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AVER

질문 평행이론 에 대해서 (영화 NO)
ejdd**** 조회수 8,245 작성일2010.02.21

영화 평행이론을 보긴 했는데 영화 관련 된건 아니에요

 

평행이론을 보고 나니까 관심이 생긴 거에요

 

그러고 보니까

 

만약 삶이 평행한 사람이 살고 있다면

 

같은 삶을 사는 사람끼리 서로 알고

 

지낼 수 있는 확률은 얼마나 되죠?

 

내공은 크게 안 걸어도 내공냠냠은 즉시신고 24시간 레이더망(부릅!)

프로필 사진

답변자님,

정보를 공유해 주세요.

2 개 답변
3번째 답변
프로필 사진
생각쌓기
별신
수학, 카메라, 캠코더 61위, 지구과학 29위 분야에서 활동
본인 입력 포함 정보

사실상 같은 삶을 살았다는것 자체가 웃기는 일 입니다.

임의의 어느 두 사람을 지목 할때 같은 조건을 찾아본다면 많은 공통점을 찾을 수 있을 겁니다.

그것을 놓고 같은 삶을 살았다고 정의 하는것 자체가 웃기는 일이죠.

 

롯도를 보면 내가 로또에 당첨될 확률은 1/800만 으로 거의 불가능에 가깝습니다만

누군가는 로또에 당첨됩니다.

나한테 일어날 일이 거의 없다고 하여 안 일어 난다는것은 아니죠.

그게 확률 입니다.

 

먼저 어느정도 까지 일치하여야 같은 삶을 산다고 할 수 있을까요?

 

먼저 어떤 사람이 유수의 대학을 나와 28살에 결혼을 하고

첫아들, 둘째 딸을 두었으며, 평범한 직장 생활(셀러리멘)을 하다가 58세에 교통 사고로 사망 하였다고 합시다.

 

특정 다른 사람이 이런 생활을 할 확률이 얼마나 될까요?

유수의 전체 인구의 대학은 5%만 간다고 하고

평범한 직장생활은 20%

80%가 결혼하며

그중 5% 가 28세에 결혼하고

그중 10%가 첫아들 둘째딸은 둔다고 합시다.

 

우리나라 하루 교통사고 사망자는 2009년 1만천명으로 특적 나이에 교통사고로 죽을 확률을 1만/4천만=1/4000로 보면

0.05 × 0.2  × 0.8 × 0.05 × 0.1 × 1/4000 = 0.00000001

 

내가 평생 2500명을 알고 지낸다면

 0.00000001× 2500=0.000025=1/40000

제 계산은 4만분의 1 이네요.

우리나라 인구가 4000만 이니까

우리나라에서 1000명 정도는 자신과 위 내용에서 자기와 비슷한 삶을 사는 사람을 알고 있는 것 이지요.

 

위 가정이 달라 짐에 따라 확률은 변할 겁니다.

2010.02.22.

  • 채택

    질문자가 채택한 답변입니다.

도움이 되었다면 UP 눌러주세요!
UP이 많은 답변일수록 사용자들에게 더 많이 노출됩니다.
1번째 답변
프로필 사진
unib****
고수
지구과학 분야에서 활동
본인 입력 포함 정보

만약에 영화말고 평행이론에서의 평행되는 사람이 서로 만날확률 그러니까 인위적인 조작이 없을시에 확률은 제로입니다. 서로 만날려면 교차를 시켜야 되는데 우연히 교차되는 경우는 없거든요.

2010.02.21.

도움이 되었다면 UP 눌러주세요!
UP이 많은 답변일수록 사용자들에게 더 많이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