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AVER

질문 독립유공자 안창호에 대한 설명
yeaj**** 조회수 814 작성일2018.05.21
독립유공자 안창호에 대한 설명 간략하게 수요일까지 답변부탁합니다.급해요.
프로필 사진

답변자님,

정보를 공유해 주세요.

1 개 답변
1번째 답변
프로필 사진
mizz****
절대신 열심답변자
2023 사용자 참여 분야 지식인 #사회보험 #장애인 #유공자 국민건강보험 2위, 국민연금보험 1위, 장애인복지 2위 분야에서 활동
본인 입력 포함 정보
1894년 상경하여 구세학당에서 수학하였다. 
1898년 독립협회에 가입하고, 동회가 만민공동회로 발전함에 따라 평양에서 관서지부를 발기하고 쾌재정에서 
만민공동회를 개최하여 국민의 자각을 호소하였다. 
1899년에는 강서군 동진면 암화리에 점진학교를 설립하고 황무지 개간사업도 병행해서 추진하였다.
1902년 미국으로 건너 가 로스앤젤레스에서 한인친목회를 조직하고 회장에 선출되었다. 
1905년에는 한인친목회를 발전시켜 공립협회를 창립하여 상부상조 조국광복을 목적으로 초대 회장에 취임하여 
공립신보를 발행하는 등 활동하였다. 
1907년 고국의 실정을 알아보기 위하여 귀국하였으며, 양기탁·안태국·이승훈 등과 비밀결사 신민회를 조직한 뒤 
평양에 대성학교를 설립하는 한편 각 주요도시에 태극서관을 두고, 자기회사를 차리는 등 정치·교육·문화의 여러 
방면에 걸친 애국계몽운동을 전개하였다. 
1909년에는 청년학우회를 창설하여 청년운동을 전개하였는데, 안중근 의거에 관련되었다는 혐의로 용산헌병대에 
수개월간 수감되기도 하였다. 
1910년 일제 통감부의 도산내각 조직 권유를 일축하고, 거국가를 남긴 후 중국으로 망명하였다. 
다음 해 북만에서 무관학교를 세우려고 하였으나 뜻대로 되지 않자 다시 미국으로 돌아가, 1912년 샌프란시스코에서 
대한인국민회중앙총회를 조직하고 초대 회장에 취임하였다. 
그리고 흥사단조직에 착수하여 무실역행·건전인격·단결훈련·국민개업 등 정신개조를 목표로 한 민족계몽운동을 
전개하는 한편, 공립신문을 신한민보로 표제를 바꾸어 발행하였다. 
1919년 2월에는 샌프란시스코에서 국민대회를 개최하고 파리강화회의에 국민회 대표를 파견할 계획을 추진하다가, 
국내에서 3·1독립운동이 일어나고 상해에서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수립되어 그를 내무총장에 선임하자 상해로 건너갔다.
임시정부의 내무총장 겸 국무총리 서리에 취임한 그는 연통제 실시, 독립신문 발간 등 독립운동의 방략을 지도하였다. 
동년 7월 2일에는 임시사료편찬회를 구성하고 그 총재가 되어 한일관계사료 전4권을 편찬, 발행하기도 하였다. 
또한 임시정부의 재정이 어려워지자 임시정부후원회를 조직하여 해외 교포들로부터 군자금을 출연 받아 임정을 꾸려 
나가도록 하였다. 
같은 해 임정의 내각 개편으로 국무위원 노동부 총판에 임명되었다. 
1920년에는 흥사단 원동위원부를 설치하고, 대미국의원시찰단주비위원장이 되어 북경에서 한국의 독립을 
호소하기도 하였다. 
동년 8월에는 지방선전총판이 되어 민족의 단합을 호소하는 격문을 만주 등지에 배포하였다. 
또한 임시정부의 세력 통일을 위하여 노력하다가 실효를 거두지 못하자 국무위원을 인책 사임하고 국민대표회의 소집을 추진하였다. 
1921년에 서울에 수양동맹회, 평양에 동우구락부를 설립하도록 하였으며, 뒤에 이 두 단체가 합하여 수양동우회가 되었다. 
1923년 상해에서 국민대표회의가 열리자 그가 부의장에 선임되었으나, 이 회의도 임시정부의 개조파와 창조파로 
대립되어 실패하자, 북만에 독립운동기지인 이상촌 건립을 추진하기로 하였다. 
그의 독립운동 방략은 군사·외교·재정·문화·식산·통일의 6대운동으로써 후에 민족의 통일단합을 위한 대독립당을 
결성하여 이를 실행할 것을 시도하기도 하였다. 
1924년에는 남경(南京)에서 동명학원을 설립하여 실력배양운동의 기초를 다졌다. 
이 해에 그는 군자금 확보를 위하여 미국으로 건너갔다가 1926년에 돌아왔다. 
중국에 돌아온 그는 만주 일대를 답사하며 이상촌 후보지를 물색하고, 민족유일당 조직, 농민호조사 발기 등 구체적인
사업계획을 추진하였으나, 삼시협정(三矢協定)이 체결되어 독립군의 주요 간부인 김동삼·박창식 등이 일경에게 체포된
 뒤에, 김좌진·정 신 등이 암살되는 수난이 계속되고, 이어서 만주사변이 일어나자 이상촌 건설은 실현 불가능하게 되었다. 
상해로 되돌아 온 그는 1930년에 협동상조, 소비합작, 신용생산 등으로 생활역량을 넓히기 위한 동인호조사를 조직하여 재상해한인의 합심 협력을 계획하였다. 
1931년 1월에는 흥사단 제17회 원동대회를 주재하여 대회장으로 선출되었으며, 흥사단보를 발행하는 등 민족의 
부흥과 발전을 위한 국민의 자질혁신과 청년 인재 양성 등 흥사단의 이념 구현에 주력하였다. 
그리고 애국부인회가 흥사단의 취지에 따라 군자금 모집 계획을 세우자 설립목적이 동일한 동인호조사와 합병하여 공평사로 개칭하고, 그 이사장에 취임하여 생활 역량을 증강시키기 위한 소비, 신용, 생산 등의 합작운동을 추진하였다. 
같은 해 만보산사건으로 한중인 충돌 사건이 일어나고 중국민의 한인에 대한 감정이 악화되자 병인의용대, 노병회, 교민단, 학우회, 여자청년동맹, 애국부인회, 청년동맹 등의 각 단체를 연합하여 상해한인단체연합회를 조직하게 되자 그는 
흥사단 대표로 이에 참가하여 중국과 공동으로 항일투쟁을 강화하였다. 
1931년 10월에는 이시영·김사집·김 철과 함께 교민단 심판원으로 활동하였다. 
1932년 4월 29일 윤봉길의 홍구공원 의거에 따라 일경은 프랑스조계 경찰의 협조로 독립운동가의 일제 검거를 실시하였다.
그는 이러한 정보를 알고서도 어린 소년과의 약속을 지키기 위해서 상해 하비로에 있는 이유필의 집을 방문하였다가 잠복하고 있던 일경에게 체포되었다. 
본국으로 압송된 그는 동년 12월 19일 경성지방법원에서 징역 4년형을 받았다.
"앞으로도 독립운동을 할 작정인가·" 하는 물음에 그는
"나는 밥을 먹어도, 잠을 자도 민족을 위해 먹고 잤으니, 앞으로 민족을 위해 일하고자 함은 변함이 없다." 고 기개를 꺾이지 않았다.
1935년 2월 대전감옥에서 출옥한 그는 일경의 감시를 받으면서도 지방을 순회하며 계몽 강연을 하였다. 
그후, 평남 대보산에 은거하여 이상촌 건설을 계획하였으나 1937년 6월 수양동우회 관계로 다시 일경에 체포되어 옥살이를 하던 중 중병이 들어 동년 12월에 보석으로 출옥하였으나 건강을 회복하지 못하고 이듬해 3월에 서거하였다.
정부에서는 고인의 공훈을 기리기 위하여 1962년에 건국훈장 대한민국장을 추서하였다.

2018.05.22.

  • 채택

    질문자가 채택한 답변입니다.

도움이 되었다면 UP 눌러주세요!
UP이 많은 답변일수록 사용자들에게 더 많이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