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AVER

질문 추강에 밤이 드니... 월산 대군의 시조 중에서
tosj**** 조회수 12,749 작성일2005.05.05
 

秋江(추강)에 밤이 드니 물결이 차노매라

낙시 드리치니 고기 아니 무노매라.

無心(무심) 달빛만 싣고 빈 배 저어 오노라.

 

물욕과 명리를 초월한 작가의 유유자적하는 삶의 정신을 달빛만 가득 싣고 빈 배(역설적인 표현 - 무엇을 가득 실었는데 비었다는 의미로 보아서)로 돌아오는 정경에서 느낄 수 있다.

 

대부분 문제지 에선 저런 내용으로 나오는 데요

어디서 보니

추강에 밤이 드니 물결이 차노매라 <- 여기서

뜻대로 이루어 지지 않음을 한탄했다고 나오네요...

 

그리고

성혼의    말 업슨 청산이요 ~

이 시조와 차이점을

월산대군의 시조는 자신의 심정을 토로하고

성혼의 시조는 단순히 자연을 노래 했다고 나오는데요...

 

해석하는 사람 나름일까요? 저런 해석은 거기 빼곤 한번도 못봐서요;;

저렇게 해석 가능 한 배경이야기 같은 것 좀 가르쳐 주세요 ...;

 

프로필 사진

답변자님,

정보를 공유해 주세요.

1 개 답변
1번째 답변
프로필 사진
orpe****
중수
국어, 한문 분야에서 활동
본인 입력 포함 정보

월산대군은 왕이 될 수도 있었음에도 왕이 되지 못한 비운의 인물입니다.

 

 

세조대왕 ─┬─ 장남 : 의경세자 (요절) ─┬─ 장남 : 월산대군
                       │                                                    └─ 차남 : 성종 (부인이 한명회의 딸)
                       └─ 차남 : 예종 (요절) ─ 제안대군(갓난아기)

 

위의 표에 보이는 바 같이, 세조 대왕에게는 2명의 아들 즉 의경세자와 예종이 있었습니다.

 

그런데 예종이 즉위한 지 얼마 안되어 죽게 되자, 장남(의경세자)의 두 아들에게 자연히 다

 

음 왕이 될 기회가 생긴 것이지요. (예종의 아들은 너무 어렸습니다.)

 

 그런데 여러 가지 정치적 이해관계와 월산대군 자신의 병약함 등의 이유로 장남임에도

 

불구하고 동생인 '자을산군(후에 성종)' 에게 왕위를 양보(?)하게 된 것이지요.

 

따라서 위의 시조 역시, 그러한 맥락에서 이해할 수 있을 것입니다.

 

'낚시를 하러 왔는데 가을강에 밤이 들어 물이 차서 고기가 물지 않는다' 이게 초장과 중장

 

의 내용 아니겠습니까? 뭔가 일이 잘 풀리지 않는다는 의미가 충분히 될 수 있겠지요.

 

그리고 그렇게 일이 잘 풀리지 않는 것은, 왕이 될 수도 있었을 자신이, 동생에게 왕위

 

를 물려줄 수밖에 없었던 사정과 무관하지는 않을 것입니다.  

 

그러나 이러한 답답함을 월산은 '무심'의 경지로써 극복해냈습니다.

 

그러므로 그의 시에 드러나는 유유자적한 삶의 태도라는 맥락에는, 권력에 대한 집착과 아

 

집을 버린 한 사람의 진솔한 내면이 드러나고 있다 할 수 있겠습니다.

2005.05.06.

  • 채택

    질문자⋅지식인이 채택한 답변입니다.

도움이 되었다면 UP 눌러주세요!
UP이 많은 답변일수록 사용자들에게 더 많이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