

3.1 분석의 틀 : 선정기준 및 분석방법

 

사례분석을 위해 국내․외 사례 각각 19개씩 총 38개를 다음과 같은 선정기준으로 분석하였다. 선정 기준은 국외 사례의 경우 아시아, EU(유럽연합), 아메리카를 중심으로 1995년 이후에 개발이 시작되어 현재까지 진행되거나 이미 완공된 사례들이다. 국내사례의 경우, 국외사례 선정기준과 동일하며, 국내의 각 특별, 광역도시 그리고 대표적인 시․도․군이 분석의 선정기준에 속한다.

분석방법은 국내․외 사례 모두를 동일하게 국가, 사업주제, 추진현황 및 계획방법을 중심으로 분석하여 각 사례에 대한 미시적 개발요소를 발췌한다. 그것을 바탕으로 이론적 고찰에서 언급한 U-City의 거시적 개발동향을 기준으로 비교 분석해 사례들이 어떠한 방향으로 개발되고 있는지에 대한 동향을 세부적으로 살펴본다.<그림2 참조>

 

3.2 국내․외 사례분석

 

3.2.1 국외사례

 

국외의 U-City 사례분석을 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표4 참조>

 

일반적으로 ‘Digital City'라는 명목으로 사업들이 추진되고 있는데, 대표적인 추진 사례는 “홍콩의 사이버 포트”, “아랍에미리트 두바이 기업도시” “말레이시아의 MSC 프로젝트”, “싱가포르의 One North”, “일본 도쿄 시부야의 미디어 씨티”, “핀란드 헬싱키네의 Aribianranta 프로젝트”, “덴마크 코펜하겐의 Crossroads”, “독일 쾰른의 미디어 파트”, “스페인 바로셀로나의 Digital-Mile”, “스페인 자모라의 Zamora hot City”, “북아일랜드 벨파스트의 Science Park”, “아일랜드 더블린의 Amble Time”, “스웨덴 스톡홀롬의 Sonic City”, “영국 런던의 Urban Tapestries”, “브라질 브라질라아의 Spaiens Park”, “미국 뉴욕의 Spectropolis 프로젝트”, “미국 로체스터 스마트 의료단지”, “미국 밀워키의 Elite Care”, “캐나다 토론토의 U-Tronto”등이 있다.

내용을 종합해보면, 각 도시의 특성과 장점을 부각시켜 도시의 경쟁력을 제고시킬 수 있는 방향으로 추진되고 있다. 또한, 주변 산업과의 연계를 활성화 하여 상승효과를 발휘하고 단순 기능도시 차원을 넘어 쾌적한 생활 서비스를 제공하는 자족도시를 구현한다는 점이 공통점이 된다. 이러한 모든 것들은 지역의 특성과 IT 기술을 바탕으로 전략적 클러스터 조성을 통해 효과적인 네트워크 구축을 이루고 거주민에게 유무선 통신을 제공하는 등 정보 신도시 구축을 이루어 연계산업 상승효과를 달성시키고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신속한 광 네트워크 시스템이 각각의 세부적인 사례에서는 부족한 것이 현실이었다. 또한 그 개발에 있어 물리적 측면의 개발이 중요시 되고 있어, 도시개발을 위한 구체적인 데이터베이스(Data-base)가 필요하다.

 

3.2.1 국내사례

 

국내의 U-City 사례분석을 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표5 참조>

 

지방자치단체가 활발하게 사업을 추진․계획하고 있으며, KT, SI/NI, 한국토지공사, 대한주택공사 등이 각 사업체들이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다.

그 사례들을 살펴보면, “서울시의 상암DMC", "서울시 강남구청의 U-강남", "부산시의 U-부산", "인천시의 U-송도", "대전시의 U-대전", "광주시의 U-광주", "대구시의 U-대구", "제주도의 U-제주", "전주시의 U-전주", "전라남도의 U-전남", "용인․홍덕시의 디지털도시", "동탄시의 U-City", "파주시의 U-파주", "수원시의 U-수원", "경기도의 판교 신도시", "경상북도의 U-경북", "창원시의 U-창원", "충청북도의 U-오성", "충청남도의 U-아산"등이 있다.

내용을 종합해보면, 국가적인 차원에서 지자체가 중심되어 사업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다는 점이 공통 요소가 된다. 지방자치단체는 교통, 환경, 시설물관리, 도시안전관리, 문화 등 다양한 도시 활동을 정보 기술과 유비쿼터스 IT를 통해 지능형 서비스로 구축하여 도시민의 생활편익을 추구하고 있다. 더불어, 지역 특성에 맞는 특화산업을 선정하여 지역도시 경제 활성화를 적극적으로 모색하고 있다. 결과적으로, 지방자치단체는 u-City를 통하여 안정적이고 편리한 주거 환경을 조성하면서 동시에 각 지역의 사회 문화적 특성이나 산업발전 전략과 연계시켜 특성화된 사업을 추진하는 점이 공통 사항이 된다. 국내 u-City는 세계 최고 수준의 유무선 인프라 환경을 갖추고 있으며 건설 등 경쟁력 있는 관련 산업을 보유하고 있다. 더욱더 중요한 것은, 광범위하고 수준 높은 이용자 기반이 있어 성공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또한, 이것을 통해 유비쿼터스 IT의 기술이 급격히 발전하고 일반인의 수요가 높은 점이 U-City 활성화를 더욱더 가속화하고 있는 것이다.

 

3.2.3 종합

 

국내․외 사례를 분석한 결과 다음의 결과를 얻어 낼 수 있었다. <표6 참조>

  

각 사례를 분석한 결과 각각의 도시개발 유형을 “주거도시”, “상업도시”, “연구도시”, 레저․관광도시“, ”행정도시“등 5가지로 분류 할 수 있었다. 이러한 도시개발 유형을 바탕으로 이론적 고찰에서 언급한 환경론과 그에 관련된 세부 요소들의 연관성을 분석해 본 결과 다음과 같은 개발 동향을 알 수 있었다.

 

국외사례의 주거도시의 경우, 기술중심 개발에 미국사례 3개(F16-F18)이 대부분 적용되었음을 볼 수 있었으며, 사회인간중심 개발에서도 역시 미국사례가 대부분 적용됨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생태중심의 경우 전혀 고려되지 않고 그 개발항목이 미비함을 알 수 있었다. 상업도시에서는 기술중심에 개발도상국(홍콩, 아랍에미리트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등(F1-F4)의 사례들이 대부분 적용됨을 볼 수 있었고, 사회인간중심개발의 경우 개발도상국외 일본사례(F5)가 적용되고 있음을 볼 수 있었다. 하지만 역시 생태중심의 경우에는 그 개발 방향이 미비함을 볼 수 있다. 연구도시의 경우, 기술중심개발은 개발도상국 일부와 유럽의 대부분 사례(F6-F11)의 사례들이 적용됨을 볼 수 있으며, 사회인간중심의 경우 개발도상국, 유럽사례 소수(F2,F7)을 제외하고는 거의 적용이 미비한 것으로 알 수 있었고, 생태중심의 경우 역시 고려는 부족하다. 레져·관광도시의 경우 기술중심은 일부 개발도상국, 유럽과 북·남미 사례에서 적용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사회․인간중심의 경우 대부분 고루 적용되고 있었으며, 생태중심은 적용되지 않았다. 행정도시의 경우 북미사례 캐나다(F19)를 제외하고는 대부분 아직까지 그 개발이 미비한 것으로 분석 되었다.

 

국내사례의 주거도시의 경우, 서울, 전라남도, 용인, 파주시 등의 사례가 기술중심개발에 중점을 두었으며, 사회․인간중심 개발에도 대부분 적용됨을 볼 수 있다. 상업도시의 경우, 서울시, 대구시, 부산시, 인천시등 대부분 대도시에서 적용되었으며, 사회․인간중심에서도 역시 비슷한 개발방향을 고수하고 있다. 생태중심의 경우, 파주시(K13)와, 경기도(K15) 개발에 중점을 두어 개발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연구도시의 경우 서울, 대전을 중심으로 경기도 주변의 신도시(K12,K13,K18,19)가 기술중심에서 개발됨을 볼 수 있었고, 사회․인간중심의 경우 역시 동시에 고려되고 있다. 생태중심개발에서는 파주시가 역시 포함되어 있었다. 레져·관광도시에서는 부산시(K3), 광주시(K6), 제주도(K8), 전주시(K9)등의 사례가 기술중심 개발에 포함되어 있었으며, 사회․인간중심도 역시 동시에 고려되어 개발되고 있다. 행정도시의 경우 기술중심에서 서울과 수원 및 일부 도시에서 개발되고 있음을 볼 수 있으며 사회․인간중심주의 역시 동일하게 고려되고 있다.

 

위의 국내·외 사례를 종합해 보면, 국내사례는 국외사례보다 대부분 지속가능한 개발을 목적으로 각각의 세부계획 요소들과 맞추어 계획되었다. 주거도시, 연구도시, 행정도시 개발에 국내의 사례들이 대부분 적용됨을 볼 수가 있으며, 상업도시, 레저․관광도시의 경우 각각 적용의 빈도가 유사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또한, 기술 중심 개발방법에 있어 네트워크 고도화 추진은 국내․외 사례 모두 집중적으로 개발을 추진하고 있으며, 사회중심주의 개발방법에서 레저․관광 도시 유형의 경우 국내보다 국외의 사례들이 집중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행정도시의 경우 국내·외 사례에서 기존의 행정도시 기능을 갖고 있는 중점적 도시로 판별하고 있으나, 과거의 조사 자료를 바탕으로 연구된 다양한 자료들을 기반으로 판별된 사항이므로 이에 따른 데이터 업데이팅 및 재검토 작업이 필요하다.

 

4. 심층분석 : U-City 개발의 표준화 정립 및 경제적 효과

 

4.1 분석의 틀

 

국내․외 사례분석을 통해 현대의 U-City개발의 동향 및 도시개발 유형 그리고 그에 관련된 물리적 계획방법을 알 수 있었다. 위의 분석은 U-City 표준화를 위한 데이터베이스(Data Base)구축의 과정

으로서 그것을 통해 5가지 “인간의 표준화”, “생활의 표준화”, “인프라 표준화”, “서비스 표준화”, “제도의 표준화”로 분류 할 수 있다.<표7 참조> 이것은 <표 6>에서 분석한 내용과 더불어 U-City개발을 위한 세부적인 물리적 계획방법을 기존의 사례분석을 통해 도출하면서, 그것이 각각의 사항에 어떻게 연관되어지는지 분석 할 수 있다.<그림3 참조>

 

4.2 U-City 표준화를 위한 유형화 및 계획기법 요소분석

 

4.2.1 인간의 표준화(Human standardization)

 

인간의 외․내향적인 신체적 특징, 사물을 생각할 수 있는 인지 등은 개개인이 다르다. 그러므로 유비쿼터스의 기술적 측면들이 아무리 우리 생활에 긍정적으로 다가온다 하더라도 그것에 대해 부정적인 생각을 갖을 수 있다고 생각한다. 따라서 우리는 인간의 표준화에 대한 연구가 시급히 필요하다. 그에 관련된 세부 물리적 계획측면을 살펴보면, “개인 체형적용 계획”, “공동체형적용 계획”, 장애인 및 노약자를 위한 계획“, 이국(異國)인들을 위한 계획”, “개인의 하루일정”, “공동의 하루일정”등 6가지의 내용으로 나눌 수 있다.

 

4.2.2 생활의 표준화(Life standardization)

 

하루의 생활역시 개인 그리고 단체 나아가, 모든 생태계 마다 다르다. 이런 스케줄을 담당하고 관리하는 컴퓨터는 기술적으로 기존의 데이터에 의해 작동된다. 그렇다면 유비쿼터스를 활용하는 인간의 생활은 그것에 관련되어 각각의 세부 항목으로 나뉘어 적용되어야 한다는 것으로 설명된다. 더불어, 세부적인 이동경로, 활동 등은 생활의 표준화에 있어서 다양한 유형으로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그에 관련된 세부 물리적 계획측면을 살펴보면, “건강 일정관리”, “공동생활 일정관리”, “개인생활 일정관리”, “Health Care)", "공동커뮤니티 활성화 사업”, "Living Lab", "도시의 생활체계의 체적화“, ”비즈니스 테스트베드 도입“등 8가지로 분류 할 수 있다.

 

4.2.3 인프라의 표준화(Infra standardization)

 

유비쿼터스 개발에 있어 현재 기본적 동향으로 자리 잡고 있는 부분 중에 하나가 유비쿼터스의 인프라 일 것이다. 또한, 경제적 측면과 밀접한 아주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이것을 통해 유비쿼터스의 개발정도를 구분하는 척도가 되기도 한다. 그러나, 이러한 인프라가 만들어진 사업체 별로 호환이 되지 않거나 서로 운용되지 않는다면 무용지물이 될 것이다. 따라서 현대의 개발동향을 보았을 때, 인프라에 대한 시급한 표준화가 필요하다. 그에 관련된 세부 물리적 계획측면을 살펴보면, “보안시스템”, “사고 감지/제어”, “실내․외 환경 자동조절”, “네트워크 시스템”, “원격의료 시스템”, “스마트 스쿨 및 연구소”, “예술 및 교육간 네트워크”, “건축물 간의 가변성”, “도시정보 관제 시스템”등 9가지로 분류 할 수 있다.

 

4.2.4 서비스의 표준화(Service standardization)

 

위에서 언급한 인프라가 하드웨어라면, 서비스는 소프트웨어 측면이라 볼 수 있다. 인프라를 움직이기 위해서는 기본적인 관리 프로그램이 있어야 한다. 이 부분 역시 유형적인 측면의 표준이 아닌 무형적인 표준화가 필요한 것이다. 각각의 프로그램들이 서로 상이한 인프라를 만났을 때 발생하는 문제를 신속하게 해결하기 위해 동일한 코드가 정확히 정해져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그에 관련된 세부 물리적 계획측면을 살펴보면, “생활 지원 컴퓨터 데이터”, “생활지원 관리”, “컴퓨터 제어 소프트웨어”, “금융, 무역, 경제, 정책관련 정보”, “초고속 네트워킹 시스템”, “기능별 데이터베이스 구축”, “Reservation Managements" 등 7가지로 분류 할 수 있다.

 

4.2.5 제도의 표준화(Politic standardization)

 

지금까지 살펴본 각각의 사항들을 전체적으로 관리하고 통제하는 것은 국가이며 그것을 이행하기 위해서는 구체적인 제도적 장치가 필요하다. 세부적으로 헌법, 법률 등 여러 가지 내용들이 포함되는데, 아직까지 국내․외의 제도적 개발 및 표준은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어쩌면 위의 4가지 표준화의 내용은 제도적 표준화가 구체적으로 정립되어야 더욱더 활성화 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그에 관련된 세부 물리적 계획측면을 살펴보면 “개발주체 U-City 구축지원”, “U-City" 지구단위 계획인증”, "주도적 담당기관의 공통화“, ”도시적 BcN개발 및 품질인증“, ”통합, 융합 서비스 관련제도“, ”서비스 수준 협약 SLA"등 6가지로 분류 할 수 있다.

 

 

4.3 표준화 요소와 도시개발유형의 연관성분석

 

표준화의 요소 및 물리적 계획측면과 도시개발 유형의 연관성을 분석해 본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표8 참조>

 

거시적으로, 대부분 기술 중심과 인간 사회중심으로의 도시개발에는 대부분 표준화와 연관성이 많음을 볼 수 있었으며, 각각의 U-City개발 유형에 따라 환경론을 고려한 지속가능한 도시개발 유형 3가지중에서 생태중심 부분에서는 아직 표준화의 관련이 적은 것으로 판별 되었다. 생태중심의 경우 기술인간사회중심의 표준화가 기본적으로 정립되고 나서 후속적으로 개발되어야 하는 항목으로 비추어진다. 미시적으로, 인간표준화 경우, 주거도시, 상업도시, 연구도시, 정치도시의 인간․사회중심의 개발에 연관성이 높음을 알 수 있다. 생활표준화의 경우, 주거도시의 기술중심, 상업도시, 연구도시, 레저관광도시의 경우 기술과 인간․사회중심 개발에 많이 치우쳐져있음을 볼 수 있다. 인프라 표준화의 경우, 도시개발 유형항목 5가지 모두 기술중심의 개발과 연관성이 높음을 볼 수 있다. 서비스 표준화의 경우 역시 모든 도시개발 유형항목 5가지에 기술중심, 인간․사회중심의 개발과 연관성이 높음을 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제도의표준화의 경우, 주거도시, 상업도시, 연구도시, 레저․관광도시는 인간․사회적 측면개발에 연관성이 높았으며, 정치도시의 경우 기술 중심에도 동시에 관련이 높음을 분석 할 수 있었다.

 

5. 결론 및 제언

지금까지 살펴본 U-City표준화 정립과정 및 경제적 효과의 결과를 통해 우리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첫째, 기존의 U-City개발을 위한 기술적 측면의 집중개발이 아닌 도시와 유비쿼터스 각각의 객체에 대한 이론적 배경 그리고 현재까지 발전해 온 세부적인 동향들을 살펴본 것이 중요하다 할 수 있다. 이것이 바탕이 되어 본 연구의 표준화를 위한 기초연구의 초석(礎石)이 되었다. <그림1참조>

둘째, 각 객체의 이론적 바탕을 통해 현재 개발되고 있는 국내․외 사례를 분석해 봄으로 개발의 발전 동향 및 현 위치를 알아볼 수 있었다.<표6참조>

셋째, 상황파악을 통해 그것에 적합한 요소 즉 표준화를 할 수 있는 각각의 객체를 개발동향과 세부 물리적 측면을 통해 도출해 내어 표준화의 지표로 정립하였다.<표8참조>

지금까지 연구된 내용은 향후 후속연구로 진행 될 “UDS 경제성 평가"에 대한 분석의 기초연구로 국내․외 사례별 각각에 대한 개발 이전․이후의 현황을 본 논문의 결론(U-City 표준화를 위한 도시개발유형과 물리적 측면 간의 연관성 분석)의 항목별 물리적 계획기법의 적용, 미적용 여부를 판별한다. 또한, 체계화된 U-City개발 현황을 심층적으로 재분석하며, 분석된 항목을 수치적 기준과 경제적 평가지표로 설정하여 구체적인 경제성 평가를 체계적으로 실시 하고자 한다. 이렇게 도출된 결과물은 향후 U-City를 개발함에 있어서 신속한 계획기법의 적용 및 인프라 구축에 있어 필요, 불필요 요소의 분류 작업을 하게 되며, 개발특성에 따라 효과적인 경제성 구축이 가능할 것이다.

U-City의 표준화를 통해 우리가 얻을 수 있는 경제적 효과는 크다. 그러나 표준화가 정립되는 순간에도 그 표준의 지침은 신속한 개발 동향에 따라 또 다시 변화되고 또 다른 경제적 손익을 만들게 될 것이다. 따라서, 지속적인 표준화 데이터베이스 업데이팅 (Data Base Updating)과정을 추진해야 하며, 동시에 표준화 지침을 통해 각각의 객체를 하나로 통일해야 할 것이다. 

 

유비쿼터스(Ubiquitous)는 라틴어로서 “어디서에서나(everywhere)라는 뜻을 가진 라틴어 ”유비크(Ubique)“에서 파생된 말로 사용자가 이용하기 쉽고 편리한 IT환경을 구현하기 위해 도입된 새로운 개념이다.

 

실제로 존재하는 사물에 computer가 심어져 서로를 연결시키며 가능하게 하는 기술, Ubiquitous Computing은 4가지특징은 갖는데, 첫 번째로 반드시 네트워크로 연결되어야 한다. 둘째, 인간화된 interface를 갖아야 하며, 눈에 보이지 않아야 한다. 셋째, 가상공간이 아닌 현실세계 어디서든 computer의 사용이 가능하다. 넷째, 사용자의 상황에 따라 서비스가 변한다. 궁극적으로 지능화된 환경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일인 다수의 computer를 사용하는 구조”이다. 이에 대한 구현은 모든 사물들에 심어진 computer를 network로 연결하고, 그것이 인간중심의 환경을 이루고 있는 방향으로 진행한다.

 

개념과 사례로 본 유비쿼터스 전략, 한국전산원 U-전략팀(2005), 유비쿼터스 컴퓨팅 시대의 차세대 PC, ETRI, 한동원(2005), 유비쿼터스의 개요와 동향, 정보통신부, 주종옥(2005) 내용을 정리하여 재구성

 

물리공간을 제1의 공간, 전자공간을 제2의 공간으로 보며, 물리공간에 전자공간을 내재 하므로서 유비쿼터스 공간 즉, 제3의 공간이라 정의하고 있다.

 

표4의 국외사례 분석은 문태훈(2004), “유비쿼터스 도시(U-도시) 구축 실행 계획에 관한연구”, 정보통신 학술 연구과제 연구보고서, 김도훈(2002), U-Korea 구축 종합전략 연구-국내위탁연구계획“,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보고서, Coucelist Helen(2004) ”The consturction of the digital city" Environmental and Planning B : Planning and Design Vol.31.No31 자료를 참조하여 분석의 틀을 기준으로 재구성하였음.

 

표5의 국내사례 분석은 문태훈, op. cit (2004), 정병주(2005), "국내 유비쿼터스 현황분석", 한국 전산원의 자료를 참조하여 분석의 틀을 기준으로 재구성하였음.

 

지경용(2006) “U-City 시장전망과 발전 방향”,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지경용 외2인(2005) “U-City 시장수요 전망과 비즈니스 기회 분석 보고서”,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정병주, op. cit 2005, 한국전산원, 오정연(2005), “국내 유비쿼터스 현황분석, 한국 전산원”,전산원, 방위 사업청(2006), “국가정보화 시장동향”, 국가행정자치부 의 자료에서 분석한 U-City개발 항목을 구체화 하여 5개의 대표도시 유형으로 재구성하였으며, 환경론과 더불어 그에 따른 국내·외 사례에서 추출한 대표적인 물리적 계획기법 항목을 바탕으로 적용·미적용 사항을 거시적으로 판별하여 1차 연관성 평가를 얻을 수 있었다.

 

표준화를 위한 요소는 문태훈, op. cit 2004, 정병주(2005) "국내 유비쿼터스 현황분석”, 한국전산원, 지경용(2006) “U-City 시장전망과 발전 방향”,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지경용 외2인, op. cit 2005, 정병주, op. cit 2005, 한국전산원, 오정연, op. cit 2005, 전산원방위사업청, op. cit 2006,의 자료의 분석항목을 재구성하여 5개의 유형으로 나누었으며, 그에 따른 세부항목을 재분류 하여 U-City개발을 위한 체계화를 모색하였다. 이것은 향후 지속적인 물리적 측면 계획의 개발과 데이터의 업데이팅(updating)을 통해서 지속적으로 수정되어 질 수 있음을 명시한다.

 

조병선, 정우수, 조항숙 (2006) : U-City 사업전개와 추진동향 : pp.152-162, ETRI, 문태훈(2004), “유비쿼터스 도시(U-도시) 구축 실행 계획에 관한 연구”, 정병주, op. cit 2005, 지경용, op. cit 2006, 지경용 외2인, op. cit 2005, 정병주(2005), “기업의 유비쿼터스 서비스 이용 현황”, 한국전산원, 오정연, op.cit 2005, 전산원방위사업청, op. cit 2006, Couclelis, Helen.(2004), "The construction of the digital city". Environment and Planning B : Planning and Design. Vol.31.No31.PP5-19. England, "Urban Tapestries"(2003) under HP Lab‘s City and Building Research Center : The UK Department of Trade and Industry, the Arts Council 의 내용을 바탕으로 계획기법의 적용, 미적용 여부를 표준화 유형중심으로 판별하였으며, 표준유형화에 따른 물리적 계획기법이 어떻게 도시유형별로 적용되고 있는지에 대한 여부를 재판별하여 향후 경제적 평가를 하기위한 초석의 평가지표를 설정한다.

 

 

 

 

 

 

 

 

 

 

 

프로필 사진

답변자님,

정보를 공유해 주세요.

1 개 답변
2번째 답변
프로필 사진
sh****
영웅
번역, 통역 분야에서 활동
본인 입력 포함 정보

으악~~~~~~~~~~~ 너무 막대한 분량에 제 손이 먼저 덜덜 떨리네요 ㅎㅎ;;;

 

그래도 한번 해보겠습니당~ ^^*

 

 

 

 

 

 

 

 

 

 

 

 

 

1. 서론

1. Introduction

 

“유비쿼터스(Ubiquitous)는 현대의 생활 속에서 생소한 것이 아닌 일상생활 요소로 모든 분야에 적용되고 있다.
Ubiquitous is applied in everyday life, and it is not unfamiliar to us.

 

또한, IT분야를 주축으로 개발되면서, 건축·도시의 전반적인 부분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러한 배경에서 세계는 ‘U-City(Ubiquitous City)’라는 개념 및 지속가능한 도시개발과 함께 구체적인 기본계획을 세우고 일부 도시를 대상으로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Also, It affects overall building construction as it is developed with the center of  IT. At this background,

the world is progressing project about U-city(Ubiquitous city) with concrete concepts of durable

buildings.

 

그러나 계획 및 적용하기에 앞에서 경제적 측면이 고려되어야 한다. 과연, 대대적인 자본을 투자하여 그 이상의 효과를 얻을 수 있는지에 대한 의구심이 불분명하다. 즉, 개발초기단계에 실험적인 진행상황으로 인해 U-City 개발 표준화(UDS : U-City Development Standard) 내용이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But we have to consider economical factors. We are not sure if it is efficient after we put a lot

of money. Thus, we are lacking of information about standarization of U-city developement because

we are at the first period of developement.

 

본 연구의 목적은 UDS를 통한 개발이 경제적으로 얼마만큼의 효과를 낼 수 있는지 “U-City 개발의 유형화 및 항목”을 설정하고 그것을 통해 다양한 연관성 분석 방법을 적용하여 경제적 척도를 분석하기 위한 기초연구의 틀 설정구축에 있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hat if it will be economically efficient by using UDS, and

we are setting "U-city developents, and it's condemnment.", as we are using that to analize economical

measure.

 

연구의 방법은 유비쿼터스와 도시에 대한 근본의 개념의 이론적 고찰을 통해 정립하고, 현대의 개발동향에 맞추어 두 가지 요소들에 대한 연관성 및 세부내용을 파악하는 것이다.

Methods used in this research is that we have to make original concept of logical theory, and

to grasp detail information between these two factors.

 

그것을 바탕으로 국내․외 U-City개발 사례 각각 총 38개를 선정하여 그에 관련된 계획목적 그리고 물리적 측면의 계획 방법을 파악한다. 더불어, 그 요소들을 통해 U-City의 개발유형을 발췌하여, 환경론을 고려한 지속가능한 도시개발 방향과 어떤 연관성을 갖는지 분석한다.

For that as a center, we have to choose 38 examples about development of U-city and know

the purpose of the project. Also, we have to analize interactions between durable development of

cities and environmentalism.

 

이렇게 분석된 내용을 바탕으로 UDS를 위한 5가지의 측면(인간․생활․인프라․서비스․제도의 표준)을 만든다. 다양한 개발측면을 통해 물리적 계획방법과 U-City개발유형에 따른 방향과 함께 서로간의 연관성을 분석한다.

With these analysis, we will make 5 points(humans, life, Infra, service, and standard of salvation) about

UDS. We can analyze interactions between physical methods and the development of U-city.

 

2. 이론적 고찰 : 도시와 유비쿼터스(City and Ubiquitous)

2. Theory inquiry. City and Ubiquitous

 

2.1. 도시

2.1. City

 

2.1.1 개념 및 형성배경

2.1.1 concept and formal backgroud

 

과거의 도시는 왕궁 소재지인 정치 중심지로 도읍(都邑)과 상업 중심지로서의 저자(市場)의 역할을 함께 지니고 성립하였고, 근대 이전의 도시는 이 두 가지 기능을 중심으로 대부분 발달해왔다.

Past cities were at the center of palaces, and those places works as a capital city, center of

commerce, and cities before medieval period was developed by doing these two things.

 

19세기 산업혁명 이후의 도시는 기계문명에 힘입은 공업제품의 대량생산 및 그 제품의 대량거래, 대량수송으로 경제 및 자본에 의한 실용의 도시로 발전되어 갔다. 또한, 급속한 경제성과 더불어 세계적으로 도시는 점차 기존의 상징적인 부분에서 벗어나, 새로운 모습으로 거듭나게 된다.

After Industrial Revolution in 19th century, cities traded at the large amounts by using technologies.

Also, fast ecnomical cities were changed to new appearances, not only for symbolic parts.

 

그럼에 따라 도시에 있어 가장 큰 이슈가 되고 있는 것이 “환경”문제이다. 이를 위한 개발정책 및 개발방향으로 환경문제를 염두에 둔 “지속가능한 개발” 현상은 현대의 도시의 환경을 다시 한 번 변화 시키고 있다.

The biggest issue as for the cities were environmental problems. Durable development

about development and the directions of developments are changing the environments of cities

again.

 

 

2.1.2 개발동향 : 환경론에 입각한 지속가능한 도시개발

2.1.2 Way of researches : Durable development of cities based on environmentalism.

 

위와 같은 이유로, 환경문제가 인간의 생존을 위협한다는 가설이 1970년대에 인식되면서 환경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환경문제의 근원을 이론적으로 연구가 시작하였다. 현대에 이르러 환경에 대한 가치에 대해 오리어든 (O`Riordan , 1981)은 환경운동의 초창기에 나타난 사고방식이나 이데올로기를 기준으로 기술중심주의(technocentrism)와 생태중심주의 (ecocentrism)으로 분류하였으며, 샌드바흐(Sandbach, 1980)는 사회과학적 이론에 의한 분류로 기능주의에 기초한 다원론과 마르크스주의에 기초한 사회․인간중심주의(anthropocentrism)견해로 분류하였다. <표1 참조>

As for the same reason, as the hypothesis that problems in environment will affect the life of humans,

the researches based on environmental problems were started. O'Riordan defined the values of

environment as technocentrism and ecocentrism, Sandbach defined it as anthropocentrism that

is supported by Dawinism and Marksism.

 

2.2 유비쿼터스(Ubiquitous)

2.2 Ubiquitous

 

2.2.1 개념 및 형성배경

2.2.1 concept and formal background

 

과거 산업사회의 발달과 함께 20세기에는 새로운 형태의 매스 미디어인 전파 매체가 등장한다. 이후 정보사회의 컴퓨터 등장과 확산에 의한 퍼스널 컴퓨터(Personal Computer)의 대량보급은 사회․문화적 변혁을 가져왔으며 더 나아가 컴퓨터 네트워크 환경이 가속화 되면서 오늘날에는 새로운 패러다임인 “유비쿼터스(Ubiquitous)”가 등장하게 되었다.<표2 참조>

Along with development of past industrial societies, the new form of mass media appeared.

After that, personal computers were rapidly produced, and that brought reforms in social and

culture. Moreover, as our network surroundings improved, the new paradaigm called Ubiquitous

appeared.

 

유비쿼터스는 언제, 어디서나 도처에 존재 한다”는 의미로 유비쿼터스 컴퓨팅(Ubiqitous Computing)은 장소나 시간에 구애 받지 않고 생활 속에서 자유롭게 컴퓨터를 사용할 수 있는 환경, 즉 모든 사물이 네트워크로 연결된 상태를 말한다.

Ubiquitous means it exists everywhere, everytime. Ubiquitous computing is not depend on time,

it can be used in everyday life, thus all objects are connected with networks.

 

2.2.2 개발동향 : 유비쿼터스 이론 및 개념 정립

2.2.2 ways for development : theory of Ubiquitous and a thesis of theory.

 

세계의 유비쿼터스 개발현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이 정리 할 수 있다. <표3 참조>

미국은 제록스 PARC(Palo Alto Research Center)에서 연구원으로 일하던 마크 와이저(Mark Weiser, 1952~1999)는 사람을 포함한 현실 공간에 존재하는 모든 대상물들을 기능적·공간적으로 연결해 사용자에게 필요한 정보나 서비스를 즉시에 제공할 수 있는 기반 기술로서 유비쿼터스 컴퓨팅(이하 유비컴)을 정의했다. 세계 최대의 소프트웨어 업체인 마이크로소프트(MS)의 빌 게이츠 회장은 컴덱스 기조연설에서 'SPOT(Smart Personal Object Technology)'를 새로운 화두로 제시했다. 미국의 유비쿼터스 컴퓨팅은 DARPA(U.S. Department of Defense> Defense Advanced Research Projects Agency:미 국방부 산하 고등연구계획국), NIST(U.S. Government> National Institute of Standards and Technology: 미 국립표준기술원) 등이 국가적 차원에서 주도하여 대학들로 하여금 프로젝트를 수행토록 하고 있으며, 일반 기업체로는 마이크로소프트(Micosoft)가 “Easy Living 프로젝트”를 통하여 Calm technology(조용한 기술)의 구체화를 추진하고 있으며, 휴렛패커드(Hewlett Packard)는 “Cool Town 프로젝트”를 통하여 장소중심의 Embodied Virtuality를 이룩하기 위하여 노력하고 있다.

As we look over present development in the world's Ubiquitous, we can conclude like this.

Mark Weiser, who worked as a researcher in PARC(Palo alto research center), said that

everything including humans that exists in the present time can provide services to users to

define Ubiquitous computing. The biggest software company MS's president Bill Gates presentes

about SPOT in presentation. U.S's Ubiquitous computing's DARPA, NIST are leading projects

with the universities, and normal company MS is leading Easy living project to make calm technology.

Also, Hewlett Packard is leading Cool town project to make places embodied virtuality.

 

일본은 1999년 노무라 연구소의 무라카미 데루야스는 ‘유비쿼터스 네트워크’라는 개념으로 마크 와이저의 유비쿼터스 컴퓨팅을 재해석 하였다. 이는, 네트워크 세 단계 P2P(Person to Person), P2O(Person to Object), O2O(Object to Object)로 나누고 O2O단계에서 유비쿼터스 컴퓨팅 시대가 도래한다고 하였다. 일본의 트론(TRON) 프로젝트를 주도해 세계의 주목을 받은 바 있는 도쿄대 사카무라 켄 교수는 저서 '유비쿼터스 컴퓨팅 혁명'을 통해 '선진국의 경우 저성장 사회로의 이행이 가속화되고 있는데 유비쿼터스 컴퓨팅은 지속적 성장이 가능한 순환형 시스템의 정착을 가능하게 해줄 것이라고 전망하고 있다. 일본은 IT-전략본부(본부장: 고이즈미 수상)가 지금까지 추진해온 e-Japan 전략을 재검토하여 IT를 활용하여 새로운 가치창조를 하기위한 u-Japan 전략을 추진하고 있는데 ‘IT를 활용한 새로운 가치 창조: u-Japan 전략’이라는 제목의 이 제안서를 보면 유비쿼터스 네트워크화를 추진해 세계에서 유래 없는 IT 인프라를 창조하고 이를 바탕으로 디지털 콘텐츠, 유비쿼터스 일렉트로닉, 유비쿼터스 서비스 등 새로운 가치를 창출해 낼 것을 목표로 설정하고 있다. 또한 총무성은 2005년까지 “무엇이든, 어디서든 네트워크”의 요소기술의 확립을 위한 연구개발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다.

Murakami Deruyas, the researche in Japan, in 1999, re evaluated Mark Weiser's Ubiquitous computing.

it means three processes of network, P2P, P2O, O2O, and O2O will occur Ubiquitous computing

period. Sakamura Ken, who said about TRON project, is expecting the revolution of Ubiquitous

computing is leading first countries to speed up societies. The head of IT in Japain is reevaluating

e-Japan project and leading IT infra with digital contents, Ubiquitous electronic, Ubiquitous

sercive as a goal. Also, the president is leading the project of "Whatever, anywhere network"

 

유럽연합(EU)은 EC의 정보사회와 미디어(Information Society and Media)의 비비안 레딩(Viviane Reding)위원은 "정보통신기술은 사람들의 보건 복건과 복지, 그리고 사회활동을 보다 풍요롭게 만들 수 있는 강력한 도구가 될 수 있다. 그러나 9천만명 이상의 유럽연합 시민들은 나이나 여러 장애요인으로 인해 정보통신기술의 혜택을 받지 못하고 있다. 정보통신 기술 제품과 서비스에 대한 접근성을 개선하는 사회적으로 중요하다. 동시에 이를 통해 경제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고 주장한다. 유럽연합(EU)의 유비쿼터스 추진 동향은 2001년에 IST(정보화사회기술계획)의 일환으로 FET(미래기술계획)가 자금을 지원하는 형태로 시작되고 있다. 대표적인 계획인 ‘사라지는 컴퓨팅 계획(Disappearing Computing Initiative)’을 중심으로 16개의 프로젝트를 통해 유비쿼터스 혁명에 대처하고 있다.

Eu said that EC's information sociey and media's Viviane Reding said that technologies of

information can be used to make people flourish well. However, citizens of EU is not getting

any affects of technologies of information. To improving techonologies of information and goods

are important in societies. It is saying that we can improve socites at once. EU's Ubiquitous is

progressing as FET supported it. The most important project, 'disappearing computing

initiative' is facing Ubiquitous revolution with 16 projects.

 

한국의 개발현황을 하원규 박사의 이론에서 살펴보면 유비쿼터스를 제3의 공간으로 정의하고 이것을 구현하는 핵심기술 중 하나가 유비쿼터스 컴퓨팅이며 그 개념은 ‘칩이나 센서와 같이 아주 작아서 도처의 사물 속에다 집어넣거나 입을 수도 있으며, 이들을 무선으로 연결시키는 것’ 이라고 정의 하였다. 최남희 박사는 “유 비즈니스는 유비쿼터스 정보기술을 활용해 전자공간과 물리공간이 연계된 공간에서 물리적 요소의 통합을 통해 언제나 접속되고 있고(always connected), 언제나 상황인식을 할 수 있으며 (always aware), 사람을 대신해 언제나 지능적/자율적으로(always smart), 행동/서비스 할 수 있는(always active), 제반 시스템을 중심으로 전통적인 산업경제 활동과 접목되어 경영관리, 쇼핑과

매장관리, SCM, CRM, 자산의 유지관리, 제조공정관리, 물류, 교통, 의료 복지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된 새로운 비즈니스/애플리케이션 체계라고 정의하고 있다. 산업자원부는 상황과 환경에 적응 가능한 네트워크 환경 (어디서 네트워크에 연결)을 제시하며, 편의성, 다양성이 높은 단말 환경(무엇이든 단말로 사용), 서비스 및 애플리케이션의 자유로운 이용환경(자유로운 콘텐츠 사용), 다수 사용자가 동시 이용 가능한 초고속 망 환경(편안한 네트워크), 안전한 정보이용 환경(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는 네트워크)로 정의하고 있다.

Professor Ha is defining Ubiquitous as the third place and Ubiquitous computing is the core

technology and the concept is that we can put those in objects because it is really small like

a chip or a sensor, and it is connecting wirelessly. Professor Choi said that U-business

is always connected with physical and electronic places and always aware of, and always smart,

and always active. For using these systems, we can use it as traditional activities, management of

money, shoppin and management, SCM, CRM, management of money, management of producing,

goods, transportation, and medical supports. Industrial supporting head is saying that network

environment taht can be used at anytime and surroundings. Service and application's

free surroundings, and comfortable networks that many people can use it at once, and

environment that is not aware of anything.

 

2.3 환경론과 U-City의 연관성 : U-City개발동향

2.3 interaction between environmentalism and U-city : and the ways in development of U-city.

 

환경론을 고려한 지속가능한 도시개발은 유비쿼터스의 개념과 합쳐져 새로운 U-City 개념으로 생성된다.<그림1 참조>

 

“기술중심주의” 도시개념은 미국과 일본의 유비쿼터스 추진방향과 유사한 방향 연관되어 진행되며, “사회․인간중심주의”는 유럽연합(EU)과 국내의 추진방향과 연관성을 갖는다. 마지막으로, “생태중심주의” 도시개념의 경우 기술, 인간, 사회와 절제된 공간개념에서 시작하므로 아직까지 유비쿼터스의 개발과는 차이가 있다. 하지만 개발 방향에 있어서는 향후 반드시 고려되어야 하는 부분이다.

 

The new concept of U-city is defined as considering environmentalism and durable development

of cities that is added to original concept of Ubiquitous.

 

3. U-City 사례분석

3. Analysis of examples of U-city.

 

3.1 분석의 틀 : 선정기준 및 분석방법

3.1 A gin of analysis : standard of choosing and methods of analysis.

 

사례분석을 위해 국내․외 사례 각각 19개씩 총 38개를 다음과 같은 선정기준으로 분석하였다. 선정 기준은 국외 사례의 경우 아시아, EU(유럽연합), 아메리카를 중심으로 1995년 이후에 개발이 시작되어 현재까지 진행되거나 이미 완공된 사례들이다. 국내사례의 경우, 국외사례 선정기준과 동일하며, 국내의 각 특별, 광역도시 그리고 대표적인 시․도․군이 분석의 선정기준에 속한다.

분석방법은 국내․외 사례 모두를 동일하게 국가, 사업주제, 추진현황 및 계획방법을 중심으로 분석하여 각 사례에 대한 미시적 개발요소를 발췌한다. 그것을 바탕으로 이론적 고찰에서 언급한 U-City의 거시적 개발동향을 기준으로 비교 분석해 사례들이 어떠한 방향으로 개발되고 있는지에 대한 동향을 세부적으로 살펴본다.<그림2 참조>

I analyzed 38 stardards of 19 domestic and 19 foreign examples. The standard in foreign exmaples

are Asia, EU, and America that the developments are progressing since 1995 or it is finished already.

For domestic cases, all cities and counties, the standard is smae with foreign cases.

Mthods of analysis is same with examples of domestic and foreign. Extract the parts of development

each examples. We can look over it in detail how these examples are being developed.

 

3.2 국내․외 사례분석

3.2 analysis of domestic and foreign examples.

 

3.2.1 국외사례

3.2.1 examples of foreign.

 

국외의 U-City 사례분석을 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표4 참조>

 

일반적으로 ‘Digital City'라는 명목으로 사업들이 추진되고 있는데, 대표적인 추진 사례는 “홍콩의 사이버 포트”, “아랍에미리트 두바이 기업도시” “말레이시아의 MSC 프로젝트”, “싱가포르의 One North”, “일본 도쿄 시부야의 미디어 씨티”, “핀란드 헬싱키네의 Aribianranta 프로젝트”, “덴마크 코펜하겐의 Crossroads”, “독일 쾰른의 미디어 파트”, “스페인 바로셀로나의 Digital-Mile”, “스페인 자모라의 Zamora hot City”, “북아일랜드 벨파스트의 Science Park”, “아일랜드 더블린의 Amble Time”, “스웨덴 스톡홀롬의 Sonic City”, “영국 런던의 Urban Tapestries”, “브라질 브라질라아의 Spaiens Park”, “미국 뉴욕의 Spectropolis 프로젝트”, “미국 로체스터 스마트 의료단지”, “미국 밀워키의 Elite Care”, “캐나다 토론토의 U-Tronto”등이 있다.

내용을 종합해보면, 각 도시의 특성과 장점을 부각시켜 도시의 경쟁력을 제고시킬 수 있는 방향으로 추진되고 있다. 또한, 주변 산업과의 연계를 활성화 하여 상승효과를 발휘하고 단순 기능도시 차원을 넘어 쾌적한 생활 서비스를 제공하는 자족도시를 구현한다는 점이 공통점이 된다. 이러한 모든 것들은 지역의 특성과 IT 기술을 바탕으로 전략적 클러스터 조성을 통해 효과적인 네트워크 구축을 이루고 거주민에게 유무선 통신을 제공하는 등 정보 신도시 구축을 이루어 연계산업 상승효과를 달성시키고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신속한 광 네트워크 시스템이 각각의 세부적인 사례에서는 부족한 것이 현실이었다. 또한 그 개발에 있어 물리적 측면의 개발이 중요시 되고 있어, 도시개발을 위한 구체적인 데이터베이스(Data-base)가 필요하다.

The consequences of analysis is like this below.

Generally  the projects calle digital city is being progressed, the representative example is

Hongkong's cyber port, Arab Emirit's Dubai incorporation city, Finland's Aribianranta project,

Danis Crossroadds, Germany media parts, Spain digital-mile, spain Zamora hot city, England

Urban tapestries, Brazilian spaiens park, U.S. Spectropolis project, U.S. Lochester smart

medical places, U.S. elite Care, and Canada U-Toronto, and so on.

To conclude these summaries, we can highligh each city's advantages and properties to make city

more competiteble. Also, interacte with surrounding industries to make it efficienet and support

comfortable life service. These properties is succeding in speeding of development of new cities.

But fast network system in each detail is not being progressed. Also the development of

physical point is being important, so we need Data-base for detail development of cities.

 

3.2.1 국내사례

3.2.1 examples of domestic

 

국내의 U-City 사례분석을 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표5 참조>

 

지방자치단체가 활발하게 사업을 추진․계획하고 있으며, KT, SI/NI, 한국토지공사, 대한주택공사 등이 각 사업체들이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다.

그 사례들을 살펴보면, “서울시의 상암DMC", "서울시 강남구청의 U-강남", "부산시의 U-부산", "인천시의 U-송도", "대전시의 U-대전", "광주시의 U-광주", "대구시의 U-대구", "제주도의 U-제주", "전주시의 U-전주", "전라남도의 U-전남", "용인․홍덕시의 디지털도시", "동탄시의 U-City", "파주시의 U-파주", "수원시의 U-수원", "경기도의 판교 신도시", "경상북도의 U-경북", "창원시의 U-창원", "충청북도의 U-오성", "충청남도의 U-아산"등이 있다.

내용을 종합해보면, 국가적인 차원에서 지자체가 중심되어 사업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다는 점이 공통 요소가 된다. 지방자치단체는 교통, 환경, 시설물관리, 도시안전관리, 문화 등 다양한 도시 활동을 정보 기술과 유비쿼터스 IT를 통해 지능형 서비스로 구축하여 도시민의 생활편익을 추구하고 있다. 더불어, 지역 특성에 맞는 특화산업을 선정하여 지역도시 경제 활성화를 적극적으로 모색하고 있다. 결과적으로, 지방자치단체는 u-City를 통하여 안정적이고 편리한 주거 환경을 조성하면서 동시에 각 지역의 사회 문화적 특성이나 산업발전 전략과 연계시켜 특성화된 사업을 추진하는 점이 공통 사항이 된다. 국내 u-City는 세계 최고 수준의 유무선 인프라 환경을 갖추고 있으며 건설 등 경쟁력 있는 관련 산업을 보유하고 있다. 더욱더 중요한 것은, 광범위하고 수준 높은 이용자 기반이 있어 성공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또한, 이것을 통해 유비쿼터스 IT의 기술이 급격히 발전하고 일반인의 수요가 높은 점이 U-City 활성화를 더욱더 가속화하고 있는 것이다.

The conclusion of alaysis is like this below.

지자체 is advancing the projects joily, and KT, SI/NI, 한국토지공자, and 대한주택공사 is supporting

it positively.

To look over these examples, Seoul's  SangamDMC, Seoul U-강남, Busan, U-busan, incheon

U-songdo, ~~~~~여기는 도시만 넣고 하는 거라 생략할게요 ^^;, and so on.

To summarize these information, these cities are all projects by government. 지자체s are

using technologies like transportation, environment, management of objects, and culture to

make Ubiquitous IT possibly affect citizens' conveinience. Also, they are finding ways to

improve intelligent services. To conclude, 지자체s are making durable and comfortable

conditions of living, and progressing special projects. More importantly, comprehensive and

high quality user base is expecting high possibilities of success. Also, it is being speeded by

Ubiquitous IT from using these to make citizens demand a lot.

 

3.2.3 종합

3.2.3 Overall.

 

국내․외 사례를 분석한 결과 다음의 결과를 얻어 낼 수 있었다. <표6 참조>

  

각 사례를 분석한 결과 각각의 도시개발 유형을 “주거도시”, “상업도시”, “연구도시”, 레저․관광도시“, ”행정도시“등 5가지로 분류 할 수 있었다. 이러한 도시개발 유형을 바탕으로 이론적 고찰에서 언급한 환경론과 그에 관련된 세부 요소들의 연관성을 분석해 본 결과 다음과 같은 개발 동향을 알 수 있었다.

As I analized these examples, the conclusion is like this below.

By analizing these examples, the development of cities are defined as for living, commerce,

researchin, leisure activity, and administration. For these parts, we can know interactions between

detail parts by including overall development of cities.

 

국외사례의 주거도시의 경우, 기술중심 개발에 미국사례 3개(F16-F18)이 대부분 적용되었음을 볼 수 있었으며, 사회인간중심 개발에서도 역시 미국사례가 대부분 적용됨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생태중심의 경우 전혀 고려되지 않고 그 개발항목이 미비함을 알 수 있었다. 상업도시에서는 기술중심에 개발도상국(홍콩, 아랍에미리트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등(F1-F4)의 사례들이 대부분 적용됨을 볼 수 있었고, 사회인간중심개발의 경우 개발도상국외 일본사례(F5)가 적용되고 있음을 볼 수 있었다. 하지만 역시 생태중심의 경우에는 그 개발 방향이 미비함을 볼 수 있다. 연구도시의 경우, 기술중심개발은 개발도상국 일부와 유럽의 대부분 사례(F6-F11)의 사례들이 적용됨을 볼 수 있으며, 사회인간중심의 경우 개발도상국, 유럽사례 소수(F2,F7)을 제외하고는 거의 적용이 미비한 것으로 알 수 있었고, 생태중심의 경우 역시 고려는 부족하다. 레져·관광도시의 경우 기술중심은 일부 개발도상국, 유럽과 북·남미 사례에서 적용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사회․인간중심의 경우 대부분 고루 적용되고 있었으며, 생태중심은 적용되지 않았다. 행정도시의 경우 북미사례 캐나다(F19)를 제외하고는 대부분 아직까지 그 개발이 미비한 것으로 분석 되었다.

As for domestic living cities, 3 examples of U.S is applied in many ways, and as a social humanism

development, exaples of U.S is applied. As for commerce cities, developing countires are

applying. But as for ecological part, the progress is not good.  For social humanism part,

except some developing countries and Europe countires, the applying is not that great.

It is same with ecological part. For leisure activity cities, it is overally applied but not for

ecological part. Except for Canada, political cities are not progressing well.

 

국내사례의 주거도시의 경우, 서울, 전라남도, 용인, 파주시 등의 사례가 기술중심개발에 중점을 두었으며, 사회․인간중심 개발에도 대부분 적용됨을 볼 수 있다. 상업도시의 경우, 서울시, 대구시, 부산시, 인천시등 대부분 대도시에서 적용되었으며, 사회․인간중심에서도 역시 비슷한 개발방향을 고수하고 있다. 생태중심의 경우, 파주시(K13)와, 경기도(K15) 개발에 중점을 두어 개발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연구도시의 경우 서울, 대전을 중심으로 경기도 주변의 신도시(K12,K13,K18,19)가 기술중심에서 개발됨을 볼 수 있었고, 사회․인간중심의 경우 역시 동시에 고려되고 있다. 생태중심개발에서는 파주시가 역시 포함되어 있었다. 레져·관광도시에서는 부산시(K3), 광주시(K6), 제주도(K8), 전주시(K9)등의 사례가 기술중심 개발에 포함되어 있었으며, 사회․인간중심도 역시 동시에 고려되어 개발되고 있다. 행정도시의 경우 기술중심에서 서울과 수원 및 일부 도시에서 개발되고 있음을 볼 수 있으며 사회․인간중심주의 역시 동일하게 고려되고 있다.

For living cities in domestic part, 서울, 전남, 용인, and 파주시 are some examples of technological

project, and for social humanism is applied as well. For commerce cities, 서울시, 대구시, 부낫ㄴ시,

and 인천시 are applied at the big cities, and it is similar with social humanism. For researching cities,

as a core of 서울 and 대전, New cities around 경기도 is progressed by technologies.

It is equally considerd as for social humanism. For lesiure activity, 부산시, 광주시, 제주도, and 전주시

is included in development of technologies. It is equally considered and progressed at cities like

서울 and 수원 for political cities.

 

위의 국내·외 사례를 종합해 보면, 국내사례는 국외사례보다 대부분 지속가능한 개발을 목적으로 각각의 세부계획 요소들과 맞추어 계획되었다. 주거도시, 연구도시, 행정도시 개발에 국내의 사례들이 대부분 적용됨을 볼 수가 있으며, 상업도시, 레저․관광도시의 경우 각각 적용의 빈도가 유사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또한, 기술 중심 개발방법에 있어 네트워크 고도화 추진은 국내․외 사례 모두 집중적으로 개발을 추진하고 있으며, 사회중심주의 개발방법에서 레저․관광 도시 유형의 경우 국내보다 국외의 사례들이 집중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행정도시의 경우 국내·외 사례에서 기존의 행정도시 기능을 갖고 있는 중점적 도시로 판별하고 있으나, 과거의 조사 자료를 바탕으로 연구된 다양한 자료들을 기반으로 판별된 사항이므로 이에 따른 데이터 업데이팅 및 재검토 작업이 필요하다.

To conclude these examples, domestic examples are usually for durable development rather

than that is in foreign examples. Living cities, reasearching cities, and political cities are applied

on domestic part at most, and the concentration of commerce cities and leisure activity cities

are applied equally. Also, the methods of technologies are progressing network at both domestic and

foreign. For political cities, both parts are applied and we have to check again about the past

researches.

 

4. 심층분석 : U-City 개발의 표준화 정립 및 경제적 효과

4. Deep analysis : standard of development in U-city and economical affects.

 

4.1 분석의 틀

4.1. a gin of analysis

 

국내․외 사례분석을 통해 현대의 U-City개발의 동향 및 도시개발 유형 그리고 그에 관련된 물리적 계획방법을 알 수 있었다. 위의 분석은 U-City 표준화를 위한 데이터베이스(Data Base)구축의 과정

으로서 그것을 통해 5가지 “인간의 표준화”, “생활의 표준화”, “인프라 표준화”, “서비스 표준화”, “제도의 표준화”로 분류 할 수 있다.<표7 참조> 이것은 <표 6>에서 분석한 내용과 더불어 U-City개발을 위한 세부적인 물리적 계획방법을 기존의 사례분석을 통해 도출하면서, 그것이 각각의 사항에 어떻게 연관되어지는지 분석 할 수 있다.<그림3 참조>

By analizing domestic and foreign examples, we could know the project methods of cities

and ways of U-city by confirming physical projects. These analysis are progress of standarization

of data base, and it can be defiend as stadarization of humans, life, infra, service, and

institution. This is analyzed by interactions between development of U-city and detail

physical methods.

 

4.2 U-City 표준화를 위한 유형화 및 계획기법 요소분석

4.2 Standardzation of U-city and analysis of methods.

 

4.2.1 인간의 표준화(Human standardization)

4.2.1 Human standardization

 

인간의 외․내향적인 신체적 특징, 사물을 생각할 수 있는 인지 등은 개개인이 다르다. 그러므로 유비쿼터스의 기술적 측면들이 아무리 우리 생활에 긍정적으로 다가온다 하더라도 그것에 대해 부정적인 생각을 갖을 수 있다고 생각한다. 따라서 우리는 인간의 표준화에 대한 연구가 시급히 필요하다. 그에 관련된 세부 물리적 계획측면을 살펴보면, “개인 체형적용 계획”, “공동체형적용 계획”, 장애인 및 노약자를 위한 계획“, 이국(異國)인들을 위한 계획”, “개인의 하루일정”, “공동의 하루일정”등 6가지의 내용으로 나눌 수 있다.

For humans, external and internal properties are different for all people. Thus Ubiquitous

techonologies can have negative thinkings even though there are a lot of positive things. So

we have to research of standardization quickly. For detail, individual body adjustment project,

group body adjustment project, project for disables, projects for foreigners, daily routine of

individuals, and daily routine of group can be defined.

 

4.2.2 생활의 표준화(Life standardization)

 

하루의 생활역시 개인 그리고 단체 나아가, 모든 생태계 마다 다르다. 이런 스케줄을 담당하고 관리하는 컴퓨터는 기술적으로 기존의 데이터에 의해 작동된다. 그렇다면 유비쿼터스를 활용하는 인간의 생활은 그것에 관련되어 각각의 세부 항목으로 나뉘어 적용되어야 한다는 것으로 설명된다. 더불어, 세부적인 이동경로, 활동 등은 생활의 표준화에 있어서 다양한 유형으로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그에 관련된 세부 물리적 계획측면을 살펴보면, “건강 일정관리”, “공동생활 일정관리”, “개인생활 일정관리”, “Health Care)", "공동커뮤니티 활성화 사업”, "Living Lab", "도시의 생활체계의 체적화“, ”비즈니스 테스트베드 도입“등 8가지로 분류 할 수 있다.

Daily routine is all different for each person and each habitat. Computers that are managing

these schedules are affected by original datas. Thus people have to define Ubiquitous into

many parts. Moreover, detail ways and activities are need to be developed in or der to

accomplish daily standardization. For projects in detail physical projects, management of

health, management of daily routine of grops, individuals, health care, group community,

living lab, fitting of living, and confirm of business testbed

 

4.2.3 인프라의 표준화(Infra standardization)

 

유비쿼터스 개발에 있어 현재 기본적 동향으로 자리 잡고 있는 부분 중에 하나가 유비쿼터스의 인프라 일 것이다. 또한, 경제적 측면과 밀접한 아주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이것을 통해 유비쿼터스의 개발정도를 구분하는 척도가 되기도 한다. 그러나, 이러한 인프라가 만들어진 사업체 별로 호환이 되지 않거나 서로 운용되지 않는다면 무용지물이 될 것이다. 따라서 현대의 개발동향을 보았을 때, 인프라에 대한 시급한 표준화가 필요하다. 그에 관련된 세부 물리적 계획측면을 살펴보면, “보안시스템”, “사고 감지/제어”, “실내․외 환경 자동조절”, “네트워크 시스템”, “원격의료 시스템”, “스마트 스쿨 및 연구소”, “예술 및 교육간 네트워크”, “건축물 간의 가변성”, “도시정보 관제 시스템”등 9가지로 분류 할 수 있다.

 

4.2.4 서비스의 표준화(Service standardization)

 

위에서 언급한 인프라가 하드웨어라면, 서비스는 소프트웨어 측면이라 볼 수 있다. 인프라를 움직이기 위해서는 기본적인 관리 프로그램이 있어야 한다. 이 부분 역시 유형적인 측면의 표준이 아닌 무형적인 표준화가 필요한 것이다. 각각의 프로그램들이 서로 상이한 인프라를 만났을 때 발생하는 문제를 신속하게 해결하기 위해 동일한 코드가 정확히 정해져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그에 관련된 세부 물리적 계획측면을 살펴보면, “생활 지원 컴퓨터 데이터”, “생활지원 관리”, “컴퓨터 제어 소프트웨어”, “금융, 무역, 경제, 정책관련 정보”, “초고속 네트워킹 시스템”, “기능별 데이터베이스 구축”, “Reservation Managements" 등 7가지로 분류 할 수 있다.

 

4.2.5 제도의 표준화(Politic standardization)

 

지금까지 살펴본 각각의 사항들을 전체적으로 관리하고 통제하는 것은 국가이며 그것을 이행하기 위해서는 구체적인 제도적 장치가 필요하다. 세부적으로 헌법, 법률 등 여러 가지 내용들이 포함되는데, 아직까지 국내․외의 제도적 개발 및 표준은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어쩌면 위의 4가지 표준화의 내용은 제도적 표준화가 구체적으로 정립되어야 더욱더 활성화 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그에 관련된 세부 물리적 계획측면을 살펴보면 “개발주체 U-City 구축지원”, “U-City" 지구단위 계획인증”, "주도적 담당기관의 공통화“, ”도시적 BcN개발 및 품질인증“, ”통합, 융합 서비스 관련제도“, ”서비스 수준 협약 SLA"등 6가지로 분류 할 수 있다.

 

 

4.3 표준화 요소와 도시개발유형의 연관성분석

 

표준화의 요소 및 물리적 계획측면과 도시개발 유형의 연관성을 분석해 본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표8 참조>

 

거시적으로, 대부분 기술 중심과 인간 사회중심으로의 도시개발에는 대부분 표준화와 연관성이 많음을 볼 수 있었으며, 각각의 U-City개발 유형에 따라 환경론을 고려한 지속가능한 도시개발 유형 3가지중에서 생태중심 부분에서는 아직 표준화의 관련이 적은 것으로 판별 되었다. 생태중심의 경우 기술인간사회중심의 표준화가 기본적으로 정립되고 나서 후속적으로 개발되어야 하는 항목으로 비추어진다. 미시적으로, 인간표준화 경우, 주거도시, 상업도시, 연구도시, 정치도시의 인간․사회중심의 개발에 연관성이 높음을 알 수 있다. 생활표준화의 경우, 주거도시의 기술중심, 상업도시, 연구도시, 레저관광도시의 경우 기술과 인간․사회중심 개발에 많이 치우쳐져있음을 볼 수 있다. 인프라 표준화의 경우, 도시개발 유형항목 5가지 모두 기술중심의 개발과 연관성이 높음을 볼 수 있다. 서비스 표준화의 경우 역시 모든 도시개발 유형항목 5가지에 기술중심, 인간․사회중심의 개발과 연관성이 높음을 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제도의표준화의 경우, 주거도시, 상업도시, 연구도시, 레저․관광도시는 인간․사회적 측면개발에 연관성이 높았으며, 정치도시의 경우 기술 중심에도 동시에 관련이 높음을 분석 할 수 있었다.

 

5. 결론 및 제언

지금까지 살펴본 U-City표준화 정립과정 및 경제적 효과의 결과를 통해 우리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첫째, 기존의 U-City개발을 위한 기술적 측면의 집중개발이 아닌 도시와 유비쿼터스 각각의 객체에 대한 이론적 배경 그리고 현재까지 발전해 온 세부적인 동향들을 살펴본 것이 중요하다 할 수 있다. 이것이 바탕이 되어 본 연구의 표준화를 위한 기초연구의 초석(礎石)이 되었다. <그림1참조>

둘째, 각 객체의 이론적 바탕을 통해 현재 개발되고 있는 국내․외 사례를 분석해 봄으로 개발의 발전 동향 및 현 위치를 알아볼 수 있었다.<표6참조>

셋째, 상황파악을 통해 그것에 적합한 요소 즉 표준화를 할 수 있는 각각의 객체를 개발동향과 세부 물리적 측면을 통해 도출해 내어 표준화의 지표로 정립하였다.<표8참조>

지금까지 연구된 내용은 향후 후속연구로 진행 될 “UDS 경제성 평가"에 대한 분석의 기초연구로 국내․외 사례별 각각에 대한 개발 이전․이후의 현황을 본 논문의 결론(U-City 표준화를 위한 도시개발유형과 물리적 측면 간의 연관성 분석)의 항목별 물리적 계획기법의 적용, 미적용 여부를 판별한다. 또한, 체계화된 U-City개발 현황을 심층적으로 재분석하며, 분석된 항목을 수치적 기준과 경제적 평가지표로 설정하여 구체적인 경제성 평가를 체계적으로 실시 하고자 한다. 이렇게 도출된 결과물은 향후 U-City를 개발함에 있어서 신속한 계획기법의 적용 및 인프라 구축에 있어 필요, 불필요 요소의 분류 작업을 하게 되며, 개발특성에 따라 효과적인 경제성 구축이 가능할 것이다.

U-City의 표준화를 통해 우리가 얻을 수 있는 경제적 효과는 크다. 그러나 표준화가 정립되는 순간에도 그 표준의 지침은 신속한 개발 동향에 따라 또 다시 변화되고 또 다른 경제적 손익을 만들게 될 것이다. 따라서, 지속적인 표준화 데이터베이스 업데이팅 (Data Base Updating)과정을 추진해야 하며, 동시에 표준화 지침을 통해 각각의 객체를 하나로 통일해야 할 것이다. 

 

유비쿼터스(Ubiquitous)는 라틴어로서 “어디서에서나(everywhere)라는 뜻을 가진 라틴어 ”유비크(Ubique)“에서 파생된 말로 사용자가 이용하기 쉽고 편리한 IT환경을 구현하기 위해 도입된 새로운 개념이다.

 

실제로 존재하는 사물에 computer가 심어져 서로를 연결시키며 가능하게 하는 기술, Ubiquitous Computing은 4가지특징은 갖는데, 첫 번째로 반드시 네트워크로 연결되어야 한다. 둘째, 인간화된 interface를 갖아야 하며, 눈에 보이지 않아야 한다. 셋째, 가상공간이 아닌 현실세계 어디서든 computer의 사용이 가능하다. 넷째, 사용자의 상황에 따라 서비스가 변한다. 궁극적으로 지능화된 환경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일인 다수의 computer를 사용하는 구조”이다. 이에 대한 구현은 모든 사물들에 심어진 computer를 network로 연결하고, 그것이 인간중심의 환경을 이루고 있는 방향으로 진행한다.

 

개념과 사례로 본 유비쿼터스 전략, 한국전산원 U-전략팀(2005), 유비쿼터스 컴퓨팅 시대의 차세대 PC, ETRI, 한동원(2005), 유비쿼터스의 개요와 동향, 정보통신부, 주종옥(2005) 내용을 정리하여 재구성

 

물리공간을 제1의 공간, 전자공간을 제2의 공간으로 보며, 물리공간에 전자공간을 내재 하므로서 유비쿼터스 공간 즉, 제3의 공간이라 정의하고 있다.

 

표4의 국외사례 분석은 문태훈(2004), “유비쿼터스 도시(U-도시) 구축 실행 계획에 관한연구”, 정보통신 학술 연구과제 연구보고서, 김도훈(2002), U-Korea 구축 종합전략 연구-국내위탁연구계획“,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보고서, Coucelist Helen(2004) ”The consturction of the digital city" Environmental and Planning B : Planning and Design Vol.31.No31 자료를 참조하여 분석의 틀을 기준으로 재구성하였음.

 

표5의 국내사례 분석은 문태훈, op. cit (2004), 정병주(2005), "국내 유비쿼터스 현황분석", 한국 전산원의 자료를 참조하여 분석의 틀을 기준으로 재구성하였음.

 

지경용(2006) “U-City 시장전망과 발전 방향”,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지경용 외2인(2005) “U-City 시장수요 전망과 비즈니스 기회 분석 보고서”,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정병주, op. cit 2005, 한국전산원, 오정연(2005), “국내 유비쿼터스 현황분석, 한국 전산원”,전산원, 방위 사업청(2006), “국가정보화 시장동향”, 국가행정자치부 의 자료에서 분석한 U-City개발 항목을 구체화 하여 5개의 대표도시 유형으로 재구성하였으며, 환경론과 더불어 그에 따른 국내·외 사례에서 추출한 대표적인 물리적 계획기법 항목을 바탕으로 적용·미적용 사항을 거시적으로 판별하여 1차 연관성 평가를 얻을 수 있었다.

 

표준화를 위한 요소는 문태훈, op. cit 2004, 정병주(2005) "국내 유비쿼터스 현황분석”, 한국전산원, 지경용(2006) “U-City 시장전망과 발전 방향”,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지경용 외2인, op. cit 2005, 정병주, op. cit 2005, 한국전산원, 오정연, op. cit 2005, 전산원방위사업청, op. cit 2006,의 자료의 분석항목을 재구성하여 5개의 유형으로 나누었으며, 그에 따른 세부항목을 재분류 하여 U-City개발을 위한 체계화를 모색하였다. 이것은 향후 지속적인 물리적 측면 계획의 개발과 데이터의 업데이팅(updating)을 통해서 지속적으로 수정되어 질 수 있음을 명시한다.

 

조병선, 정우수, 조항숙 (2006) : U-City 사업전개와 추진동향 : pp.152-162, ETRI, 문태훈(2004), “유비쿼터스 도시(U-도시) 구축 실행 계획에 관한 연구”, 정병주, op. cit 2005, 지경용, op. cit 2006, 지경용 외2인, op. cit 2005, 정병주(2005), “기업의 유비쿼터스 서비스 이용 현황”, 한국전산원, 오정연, op.cit 2005, 전산원방위사업청, op. cit 2006, Couclelis, Helen.(2004), "The construction of the digital city". Environment and Planning B : Planning and Design. Vol.31.No31.PP5-19. England, "Urban Tapestries"(2003) under HP Lab‘s City and Building Research Center : The UK Department of Trade and Industry, the Arts Council 의 내용을 바탕으로 계획기법의 적용, 미적용 여부를 표준화 유형중심으로 판별하였으며, 표준유형화에 따른 물리적 계획기법이 어떻게 도시유형별로 적용되고 있는지에 대한 여부를 재판별하여 향후 경제적 평가를 하기위한 초석의 평가지표를 설정한다

 

 

 

 

 

으악 ㅠㅠㅠㅠㅠ

 

2시간 동안 했는데 이건 너무 많네요 ;; ㅠㅠㅠㅠ

 

다음 주 내로 시간 있으면 메일로 보내드리겠습니다 ;;;;;

 

 

이런 영작은 처음 본다능..... 죄송합니다 ;;

2009.01.09.

  • 채택

    질문자⋅지식인이 채택한 답변입니다.

도움이 되었다면 UP 눌러주세요!
UP이 많은 답변일수록 사용자들에게 더 많이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