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 메뉴로 바로가기 주제분류 메뉴로 바로가기 본문으로 바로가기

이칭별칭 이칭 이스라엘국, 이칭 State of Israel
유형 지명/국가
시대 현대

정의

아시아 서남부에 있는 공화국.

개관

정식명칭은 이스라엘(State of Israel)로, 지중해 동남방 연안에 위치하며, 해안선의 길이는 273㎞이다.

면적은 2만 770㎢, 인구는 804만 9314명(2015년 현재), 수도 예루살렘(Jerusalem)이다.

주민은 유태인 80.1%, 아랍계 비유태인 19.9%로 구성되었다. 언어는 히브리어와 아랍어를 주로 쓰며, 종교는 유태교 80.1%, 이슬람교 14.6%, 기독교 2.1% 등이다.

국토의 많은 부분이 사막이나 키부츠조직에 의한 농업이 발달하였으며 공업수준도 높은 편이다.

2015년 현재 국민총생산은 3,206억 달러, 1인당 국민소득은 3만 8166달러이다. 이 나라의 정체는 의원내각제의 공화제이며, 의회는 임기 4년의 단원제(120석)이다. 주요 정당은 카디마당, 노동당, 리쿠드당, 샤스당, 메레츠당, 이스라엘베이테이누당, 연금자당 등 이다.

약사

서기전 12∼8세기에 있었던 고대 이스라엘왕국의 멸망 후 전 세계로 흩어졌던 유태민족이 민족국가 건설을 열망한 끝에 1948년 5월 14일 팔레스타인지역에서 건국되었다. 성문헌법은 없고, 기본법이 그 역할을 대신한다.

대외적으로 이집트를 제외한 인접 아랍 국가들과 적대관계에 있으며, 서유럽 나라들 외에는 외교관계가 단절상태였으나, 1993년에는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해방기구(PLO) 간의 상호승인이 이루어지고 요르단과 시리아 등과도 관계가 개선되었다.

유태인과 아랍계 주민간의 마찰이 사회적 불안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으나 의회민주주의제도의 확립으로 정치적 안정도는 높은 편이다.

대외적으로는 자유를 표방하며, 친서방의 입장을 취하고 있으며, 1949년 유엔에 가입하였다.

한국과의 관계

우리나라는 1962년 4월 9일 수교를 하였으며, 1964년 8월 이스라엘의 주한 상주대사관이 설치되었다. 그 뒤 1978년 4월부터 대사관이 폐쇄되고 주일 이스라엘대사가 겸임을 하였으나, 1992년 1월 재개되었다. 우리나라는 1969년 4월 주 이탈리아 대사가 이스라엘 대사를 겸임하였으나 2008년 현재 상주공관을 설치하고 있다.

양국의 관계는 6·25전쟁 당시 17만 달러 상당의 의약품을 원조한 것으로부터 비롯되며, 1990년 6월 학술교류협력의정서를 체결한 이래, 1993년 9월 항공우주기술교류 협정, 1994년 11월 과학기술협력 협정, 1994년 12월 항공운수 협정, 문화협력 협정, 1995년 2월 비자면제 협정, 1995년 8월 군사기밀보호 협정, 1996년 9월 세관협력 협정, 1997년 3월 이중과세방지 협정, 1997년 8월 농업협력양해각서, 전기통신 및 우편협력양해각서, 1998년 11월 산업기술협력 협정, 1999년 7월 투자보장 협정, 2002년 10월 해운 협정, 2005년 1월 민간부문연구개발협력 협정, 2005년 11월 관광 협정 등을 체결하였다.

정치적으로는 한국의 대아랍관계 때문에 긴밀한 편은 아니지만, 사회·문화적으로는 쌍방의 민간친선협회를 중심으로 교류가 활발하다.

우리나라의 대 이스라엘 수출액은 2015년 현재 21억 8000만 달러로 주 종목은 자동차, 선박, 합성수지 등이고, 수입액은 9억 6000만 달러로 주 종목은 반도체, 반도체 제조용 장비, 계측기 등이다.

제24회 서울올림픽대회에는 37명의 이스라엘 선수단이 참가하였다. 2015년 현재 KOTRA를 비롯하여 현대상사, 삼성전자, 현대중공업, 대우 등의 업체가 진출해 있고, 약 750명의 교민이 있다.

한편, 북한은 이스라엘과 외교관계를 맺지 않고 있다. 이는 북한의 아랍지지일변도 정책 때문이며, 1973년 제4차 중동전쟁 때 북한의 대아랍군사 지원과 팔레스타인게릴라에 대한 북한의 무기지원으로 적대관계에 있다.

이스라엘 위치

참고문헌

  • 『세계각국편람』(외교통상부, 2008)
  • 『한국의 창』(동아일보사, 2008)
  • 『해외동포현황』(외교통상부, 2007)
  • 『세계무역통계』(한국무역협회, 2007)
  • 『주요수출입통계』(관세청, 2007)
  • 『이스라엘개황](외무부, 1992)

관련이미지 5

위 이미지에 대한 권리는 출처사이트 게시자에게 있으며, 이를 무단 사용할 경우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 등에 따라 법적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외부 저작권자가 제공한 콘텐츠는 네이버의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