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AVER

질문 열용량 비열 구분질문
비공개 조회수 641 작성일2011.04.27

열용량과 비열에 대한 정의는 잘 알고 있어요

그냥 책만 봐도 나오니깐요.

그런데 써먹질 못하겠어요

예를 들어

고기 돌판, 철판 이런 것도 보면 어떤 데는 열용량의 현상이다 이러고 어떤데는 비열의 현상이다 이래요

또 해륙풍이 왜 열용량의 현상인지도 이해가 안돼요

큰 돌솥과 작은 돌솥 그것도 열용량인지 비열인지 모르겠어요

어떻게 하면 구분하기 쉬울까요?

시험이 다음주 월요일이라서..

초조하네요 빠른 답변 부탁드릴게요

 

프로필 사진

답변자님,

정보를 공유해 주세요.

1 개 답변
1번째 답변
프로필 사진
추국만리향
수호신 열심답변자 eXpert
40대 이상 남성 교육인 과학 1위, 과학 25위, 지구과학 분야에서 활동
본인 입력 포함 정보

열용량(熱열 열, 容담을 용, 量얄 량) : 열을 얼마나 담고고 있는가? ... 즉 갖고 있는 열에너지의 총량입니다.

 예를 들어, 100도짜리 물 200g 있고 50도짜리 물 400g이 있다면..... 온도는 분명 100도 짜리가 높습니다

그러나....  100도짜리 물 200g : 100도*200g = 20000

                50도짜리 물 400g : 50도 * 400g = 20000.... 으로 같습니다. 즉 열용량은 같은 거여요^&^

 

비열의 정의도 알고 있다니 설명생략랍니다.

 

 

고기 돌판, 철판 이런 것도 보면 어떤 데는 열용량의 현상이다 이러고 어떤데는 비열의 현상이다 이래요

ㅡㅡㅡㅡㅡ>>  출제자의 의도에 따라 .... 비열도 되고 열용량도 됩니다.

**고기돌판이나 돌솥에 담은 음식이 천천히 식는다.... 요건 열용량이고요...(돌이 갖고 있는 열량이 많아서 천천히 식지여^^)

**알루미늄 냄비 국이 더 빨리 가열 된다는 비열이라 생각하셔요^^

**큰 돌솥과 작은 돌솥 그것도 열용량인지 비열인지 모르겠어요 : 열용량입니다.

 

또 해륙풍이 왜 열용량의 현상인지도 이해가 안돼요

**다른 답변 올릴게요^^

고기압이면 시계방향으로 불어나가고 하강기류

저기압이면 반시계방향으로 불어들어오고 상승기류
라는데요.... 왜 그렇죠....?
****

일단 궁금한 것이 고기압이라는 말이 단순히 공기의 무게에 의한 기압을 말하는 건지
아니면 풍선안에 들어있는 공기처럼 공기의 밀도에 관계되는 기압도 같이 말하는 것인지 모르겠어요.
****고기압은 주변(즉 주변은 저기압)보다 기압이 상대적으로 높으면 고기압입니다. 1020hPa이라도 주변이 1028hPa 이라면 저기압이 되고 주변이 1020Hpa이 안 된다면 고기압입니다.
 그리고 기압은 공기의 무게가 맞습니다. 고기압이 되려면,,, 상대적으로... 차가워져서 수축하여 밀도가 높아지고 따라서 공기분자도 주변보다 많아요. 기압은 우리가 있는 곳의 머리에서 수직으로 쌓여있는 공기의 무게(=압력)입니다.
 
예를 들어 낮에 부는 해풍을 보면 아랫부분은 공기가 상승해 후자의 기압이 떨어져서
그냥 육지가 저기압이라고 하는 건지...
*** 낮에는 육지도 바다도 온도가 올라가서 기압이 밤보다는 둘다 낮아지죠. 단지...... 육지가 바다 보다 열용량이 작아서 더 빨리 데워지므로 기압이 더 내려갑니다. 고기압 저기압 판별은 상대적이라고 했잖아요^^ 그래서 육지가 바다보다는 저기압입니다. 즉 바다가 육지보다는 기압이 높아서 고기압입니다.
 
 기압이 해풍-육풍 을 좀더 상세히 설명해주세요.
****해안가에서는 낮에는 해풍이, 밤에는 육풍이 분다. 왜그런가?

바닷물은 비열도 크고 열용량(깊이 30m정도까지 바닷물이 뒤섞이므로)도 크다. 땅은 상대적으로 비열도 작고 열용량도 작다(깊이 0.5m정도만 데워짐)

 

 낮 : 땅이 빨리 데워진다. 이에 따라 땅 위의 공기가 바다 위의 공기보다 더 많이 기온이 올라간다.

기온이 올라가면 열팽창을 한다. 열팽창을 하면 밀도가 작아진다. 밀도가 작아지면 공기가 가벼워진다. 기압이 낮아진다. 그래서 상승한다. 바다쪽은 기온이 조금 올라간다. 그러니 육지의 상승기류의 빈 자리를 메우러 해풍이 불어온다.  고기압과 저기압은 상대적 개념이다. 바로 옆의 기압보다 높으면 고기압, 주변이나 옆보다 낮으면 저기압이다. 낮에는 뭍의 대기가  저기압이고 바다 위의 대기가 고기압이다.

 

 밤 : 땅이 빨리 식는다. 이에 따라 땅 위의 공기가 바다 위의 공기보다 더 많이 기온이 내려간다.

기온이 내려가면 -열팽창을 한다. -열팽창을 하면 밀도가 커진다. 밀도가 커지면 공기가 무거워진다. 기압이 높아진다. 그래서 하강한다. 바다쪽은 기온이 조금 내려간다. 그러니 바다의 상승기류의 빈 자리를 메우러 육풍이 불어온다.  고기압과 저기압은 상대적 개념이다. 바로 옆의 기압보다 높으면 고기압, 주변이나 옆보다 낮으면 저기압이다. 밤에는 뭍의 대기가  고기압이고 바다 위의 대기가 저기압이다.

 

&&&&&&동풍이란,,, 서에서 동으로 부는 바람이아니라, 동에서 (서쪽으로) 불어오는 바람이라서 동풍이라고 합니다. 어디에서 불어오느냐가 핵심입니다.

 마찬가지로, 낮에는 바다(海)에서 불어오므로 "해풍"이라고 하고요,

 밤에는 육지ㅡㅡㅡ>> 바다로 부니까 "육풍(陸風)"입니다.

 

낮 : 골바람 : 산 골짜기에서 산 꼭대기로 부는 바람

 

 이유 : 맑은 낮에 햇빛이 내리쬐면 뾰족한 산꼭대기가 산 골짜기보다 질량이 적으므로 열용량(=비열*질량)이 작아서 먼저 더워진다. 그러면 산 꼭대기 주변의 기온이 더 빨리 상승한다. 따라서 산 꼭대기에 주변 공기의 부피가 늘어나서 밀도가 작아지므로 가벼워진다. 즉 저기압이 되어 상승기류가 형성된다. 이 빈자리를 메우려고 상대적으로 고기압인 산 골짜기의 공기가 이동한다. 바람의 풍향은 불어오는 쪽에다 이름을 붙인다. 따라서 '낮에는 골바람'이다.

 

밤 : 산바람 :  산 꼭대기에서 산 골짜기로 부는 바람

 

 이유 : 골바람과 정반대이다. 밤에는 질량이 상대적으로 작은 산 꼭대기가 산 골짜기보다 먼저 식는다. .........이하 생략....^^


그리고 시계방향 - 반시계방향. 북반구에서 지구자전때문에 일어나는 현상이라는데 잘 이해가 안되네요.
이건 왜이러죠?
 *** 농구공(지구)을 님 앞에 한 손으로 들고 지구 자전으로 돌리면서 연필로 똑바로,,,,,,
 동시에 돌리면서 연필은 똑바로 긋는데도..... 연필 자국은 둥글게 휩니다.  코리올리가 이 원리를 알아내어서 풍향이 휘는 걸 '코리올리의 효과'라고 해요. 

 

2011.04.27.

  • 채택

    질문자가 채택한 답변입니다.

  • 출처

    직 작

추국만리향님의 엑스퍼트 상품
답변자에게 더 자세한 맞춤 상담하고 싶다면 엑스퍼트를 이용해보세요!
바로가기
도움이 되었다면 UP 눌러주세요!
UP이 많은 답변일수록 사용자들에게 더 많이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