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AVER

질문 고전시가 질문
비공개 조회수 1,121 작성일2017.02.06
Q1 청산별곡에서 

가던 새 가던 새 본다 믈 아래 가던 새 본다.

잉 무든 장글란 가지고 믈 아래 가던 새 본다.


이 부분의 해석이 왜 의문형인가요?


Q2 냇가에 해오라비(냇가에 해오라바)에서


우의적 성격이 드러난다는데 우의적 표현이 어디서 나타나나요?


Q3 발가버슨 兒孩(아해)ㅣ들이(발가버슨 아해들리)에서


중의적 표현은 어디서 나타나나요?

프로필 사진

답변자님,

정보를 공유해 주세요.

1 개 답변
1번째 답변
프로필 사진
Greenarrow
초인
문학, 한국사, 시 98위 분야에서 활동
본인 입력 포함 정보

1. 중세국어에서 "-ㄴ다"는  의문형 어미입니다.  때문에 의문형이 되지요

2. 해오라비는 권력자를 상징하는데, 이를 우의적으로 표현했습니다.

3. 발가숭이는 두 가지의미로 풀이되는데요. 하나는 잠자리인데, 이는 살기위해 아이들로부터 도망가야하는데 아이들은 잠자리를 잡으려드는 역설적 상황을 나타냅니다. 다른 하나는 아이들을 의미하는데, 아이들이 잠자리를 속여 해치려고 하는 것처럼 서로 믿을 수 없는 세태를 의미합니다.

2017.02.06.

  • 채택

    질문자가 채택한 답변입니다.

도움이 되었다면 UP 눌러주세요!
UP이 많은 답변일수록 사용자들에게 더 많이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