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기준 21만그루 달하지만 순찰 드물고 고사수목 파악안돼… 훼손도 상황별 담당부서 제각각

학대받는 인천의 가로수 下


인천시가 시내 전역에 3천만 그루의 나무를 심기로 했지만, 정작 관리에는 미비한 점이 많아 체계적인 보존 계획 수립이 요구되고 있다.

전문가들은 가로수 종합 관리 대장을 구축하고, 전담 인력을 구성하는 등 종합적인 관리가 필요하다고 조언한다.

2일 인천시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31일 기준 인천 지역에는 서구 4만2천797그루, 연수구 4만671그루, 남동구 3만9천768그루 등 총 21만6천864그루의 가로수를 심었다.

검단신도시 등 대규모 택지개발 사업이 추진되면서 가로수를 심을 수 있는 구간이 감소, 지난 2016년 말 21만7천431그루에 비해 다소 감소했다.

인천에 21만 그루가 넘는 가로수가 식재돼 있지만, 인천시 공무원이 현장 순찰을 도는 횟수는 일주일에 2~3번에 불과하다.

순찰 인력은 2명에 불과하지만 외부인력 고용 방식 등은 활용하지 않고 있으며, 대부분은 군·구 공무원들의 순찰에 의존하거나 민원이 접수되면 해당 군·구에 통보하는 수준이다.

당연히 고사된 가로수 현황은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고 있다.

가로수가 훼손돼도 어떻게 훼손되느냐에 따라 담당 부서도 다르다.

누군가가 일부러 고사시켰다고 판단되면 공원녹지과에서 담당하지만, 불법현수막 등에 의해 훼손되면 도시경관과에서 처리해야 한다.

가로수 밑동에 각종 쓰레기가 적치되고, 음식물 쓰레기에서 흘러나온 오물들이 가로수에 스며들면 자원순환과 소관이다.

가로수 관리를 위해 기간제 근로자를 채용하거나 시설공단 등에 위탁하는 군·구는 인력 사정이 조금 낫지만 담당 부서가 제각각인 것은 마찬가지다.

더욱이 민원이 제기돼도 소극적인 행정을 하는 경우도 있다.

부평구 아트센터로 인근 고사된 가로수 3그루는 나무 밑동에 약물을 주입하기 위한 것으로 추정되는 구멍이 여러 개 있어 지난 5월부터 조사해 달라는 민원이 접수됐다.

그러나 부평구는 물증 확보가 어렵다며 제대로 된 조사에 착수하지 않았고, 5개월이 지난 10월이 돼서야 나무를 베어버린다는 계획이다.

전문가들은 체계적인 가로수 보존을 위해 가로수에 바코드·QR코드를 부여하고 생육 과정을 전산화하는 등 종합 관리 대장을 구축해야 한다고 지적한다.

독일 베를린시는 가로수를 노선별로 관리하고 있으며, 일본 에도가와구는 가로수 수목푯말과 관리번호를 활용하고 있다.

권전오 인천연구원 연구위원은 “민원 발생시 해결책을 제시하기 위해서는 자료를 전산화해 현장에서 처리할 수 있도록 개선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와 함께 가로수 관리를 위한 전담 인력 구성도 대안으로 제시했다.

서울시는 가로수 전문 인력을 채용해 최소 5년 이상 가로수 관리 업무를 맡기고 있으며, 승진에 불이익이 없도록 조치하고 있다.

한봉호 서울시립대 조경학과 교수는 “아무리 좋은 계획을 세워도 자주 담당 인력이 바뀌면 체계적인 관리가 어렵다”며 “인천시도 전문 인력을 활용해야 한다”고 말했다.

조기정·이시은기자/ckj@joongboo.com

사진=연합(해당 기사와 관련 없음)
사진=연합(해당 기사와 관련 없음)

 

관련기사

저작권자 © 중부일보 - 경기·인천의 든든한 친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