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문화재단 경기학센터, '일제강점기 경기도민의 생활 자료집' 발간
상태바
경기문화재단 경기학센터, '일제강점기 경기도민의 생활 자료집' 발간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일제강점기 경기도민의 생활상 복원을 위한 원천 자료로 활용되리라 기대
(사진제공=경기문화재단)
(사진제공=경기문화재단)

[컨슈머타임스 안우진 기자] 경기문화재단 경기학센터는 '경기학 학술기획총서' #8책으로 '일제강점기 경기도민의 생활'Ⅰ을 발간했다.

2000년대 후반에 발간된 '경기도사자료집 –일제강점기 편-'에서 일제강점기 경기도 관련 기사를 정리한 적은 있지만 그것은 목록만 뽑아서 시대순으로 나열했기에 기사의 구체적인 내용을 알 수 없다는 아쉬움이 있었다. 이 책이 그런 아쉬움을 타개했다는 점에서 발간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이번 발간된 책은 일제 식민지 치하에서 힘겨운 삶을 살았던 일반 민중을 대상으로 삼았다는 점에서도 의미를 찾을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일제 강점기 우리의 역사는 대체로 독립운동사와 일제의 정책사 중심으로 대중에게 알려져 있다.

물론 독립운동사와 정책사도 알아야 하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당시 이 땅에 살았던 대부분의 민중들은 어떻게 살았을까라는 의문이 떠오른다. 이런 실정에서 이 책은 경기도민의 삶에 초점을 맞춰 당대 자료를 모아 지역별, 주제별로 분류하고 그것을 시간 순서에 따라 보여주기에 생활사에 대한 갈증을 해소해 주기에 충분하다.

한편 일제강점기 신문들은 한문 투의 문체가 많으며, 글자 크기도 작고, 지질도 나쁘고 인쇄술도 떨어져 일반인이 읽기가 쉽지 않다. 이번 책은 그런 일제시기 신문기사를 일반인이 읽기 편하게 현대의 문장으로 옮겼다는 점에서도 가치가 인정된다. 원천 자료이지만 누구나 쉽고 흥미롭게 읽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일제의 기관지인 매일신보의 기사에서만 선별한 이유는 3.1운동 이후인 1920년에 발행되기 시작해 1940년에 폐간된 조선·동아일보 등과는 달리 1910년 8월부터 1945년 8월까지 일제 강점기 35년 동안 중단 없이 발행됐기 때문이다.

이번 책은 관련 기사를 추출하고 그것을 일정 분류 기준에 따라 주제별, 지역별로 나눠 편집했다. 생활사에서 주체가 되는 것은 당대 사람들이었기에 먼저 인구, 농민, 상인 등을 맨 앞 부분에 배치했다.

아울러 사람들의 생존에 직결되는 것이 그들의 직업이었으므로 농업, 상업, 공업, 축산업, 임업, 부업, 어업 등의 항목을 설정했다. 한편 인간의 힘으로 어쩔 수 없으나 인간의 존망에 큰 영향을 미치는 보건, 의료, 위생, 자연재해, 가축 전염병 등도 무시하지 않았다.

식민지라는 당대 생활환경에 비추어 통제와 선전, 인력과 자금 동원도 추려내었다. 그밖에도 생활과 관련된다고 생각되는 주제들을 추가해서 분류 기준으로 삼았다. 아울러 시군 단위 지역학자의 편의를 위해 지역별로 나눠서 기사를 재배치해 두었다.

이 자료집의 발췌·번역·분류는 관련 전문학자인 김종식(아주대 교수)과 최재성(청암대 교수)가 수행했다. 분량은 총425쪽의 비매품으로 현재 경기도사이버도서관의 '경기도메모리'에서 원문서비스가 되고 있다. 참고로 이 책의 후속작인 '일제강점기 경기도민의 생활'Ⅱ은 내년 상반기에 발간할 계획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투데이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