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AVER

질문 혈우병 DDAVP
비공개 조회수 1,146 작성일2018.05.27

고전혈우병 or von-Willebrand's 질환 : vasopressin 유사체인 desmopressin acetate(DDAVP)가 응고인자 VIII vWF의 증가를 자극시키기 위해 사용됨

-> 상피세포에 작용하여 vWF 유리를 자극하고 유리된 인자는 응고인자 VIII과 결합하여 혈중 농도 증가시킴


이게 무슨 말인가요??

상피세포에 작용한다는게 우리 몸의 모든 상피세포를 말하는 건가요???

혈중 농도를 증가시킨다는게 어떤 것의 농도를 증가시킨다는 건가요??

프로필 사진

답변자님,

정보를 공유해 주세요.

1 개 답변
1번째 답변
프로필 사진
DanceD
태양신
힙합, 댄스 음악 1위, 인체건강상식 84위, 번역, 통역 분야에서 활동
본인 입력 포함 정보
상피세포라고 하지만 혈관 내피 세포라고 하는게 좀 더 적합할 것 같습니다.
어차피 DDAVP는 혈관 내로 주사해서 혈관 내피세포랑만 작용하고
혈액 내의 응고인자 VIII는 혈관 내에만 존재해서 내피 세포의 vWF하고만 결합하니까요.

DDAVP 농도가 늘면 혈관내피세포를 자극해서 vWF를 분비시키는데
얘네가 응고인자 VIII와 결합하면, 원래 반감기가 1-2시간이던 응고인자 VIII의 반감기가 8-12시간으로 늘어납니다.
그러면 응고인자 VIII가 훨씬 오래 살고, 쌓여가니까 혈중 농도가 증가하겠죠?

그래서 님 질문에 답하자면
모든 상피세포가 아니라 혈관 내피 세포이고
혈중 농도가 증가하는 건 응고인자 VIII입니다.

2018.05.27.

  • 채택

    질문자가 채택한 답변입니다.

도움이 되었다면 UP 눌러주세요!
UP이 많은 답변일수록 사용자들에게 더 많이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