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AVER

질문 모세시대 때 부터 유대인들은 메시야가...
비공개 조회수 282 작성일2020.09.22
모세시대 때 부터 유대인들은 메시야가 하나님인 것을 알고 그 메시야를 기다렸나요?
프로필 사진

답변자님,

정보를 공유해 주세요.

1 개 답변
1번째 답변
프로필 사진
웨이션머
수호신
개신교 1위 분야에서 활동
본인 입력 포함 정보

질문 감사합니다. 성경에 점진적 계시라고...그런게 있어서 모세 때의 사람들은 메시아에 대해서 그만한 충분한 계시를 받지 못하였다고 생각합니다. 성경의 계시는 후대로 갈 수록 점점 더 명확해지고 뚜렷해지고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사 9:6) 이는 한 아기가 우리에게 났고 한 아들을 우리에게 주신 바 되었는데 그의 어깨에는 정사를 메었고 그의 이름은 기묘자라, 모사라, 전능하신 하나님이라, 영존하시는 아버지라, 평강의 왕이라 할 것임이라

(사 9:7) 그 정사와 평강의 더함이 무궁하며 또 다윗의 왕좌와 그의 나라에 군림하여 그 나라를 굳게 세우고 지금 이후로 영원히 정의와 공의로 그것을 보존하실 것이라 만군의 여호와의 열심이 이를 이루시리라

(사 53:4) ○그는 실로 우리의 질고를 지고 우리의 슬픔을 당하였거늘 우리는 생각하기를 그는 징벌을 받아 하나님께 맞으며 고난을 당한다 하였노라

(사 53:5) 그가 찔림은 우리의 허물 때문이요 그가 상함은 우리의 죄악 때문이라 그가 징계를 받으므로 우리는 평화를 누리고 그가 채찍에 맞으므로 우리는 나음을 받았도다

(사 53:6) 우리는 다 양 같아서 그릇 행하여 각기 제 길로 갔거늘 여호와께서는 우리 모두의 죄악을 그에게 담당시키셨도다

(사 53:7) ○그가 곤욕을 당하여 괴로울 때에도 그의 입을 열지 아니하였음이여 마치 도수장으로 끌려 가는 어린 양과 털 깎는 자 앞에서 잠잠한 양 같이 그의 입을 열지 아니하였도다

(사 53:8) 그는 곤욕과 심문을 당하고 끌려 갔으나 그 세대 중에 누가 생각하기를 그가 살아 있는 자들의 땅에서 끊어짐은 마땅히 형벌 받을 내 백성의 허물 때문이라 하였으리요

(사 53:9) 그는 강포를 행하지 아니하였고 그의 입에 거짓이 없었으나 그의 무덤이 악인들과 함께 있었으며 그가 죽은 후에 부자와 함께 있었도다

(사 53:10) 여호와께서 그에게 상함을 받게 하시기를 원하사 질고를 당하게 하셨은즉 그의 영혼을 속건제물로 드리기에 이르면 그가 3)씨를 보게 되며 그의 날은 길 것이요 또 그의 손으로 여호와께서 기뻐하시는 뜻을 성취하리로다

참고; http://atsnu.org/_chboard/bbs/board.php?bo_table=m5_1&wr_id=127335

메시아적인 시편에 나타난 메시아관

2) 그리스도에 대한 세 가지 예언

(1) 제왕시

시편에서 메시아의 왕적 통치를 예언한 시편은 시 2, 8, 45, 72, 89, 110, 112 등 모두 일곱 편이다. 이들 시편에 나타난 그리스도의 왕적 통치권은 다음과 같다.

① 시 2편: 시 2편은 먼저 메시아의 왕적 통치권에서 벗어나려고 애쓰는 인간들, 특히 세상 군왕들의 헛된 노력을 보여 준다(2절; 행 4:27). 그 후 시편 기자는 그러한 노력의 무익함과 함께 모든 것을 초월한 절대 권력의 소유자이신 메시아의 주권을 소개하고(4-6), 모든 사람에게 주께 복종하라는 권면의 말씀으로 종결짓는다.

② 시 8편: 시 8편의 주제는 '마지막 아담'이다. 즉 8편은 궁극적 구원자로서의 예수와 모든 것의 완성자이신 '마지막 아담'으로서의 그리스도를 보여 주고 있는 것이다.

③ 시 45편: 시 45편에서는 '기름부음을 받은 자'라는 의미에서의 메시아 개념이 명확하게 드러난다(6, 7절). 그리고 '동류보다 승한 왕의 주권'(7절)과 그 왕의 성품과 그의 바람이 상세하게 기술되어 있다.

④시 72편: 시 72편은 그리스도의 통치가 미치는 영역을 은유적으로 표현하였는데 '바다에서부터 바다까지와 강에서부터 땅끝까지 다스리리니'(8절)라는 표현은 전 우주에 대한 그의 통치권을 의미한다.

⑤ 시 89편: 시 89 편은 메시아의 신실함에 대한 신실함과 함께 극명하게 드러남을 증거한 것이다.

⑥ 시 132편: 시 132편은 경배 받으시기에 합당한 메시아의 주권과 영광에 대한 기록이다.

⑦ 시 110편: 시 110편은 왕의 통치권에 대한 예언 중 가장 의미심장하다. 즉 시 110편은 신약성경에서 16번 인용되어 있으며, 그리스도의 신성과 그리스도의 승천, 그리고 그리스도의 천년 왕국의 통치에 대하여 말하였으며, 끝으로 4절에서 그를 왕인 동시에 제사장으로 규정하였던 것이다.

2020.09.22.

  • 채택

    질문자가 채택한 답변입니다.

도움이 되었다면 UP 눌러주세요!
UP이 많은 답변일수록 사용자들에게 더 많이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