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AVER

질문 우리나라 순수소설
비공개 조회수 570 작성일2020.09.24

우리나라 순수소설 배경이 궁금합니다.

왜 순수소설이 등장하게 되었나

순수소설의 필요는 어쩌다가 시작되었나 하는

프로필 사진

답변자님,

정보를 공유해 주세요.

1 개 답변
1번째 답변
프로필 사진
LUCY
초인
본인 입력 포함 정보

광복이후~1949년 시기의 소설의 경향

1. 식민지적 삶의 극복

일제 강점기를 반성하고 그 기간 동안의 체험을 바탕으로 광복의 참된 의미를 모색하고자 한 작품들로 채만식의 '논 이야기', 김동인의 '반역자' 등이 있다.

2. 귀향 의식과 현실적 삶의 인식

광복 직후의 혼란상에 주목하여 지식인 문제와 귀향 의식을 형상화한 작품들로 김동리의 '혈거 부족', 이무영의 '굉장소전' 등이 있다.

3. 분단 의식의 형상화

남과 북에 진주한 미국과 소련의 군정으로 인한 문제와 분단 문제를 다룬 작품들로 염상섭의 '삼팔선', '이합', 채만식의 '역로' 등이 있다.

4. 순수 소설과 역사 소설의 부각

보편적인 삶을 다룬 순수 소설과 민족의식을 고취하기 위한 역사소설이 창작되었다. 염상섭의 '임종', '두 파산', 박종화의 '홍경래' 등이 있다.

5. 광복 이후 사회적 혼란상 반영

광복 직후부터 1948년 대한민국 정부 수립까지의 사회적 혼란을 다룬 작품들이 많이 나왔다. 채만식의 '민족의 죄인', 이태준의 '해방 전후'일제 강점기 때 친일파로 행세하던 자들이 광복을 맞이하면서 겪어야 했던 당혹감을 다루고 있으며, 양심적인 문인들이 소극적으로나마 친일 행적을 남겼던 일에 대한 자기반성을 담고 있다.

출처:ZUM학습백과

2020.09.24.

도움이 되었다면 UP 눌러주세요!
UP이 많은 답변일수록 사용자들에게 더 많이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