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AVER

질문 혈도중부혈찌르기
정보가 없는 사용자 조회수 13,830 작성일2006.09.05

혈도 찌르는것중 중부혈 찌르면 팔을 잠시못쓴다

라고 쓰여있고 쇠골끝 팔들면 들어가는곳에서2~3cm아래

거기가 어딘데 --

못찾겠어요 짜증나서 막찌르다가 자해함.

어께에 멍이들었어요

그리고 얼마나오랫동안 팔을못쓰지요??

가리켜주세요

프로필 사진

답변자님,

정보를 공유해 주세요.

2 개 답변
2번째 답변
프로필 사진
사룰
절대신
2019 건강 분야 지식인 정형외과 2위, 응급의학과 1위, 마취통증의학과 1위 분야에서 활동
본인 입력 포함 정보

안녕하십니까?

저는 한의사가 아닌 정통 동양의학을 독학한 재야의학인으로, 얕은 지식이나마 전하여 국민 건강에 일익이 되고자 고군분투하고 있는,

알아 먹을 수도 없는 정보를 올리고 있는 데 백문의 불여일견이라 중부혈을 그림으로 보여 드리지요.

 

혈도 찌르는것중 중부혈 찌르면 팔을 잠시못쓴다

라고 쓰여있고 쇠골끝 팔들면 들어가는곳에서2~3cm아래

거기가 어딘데 --

못찾겠어요

아래의 이미지가 바로 퍠경의 중부혈이네요.

 

짜증나서 막찌르다가 자해함.

어께에 멍이들었어요

한방의 경혈과 무술의 혈도를 같은 차원으로 보시면 아니되십니다.

질병을 치료하기 위한 것이지 사람을 위해하기 위한 것은 아니니까요.

 

그리고 얼마나오랫동안 팔을못쓰지요??

가리켜주세요

이 경혈은 주로 해수, 천식, 감기 등을 치료하는 혈로.

급소로 사용할 때 주먹으로 치는 것보다 수도(手刀)로 가격할 때 상당한 통증과 함께 잠시 숨을 쉴 수 없을 정도가 되며 구토 증세를 일으키기도 합니다.

호신술을 배우시려면 그 위험성 등부터 먼저 배우는 근본적인 수련이 필요치 않나 싶고요.

고로 함부로 팔을 못쓰느니 하는 그런 것에 관심을 가지시면 사고를 내서 자타를 망칠 수 있음을 부디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2006.09.09.

  • 채택

    질문자⋅지식인이 채택한 답변입니다.

  • 출처

    편작보감

도움이 되었다면 UP 눌러주세요!
UP이 많은 답변일수록 사용자들에게 더 많이 노출됩니다.
1번째 답변
프로필 사진
마당지기
은하신
한의학 2위, 한방내과 5위, 한방부인과 3위 분야에서 활동
본인 입력 포함 정보
 

안녕하세요?

저는 한의학지식정보위원회 위원 한의사입니다.

무협지에 심취하셨나 보군요.^^ 대개 한의학을 처음 접할 때에 그런 이야기들을 많이 하곤 합니다. 물론 중부혈은 1급 급소는 아니지만, 2급 급소정도는 됩니다. ^^

우선 중부혈에 대한 한의학적 설명을 올려봅니다.

 

中府

【異名】膺中兪, 府中兪, 膺兪, 膺中, 膺府, 肺募

【部位】雲門穴(LU2) 下 1.6寸, 第 1~2肋骨間, 華蓋穴(CV20) 兩傍 各 6寸

【取穴】正坐 或 仰臥位取穴, 華蓋(CV20) - 2寸 彧中(KI26) - 2寸 庫房(ST14) - 2寸 中府(LU1)

【鍼法】直刺 3~5分, 留 5呼, 胸部에서 背側을 向해 刺入한다.

                 斜刺 5分~1寸, 胸廓의 外上方을 向해 刺入한다(不宜深刺)

【穴性】淸宣上焦, 疏調肺氣

【主治】喉頭炎, 氣管炎, 氣管支炎, 喘息, 胸中熱, 胸痛, 呼吸困難, 食慾不振, 嘔吐, 消化不良(脾經 交會穴)

【參考】肺之募穴, 脾經 交會穴

 

 이 穴은 폐의 모혈(募穴)이 되는데, 募는 장기(藏氣)가 결집되는 곳을 말하며 부(府)는 함모(含募)한다는 뜻이므로 중부(中府)라고 하였습니다. 기가 모이는 곳입니다.

위치는 제 1~2늑골 사이입니다. 운문혈 아래 1.6촌쯤 되지만, 운문혈을 모르실 겁니다. 위치는 아무튼 그렇게 잡으면 됩니다. 신경의 분포는 제1늑간신경(1st intercostal n.) 과 쇄골상신경(supraclavicular n.)등이 있고, 혈관은 상외측에 액와동정맥(Axillary a.& v.), 흉견봉동정맥(acromiothoracic a.& ㅍ.)이 분포합니다. 제대로 찌르면 팔이 상당히 저리겠네요. 얼마나 오래 저릴지는 모르겠군요. 다만 이런 행위를 하지 마십시오. 이런데를 함부로 찌르고 다니다가 나중에 고통으로 괴로울 수 있습니다. 장난으로라도 다른이를 찌르거나, 본인을 가지고 실험해보거나 하지 마십시오.  

2006.09.09.

  • 채택

    질문자가 채택한 답변입니다.

  • 출처

    경혈학 총서 성보사

도움이 되었다면 UP 눌러주세요!
UP이 많은 답변일수록 사용자들에게 더 많이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