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석사)

우리나라 고추에 감염하는 주요 바이러스의 재배지역과 품종에 따른 발생

저자
유하나
발행정보
안동대학교
피인용횟수
0
자료제공처
한국교육학술정보원
주제분야
농수해양 > 농학
초록

우리나라에서 고추에 발생하는 바이러스는 16종이며 그 중 고추 포장에서 만연하게 발생하고 있는 바이러스는 7종이다. 우리나라에 보고 된 바이러스 중 진딧물에 의하여 전염되는 잠두위조바이러스2(Broad bean wilt virus, BBWV2), 오이모자이크바이러스(Cucumber mosaic virus, CMV), 고추얼룩바이러스(Pepper mottle virus, PepMoV), 감자바이러스Y(Potato virus Y, PVY), 사탕무황화바이러스(Beet western yellows virus, BWYV) 이며, 총채벌레에 의하여 전염되는 토마토반점위조바이러스(Tomato spotted wilt orthotospovirus, TSWV), 종자 및 토양오염에 의해 전염되는 고추연한얼룩바이러스(Pepper mild mottle virus, PMMoV)이다. 2016년 바이러스 발생 현황을 조사하기 위하여 RT-PCR을 이용하였으며, 5개 도 12개 시군 73개 포장에서 34품종 총 111점의 시료를 채집하였다. 고추 바이러스 감염 형태는 단독감염 37.0%, 2종 복합감염 23.4%, 3종 복합감염 9.9%, 4종 복합감염 2.7%로 총 감염률은 73% 이었다. 6종의 바이러스의 단독 및 복합감염을 포함한 전체 감염률은 BBWV2는 59.4%로 가장 높았으며, CMV 23.4%, TSWV 19.8%, PMMoV 16.2%, PepMoV 2.7%, PVY 2.7%이었다. 지역 별 바이러스 총 감염률은 인천광역시와 경상북도가 각각 93.8%와 92.5%로 가장 높았으며, 경기 88.4%, 충북 83.5%, 전북 33.4% 이었다. 바이러스 감염 형태 별 감염률은 BBWV2 단독감염이 인천 75.0%, 경북 33.3%, 전북 12.2%이었으며, 경기도는 BBWV2+TSWV 2종 복합감염이 35.3%, 충북은 BBWV2+CMV+PMMoV 3종 복합감염이 22.2%로 가장 높았다.
2016년 조사 34 품종 중 단독감염과 복합감염을 포함한 바이러스 감염 품종 수는 BBWV2가 28개로 가장 많은 품종에 감염하였으며, CMV 18개 품종, PMMoV 15개 품종, TSWV 14개 품종, PepMoV와 PVY는 각각 3개 품종이었다. 재배지역에 따른 감염 양상은 진단 점수가 5점 이상인 6개 품종(A~F)의 경우 A품종은 9개 포장에서 TSWV와 PepMoV가 비 감염, B품종은 9개 포장에서 PMMoV와 PVY가 비 감염, C품종은 8개 포장에서 CMV, PMMoV와 PVY가 비 감염, D품종은 8개 포장에서 PepMoV와 PVY가 비 감염, E품종은 5개 포장에서 CMV, PMMoV와 PVY가 비 감염, F품종은 5개 포장에서 PepMoV가 비 감염이었다. 2017년, 고추 바이러스에 강한 품종으로 알려진 불탑, 거대박, 왕대박 3개 품종 총 70점 시료에 대한 감염률을 조사하였다. 불탑, 거대박, 왕대박 3품종의 BBWV2 감염률은 각각 70.0%, 93.3%, 53.8% 이었으며, TSWV 감염률은 각각 45.0%, 59.4%, 69.2% 이었다. 재배지역 별 감염 양상은 불탑은 7포장에서 PVY 비 감염, 왕대박은 2포장에서 PMMoV, PVY, BWYV가 비 감염으로 포장 주변에 전염원 존재의 여부에 따라 바이러스 감염 여부가 달랐다.
영양고추연구소의 2016년과 2017년 바이러스 종 별 감염률은 BBWV2와 CMV은 90% 이상이며, PepMoV는 2016년 66.6%, 2017년 100% 이었다. BWYV는 2017년 처음 검정하였으며 감염률이 80% 이었으며 PVY와 TSWV는 감염되지 않았다. 고추 품종에 따른 바이러스 감염률은 19품종 모두 바이러스에 감염되었다. 백승과 PR 우람찬 두 품종은 PepMoV에 무 감염 이었으며 백승 품종은 평균 감염률이 33%로 가장 낮았으며, 다른 품종들은 66~100%로 매우 높았다. 그러나 백승 품종은 BBWV2의 감염률이 60%, CMV의 감염률이 40%로 바이러스 종 별 감염률 차이가 컸다. 특히 종자전염 바이러스인 PMMoV에 감염된 품종은 5개 품종이며, 그 중 PR 돈타작 품종의 PMMoV의 감염률은 100% 이었다. 34개 품종의 진딧물 전염 바이러스인 BBWV2, CMV, PepMoV 3종에 대한 감염률을 비교한 결과, 5개 군으로 구분되었다. Ⅰ군은 PepMoV에 비 감염으로 백승과 PR 우람찬 품종이 포함 되었으며, Ⅱ군은 PepMoV의 감염률이 20~40%로 PR 선비촌을 포함한 5개 품종이었다. Ⅲ군은 PepMoV의 감염률이 80%로 PR 신명난 품종을 포함한 6개 품종이며, Ⅳ은 BBWV2의 감염률이 80%로 3개 계통이며, Ⅴ군은 PR 누네띠네 품종을 포함한 18개 품종이며 3종 바이러스 모두 감염률이 100% 이었다. 태안양념채소연구소의 고추 바이러스 총 감염률은 10.3% 이었고 비 감염률은 89.7% 이었다. 총 감염률 중 PMMoV 감염률이 7.1%로 상대적으로 높았다. 품종 별 종자전염 바이러스인 PMMoV의 감염률은 31개 품종 중 3개 품종이 감염되었으며, PR 돈타작 품종 60%, 추모왕 품종 60%, 불폭포 품종 100%이며, 특히 불폭포 품종은 TSWV가 동시에 감염되었으며 병증은 부정형의 대형 원형반점이었다. 영양고추연구소와 태안양념채소연구소에서 공통으로 재배한 고추 품종은 점핑 품종을 포함한 4개 품종이며, 바이러스 감염은 AR 탄저박사와 PR 진대건 품종의 경우 BBWV2등 4종의 바이러스가 영양에서 모두 감염, 태안에서 모두 무 감염이었다. 그러나 PR 돈타작 품종에서 PMMoV의 감염률은 영양고추연구소와 태안양념채소연구소 각각 100%와 60% 이었다.

목차
  • 목 차
  • List of Tables
  • List of Figures
  • 초록 --------------------------------------------------------------------- 1
  • I. 서론 ------------------------------------------------------------------- 5
  • II. 연구사 ---------------------------------------------------------------- 9
  • III. 재료 및 방법 -------------------------------------------------------- 15
  • 1. 바이러스병 발생 조사 및 품종 별 바이러스 발생 ----------- 15
  • 2. 고추 재배 연구소의 품종 바이러스 감염 --------------------- 15
  • 3. 바이러스 검정 -------------------------------------------------- 18
  • 가. 특이 프라이머 ---------------------------------------------- 18
  • 나. RT-PCR 검정 ----------------------------------------------- 18
  • 다. 전자현미경 검경 ------------------------------------------- 19
  • IV. 결과 및 고찰 ------------------------------------------------------- 21
  • 1. 전국고추 바이러스 발생양상 ---------------------------------- 21
  • 2. 고추 바이러스 감염 품종과 품종 별 재배포장에 따른 발생 - 29
  • 3. 영양고추연구소 바이러스 발생 양상 -------------------------- 43
  • 4. 영양고추연구소의 품종에 따른 바이러스 감염 --------------- 46
  • 5. 태안양념채소연구소의 바이러스 발생양상과 품종의 감염 --- 52
  • 1. 공통 조사 고추 품종의 바이러스 감염 ----------------------- 56
  • Ⅴ. 참 고 문 헌 --------------------------------------------------------- 58
  • ABSTRACT -------------------------------------------------------------- 66
참고문헌

조회 가능한 데이터가 없습니다.
해당 참고문헌을 고객센터를 통해 등록해주시면
빠른 시간안에 노출하겠습니다.

view options
맨위로

농학 분야
피인용 상위 학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