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AVER

질문 최근 경제에 관심이 많아진 한 중학생이에요...
정보가 없는 사용자 조회수 2,216 작성일2007.11.04

안녕하세요? 주식,경제 변동이 심하는 요즘 경제에 관심이 많아진 한 중학생이에요.

 

최근 뉴스를 보면 코스닥,코스피지수 급등,급락 이러면서 미국 나스닥,다우 어쩌고 저쩌고

 

서브프라임 발동,5분간 거래 중지,무슨 블랙먼데이 같은용어가 자주 보는데요.

 

질문 들어 갈께용.^o^

 

1.코스닥과코스피의 차이는 무엇인가요? 그리고 그 둘은 구체적으로 어떤걸 말하는건지 상세 설명좀...

 

2.미국의 나스닥,다우도 1번 질문과 같이 형식으로점... 차이점과 설명

 

3.서브프라임은 무엇인가요?

 

4.5분간 거래중지 어쩌고 라면서 그것은 어떤경우에 발동 되나요?

 

5.블랙먼데이는 무엇을 말하는 건가요? (제 생각엔 '검은 월요일'해서 주식시작 첫 일주일 첫날 부터 형세가 안 좋아지는걸 말하는것같은데. 어떤걸 말하는 건가요?)

 

6.이런 서브프라임,블랙먼데이 등은 세계 증시에 어떤 영향을 끼치나요?

 

7.왜 아시아 증시 동반 하락, 태평양권 국가 동반 하락 이런것이 왜 발생하나요?

 

 

(질문이 넘 많고 해서 귀찮으실텐데 성의있게 해주시면 내공 두둑히 쌓아드리고, 또 감사내공까지 드립니다.)

 

프로필 사진

답변자님,

정보를 공유해 주세요.

2 개 답변
2번째 답변
프로필 사진
kim7****
초수
고등학교진학 분야에서 활동
본인 입력 포함 정보

안녕하세요~

저 또한 주식에 대한 관심이 많은 고등학생입니다^^

지금은 11월 25일에 열리는 고교증권경시대회를 준비하고있구요..

제가 중학생땐 경제나 금융엔 관심조차 안가지고 있었는데...

대단하시네요~ ^^

이렇게 지속적으로 공부해서 하나하나 알아가다보면

세계를 보는 눈이 높아질꺼예요^^

 

자, 답변해드리겠습니다!

 

1.코스닥과코스피의 차이는 무엇인가요? 그리고 그 둘은 구체적으로 어떤걸 말하는건지 상세 설명좀...

 

우선 '상장'이란 단어를 아셔야 할 것 같은데요~

상장이란 유가증권시장, 또는 코스닥시장에서 주식이 거래될 수 있는 자격을 부여하는 것을 말합니다.

유가증권시장에 상장되어있는 주식의

(비교시점의시가총액/기준시점의시가총액)*100

을 한것이 코스피지수입니다.

시가총액이란 상장된 주식의 (총주식수*주가)를 모두 더한것입니다.

여기서 기준시점은 1980년 1월 4일이며 비교시점은 현재를 말합니다.

 

유가증권시장에 상장되기 위해선 요건이 아주 까다로운데요,,

그 이유는 투자자를 보호하기 위해서입니다.

그래서 대부분 우량기업이 상장되어있죠.

그런데 단점이 생기게 됩니다. 요건에 못미치는 기업들은 거래량이 아주 적죠.

그것은 유동성, 즉 환금성이 떨어지게되는것을 의미합니다.

환금성은 돈으로 바꾸고 싶을 때 마음대로 바꿀수 있느냐를 말합니다.

(환금성이 높은 것으로는 원할때 마음대로 뺄 수 있는 요구불예금, 즉 보통예금이있습니다.)

그래서 생긴것이 코스닥시장입니다.

 

코스닥시장은 유가증권시장과 경쟁관계에 있는 시장으로서

유가증권시장에 비해 완화된 상장요건을 가지고 있습니다.

또한 기술은 가지고 있지만 자금이 부족한 벤처기업에겐 특례로 상장될 수 있는 기회도 제공해주고있습니다.

코스닥시장에 상장되어있는 주식의

(비교시점의시가총액/기준시점의시가총액)*1000

을 한것이 코스닥지수이죠.^^

참고로 코스닥지수의 기준시점은 1996년 7월 1일입니다.

 

 

2.미국의 나스닥,다우도 1번 질문과 같이 형식으로점... 차이점과 설명

 

미국의 다우존스를 벤치마킹한 것이 우리나라의 유가증권시장이고,

미국의 나스닥을 벤치망킹한 것이 우리나라의 코스닥시장 이라고 생각하시면 될겁니다^^

그리고 다우존스의 주가를 나타낸 것이 다우지수입니다.

 

3.서브프라임은 무엇인가요?

 

서브프라임, 정확히는 서브프라임모기지는 신용등급이 낮은 저소득층들을 대상으로 주택자금을 빌려주는

미국의 주택담보대출상품입니다.

말그대로 주택을 담보로 대출해주고 돈을 값지 못하면 주택이 넘어가게 되는거죠.

이것은 신용도가 낮은 사람들을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고금리가 적용됩니다.

그런데 미국의 주택가격이 갑자기 떨어지고 금리는 낮아지는 일이 발생하였습니다.

그럼 고금리로 돈을 빌렸던 사람들이 돈을 값을까요??

아니죠..

사람들은 가격이 떨어진 주택을 그냥 넘기고 돈을 값지 않는 방법을 택했습니다.

 

4.5분간 거래중지 어쩌고 라면서 그것은 어떤경우에 발동 되나요?

사이드카(Side car)는 매매중단제도의 하나입니다.

사이트카에 대해 정확히 알기 위해서는

선물시장, 프로그램매매, 선물시장과 현물시장과의 관계 등을 알아야합니다....만~

이건 이해하기 힘들고 내용또한 매우 많기 때문에

지금 설명하기가 쉽지 않군요..

만약 자세한 설명을 원하시면

http://kin.naver.com/open100/db_detail.php?d1id=4&dir_id=402&eid=LHACKvhJla0UuRQT41t6UKMaPGx9iGdc&qb=u+fAzLXlxKs=

이곳에 한번 가보세요~

설명이 잘되어있답니다^^

 

5.블랙먼데이는 무엇을 말하는 건가요? (제 생각엔 '검은 월요일'해서 주식시작 첫 일주일 첫날 부터 형세가 안 좋아지는걸 말하는것같은데. 어떤걸 말하는 건가요?)

 

블랙먼데이는 1987년 뉴욕증시가 대폭락한 사건을 말합니다.

우리나라의 경우 종가대비 15% 라는 가격제한폭을 두고 있는데

미국의 경우 가격제한폭이 없습니다.

그래서 거의 23%에 달하는 다우지수가 폭락하게 되었습니다.

주요 요인으로는 포트폴리오 보험의 대량 팔자 주문이 쏟아져 나온 가운데

그때까지 명확하지 않았던 증권시장의 문제점이 표면화되어 대폭락으로 이어졌다는 견해가 많았습니다.

 

6.이런 서브프라임,블랙먼데이 등은 세계 증시에 어떤 영향을 끼치나요?

 

미국은 세계 전체 증시에 많은 영향을 주고 있습니다.

우리나라도 미국의 영향을 많이 받고 있죠.

한 예로 911테러가 있습니다.

911테러가 일어났을때 미국 증시는 급락하였고 우리나라 증시 역시 급락하였습니다.

미국 증시에 나쁜영향을 주는 악제가 등장하였을땐

다른나라 역시 증시에 나쁜영향을 준다고 할 수 있습니다.

 

7번 답변은 윗분의 설명을 보시는게 좋을꺼같네요~

아직 세계증시에 대한 지식이 부족해서 정확히 답변을 드릴 수가 없어요 ㅠㅠ

 

우리 앞으로도 열심히 공부해서

전문가가 될 수 있도록 해BOA요~^^**

 

2007.11.09.

  • 출처

    나의 지식&지식인

도움이 되었다면 UP 눌러주세요!
UP이 많은 답변일수록 사용자들에게 더 많이 노출됩니다.
1번째 답변
프로필 사진
limn****
중수
윈도우, 노트북 분야에서 활동
본인 입력 포함 정보

1.코스닥과코스피의 차이는 무엇인가요? 그리고 그 둘은 구체적으로 어떤걸 말하는건지 상세 설명좀...

 코스피는 주식시장에 상장된 회사들이 대부분 제조업을 주로하는 회사들이 상장된 곳이다라고 생각 하시면 될것 같군요. 일명 굴뚝주 라고도 하지요.

 

코스닥은 주식시장에 상장된 회사들이 대부분 컴퓨터 기술을 이용해서 영업을하는 회사들이 상장된곳이다라고 생각하시면 될것 같군요. 일명 기술주 라고도 하지요.

2.미국의 나스닥,다우도 1번 질문과 같이 형식으로점... 차이점과 설명

 

다우존스산업평균지수(미국)===코스피지수(한국)

나스닥지수(미국)===코스닥지수(한국)

3.서브프라임은 무엇인가요?

비우량주택담보대출이라고 하지요,미국 은행에서는 정책상 저소득층 국민들을 대상으로 장기로 돈을 빌려주어 그사람들은 다시 대출 받은돈으로 주택을 사게 하는 구조인데, 지금까지 돈을 빌려서 구입한 저소득층 미국 국민들이 경제적인 이유로 빌린돈및 이자를 은행에 갚지못해서 생긴 금융권(부실)이 빌려준 돈을 회수하지 못해서  장사가 되지않아 발생한 사태를 서브프라임 모기지론이라고 생각 하면 될것같군요.

 

4.5분간 거래중지 어쩌고 라면서 그것은 어떤경우에 발동 되나요?

 

주식이 갑자기 너무 많이 올라도 또, 너무 많이 내려도 주식시장의 안정을 위해 거래를 중단시키는제도인데. 일명. 사이드카 라고도 하지요. 

5.블랙먼데이는 무엇을 말하는 건가요? (제 생각엔 '검은 월요일'해서 주식시작 첫 일주일 첫날 부터 형세가 안 좋아지는걸 말하는것같은데. 어떤걸 말하는 건가요?)

 미국의 정확한 기억은 나지 않지만 약 10년전에 주식주가지수가 엄청나게 폭락한 날이 19XX년  0월 0일

월요일 이였답니다. 그래서 사람들인 그날이후, 일명 Black Monday라고 하지요.

6.이런 서브프라임,블랙먼데이 등은 세계 증시에 어떤 영향을 끼치나요?

 물론, 함께 잘사는 이웃끼리 있다면, 부자 동네라 하지요?

나라도 마찬가지로 함께 무역이라는 제도로 함께 장사한다 생각할때 서로 거래하는 나라 입장에서 생각해보면 당연히 불안한 마음이 생겨서 세계증시는 하락 할수도 있겠지요?

7.왜 아시아 증시 동반 하락, 태평양권 국가 동반 하락 이런것이 왜 발생하나요?

 아시아 여러 국가들 또한  많은 나라들이 미국이라는 거대한 시장과 함께 무역 거래을 하고 있지않아요?

당연히 어떤 거래국의 불안한 정책이나 사건 사고가 있다면 동반 하락 한다고 하지요.

왜냐하면, 주식 투자자들은 대부분 같은 생각을 하고 있기 때문이지요.

시장이 좋은 분위기이면, 주식시장의 주가 지수는 올라가고,

시장 분위기가  나쁘면, 당연히 주식시장의 주가 지수는 내려가는 것과 같겠지요?

 

도움이 되셨나요. 이해할수 있도록 여러글을 말씀드렸는데, 잘 이해 해 보세요

2007.11.05.

  • 채택

    질문자가 채택한 답변입니다.

도움이 되었다면 UP 눌러주세요!
UP이 많은 답변일수록 사용자들에게 더 많이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