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AVER

질문 단오때는 무슨 놀이를 하고, 어떤 음식을 먹나요?
ymb0**** 조회수 7,837 작성일2004.11.15
단오때는 무슨 놀이를 하고 어떤 음식을 먹나요?
되도록이면 빨리 해주시면 감사^^
프로필 사진

답변자님,

정보를 공유해 주세요.

4 개 답변
1번째 답변
프로필 사진
bla9****
시민
본인 입력 포함 정보

단오때 하는놀이→그네뛰기,씨름,창포물에 머리감기

 

단오때 먹는음식→18일은 더위가 시작된다는 단오(음력 5월5일)다. 여름을 여는 날이다. 우리 조상들은 다달이 있는 절기에 맞춰 특별한 음식을 해 먹었다. 특히 홀수이면서 달과 날이 같은 날을 큰 명절로 여겼는데, 단오도 그 가운데 하나이다.

 

단오 음식으로는 제호탕 앵두화채 보리수단 수리취떡 어알탕 증편 준치만두 생실과 등이 있다. 제호탕은 약으로도 쓰이는데, 시원한 냉수에 타서 마시면 더위를 타지 않고 여름을 건강하게 지낼 수 있다.

 

만드는 방법도 비교적 쉽다. 한약재료상에서 오매육과 초과 백단향 축사인을 구한 뒤 오매육은 굵게 갈고 초과 백단향 축사인은 곱게 간다. 꿀과 한약재 간 것을 섞은 뒤 큰 냄비나 들통에서 중탕으로 졸인다. 끈적끈적한 연고상태가 될 때까지 조려 유리병이나 항아리에 담은 뒤 냉장고나 시원한 곳에 두고 그때그때 얼음을 띄운 물에 타 마신다. 속이 시원하고 향기가 오래도록 입안에 맴돈다.

 

앵두화채는 앵두를 깨끗이 씻어 설탕에 2시간쯤 재둔다. 여기에 오미자 우린 물을 붓고 과일을 얇게 썰어 띄우면 색과 향이 아름다운 화채가 된다.

 

준치만두는 생선을 싫어하는 아이들을 위한 영양식으로 추천하고 싶은 음식. “썩어도 준치”라는 말이 있을 만큼 맛있는 생선이다. 하지만 가시 때문에 그다지 인기가 없었다. 서해와 남해에서 많이 잡히고 유월쯤이면 알을 낳으러 강 하구로 몰려오는데 이때에 잡힌 준치가 가장 맛이 좋다. 이때가 바로 단오쯤인데 옛날에는 단오날이면 거의 대부분 준치국을 끓여 먹었다.

 

준치 살과 곱게 다진 쇠고기를 따로따로 갖은 양념을 하여 재워둔다. 두부는 베보자기로 싸서 물기없이 꼭 짜 놓는다. 표고와 오이는 가늘게 채쳐 기름에 볶고 모든 재료들을 섞어 소금간한 뒤 밀가루와 녹말가루를 입혀 삶아낸다. 초장에 찍어 먹어도 좋고 장국에 넣어 먹으면 훌륭한 여름철 보양식이 된다.

 

저도 이거 어렵게 찾았거든여 ㅠ ㅠ

답변이 님에게 도움이되길 바랍니다,,

2004.11.15.

  • 채택

    질문자⋅지식인이 채택한 답변입니다.

도움이 되었다면 UP 눌러주세요!
UP이 많은 답변일수록 사용자들에게 더 많이 노출됩니다.
3번째 답변
프로필 사진
xmdk****
시민
본인 입력 포함 정보
음 내용이 적지만...
사파이어의 지식입니다.
많은 도움되시길.....





1창포감기 2차전놀이 3씨름 4그네뛰기 등 입니다.




내용이 적어 죄송합니다.
앞으로 더욱 열심히 노력 하겠습니다. !

2004.11.18.

도움이 되었다면 UP 눌러주세요!
UP이 많은 답변일수록 사용자들에게 더 많이 노출됩니다.
4번째 답변
프로필 사진
tom8****
초수
본인 입력 포함 정보
① 씨름
바쁜 농사철이지만, 단오 때는 일손을 놓고 들녘에 나가 씨름판을 벌이며 즐거운 하루를 보냈다. 남자들은 씨름을 통해 자신의 힘이나 기량을 뽐냈다. 이 날 으뜸을 차지한 사람은 대개 황소를 한 마리 상으로 타게 된다. 씨름은 두 사람이 마주 꿇어 앉아 손으로는 상대편의 오른쪽 다리를 잡아 서로 준비가 되면 심판을 맡은 사람의 구령에 따라 동시에 일어나 겨루게 된다. 서로 들고, 걸고, 다리를 안으로 또는 밖으로 감고 잡아 두르고, 일어나는 등 여러 가지로 싸우는데 들어던져서 먼저 꺼꾸러뜨리는 이가 이기게 된다. 씨름에는 ‘왼씨름’, ‘오른씨름’, ‘띠씨름’ 등의 세가지가 있다. 왼씨름은 오른쪽 다리에 쌑바를 걸고 고개와 어깨를 왼쪽으로 돌리고 하는 씨름이며, 오른씨름은 샅바를 왼쪽다리에 걸고 오른쪽 어깨에 대고 하는 씨름이다. 또, 띠씨름은 허리에다 띠를 매어 그것을 잡고 하는 씨름이다. 우리가 일상적으로 하는 씨름은 왼씨름이다.
씨름이라는 말은 고려가 원나라와 통한 이후부터 옛 책에 나와 있다. 단오절 이외에도 가장 재미있는 놀이로서 매우 성대하게 벌인다. 이때 상으로는 황소나 광목 같은 생활 필수품을 주는 일이 많다.
② 그네
그네는 동구 밖에서 탔기 때문에 남녀유별이 엄격했던 전통 사회에서 여인들이 비교적 자유롭게 집밖으로 나와 아름다운 계절과 자연을 즐길 수 있었다.
<춘향전>에서도 성춘향과 이도령이 만나는 날이 바로 단오인 것을 보아도 알 수 있다. 곳에 따라서는 그네뛰기 경연대회도 열린다. 그네를 잘뛰는 사람은 앞으로 오를 때 그네를 맨 나뭇가지에서 앞으로 나뭇잎을 따기도 한다. 그리고 두 사람이 마주 타고 뛰기도 하는데, 이것을 ‘쌍그네’라고 한다. 그네의 기원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로 이야기 되고 있는데, 그 하나는 우리 나라 강원도 강릉지방에 학문과 무술을 잘하는 선비가 있었는데, 여름이 되면 모기와 파리가 사람을 괴롭게 하므로, 이를 견디다 못해 그가 생각해 낸 것이 그네 였다는 것이다. 이것이 그네의 처음이였는데 이날이 5월 5일이였다고 한다. 단옷날은 이처럼 여자들이 하룻동안 그네를 뛰며 즐겁게 노는데, 단옷날 이튿날이 되면 동네 어른들이 나와서 그넷줄을 낫으로 잘라 버린다. 모처럼 매어 놓은 그넷줄을 이렇게 끊어 버리는 것은 그네를 너무 오래 놓아두면, 그네뛰기에 정신이 팔려 농사일에 지장을 가져오기 때문이다.
③ 돌싸움
④ 널뛰기
⑤ 윷놀이
⑥ 농악
⑦ 활쏘기

2008.02.10.

도움이 되었다면 UP 눌러주세요!
UP이 많은 답변일수록 사용자들에게 더 많이 노출됩니다.
2번째 답변
프로필 사진
so****
고수
세시풍속, 명절 49위, 한국사회문화, 사회문화 분야에서 활동
본인 입력 포함 정보
 

< 단오는 부채를 선물하고, 쑥떡을 먹는 날 >


신윤복의 단오풍정


단오는 단오절, 단옷날, 천중절(天中節), 포절(蒲節:창포의 날), 단양(端陽), 중오절(重午節, 重五節)이라고 불리기도 하며, 우리말로는 수릿날이라고 한다. 단오의 '단(端)'자는 첫번째를 뜻하고, '오(午)'는 다섯의 뜻으로 단오는 '초닷새'를 뜻한다.


중오는 오(五)의 수가 겹치는 5월 5일을 뜻하는 것으로 양기가 왕성한 날이라고 생각한다. 음양사상(陰陽思想)에 따르면 홀수(기수:奇數)를 '양(陽)의 수' 라 하고, 짝수(우수:隅數)를 '음(陰)의 수' 라 하여 '양의 수'를 길수(吉數:좋은 수)로 여겼다. 따라서 이 양의 수가 중복된 날은 명절로서 설(1월 1일)·삼짇날(3월 3일)·칠석(7월 7일)·중구(9월 9일) 등이 있다.


조선 후기에 간행된 <동국세시기(東國歲時記)> 5월조의 기록에 보면 우리말 이름 수릿날은 이 날 쑥떡을 해 먹는데, 쑥떡의 모양이 수레바퀴처럼 만들어졌기 때문에 '수리'란 명칭이 붙었다고 한다.


또 수리란 고(高)·상(上)·신(神) 등을 의미하는 우리의 고어(古語)인데, '신의 날', '최고의 날'이란 뜻에서 불리워졌다고도 하며, 또 모함을 받은 중국 초(楚)나라 굴원(屈原)이 지조를 보이기 위해서 수뢰(水瀨:급류)에 빠져 죽었다는데 이 날을 기려 제사를 지냈다 하여 수릿날이라 부르게 되었다는 설도 있다.


농가의 부녀자들은 '단오장(端午粧:단오날의 화장)'이라 하여 창포뿌리를 잘라 비녀로 만들어 머리에 꽂아 두통과 재액(災厄)을 막고, 창포를 삶은 물에 머리를 감아 윤기를 냈다.


또 단오날 새벽 상추잎에 맺힌 이슬을 받아 분을 개어 얼굴에 바르면 버짐이 피지 않고 피부가 고와진다고 생각했다. 남자들은 단오날 창포뿌리를 허리에 차고 다니는데, '귀신을 물리친다(벽사: 邪)'는 믿음을 가졌었다.


단오날 중에서도 오시(午時:오전 11시∼오후 1시)가 가장 양기가 왕성한 시각으로 생각하여 농가에서는 약쑥, 익모초, 찔레꽃 등을 따서 말려둔다. 오시에 뜯은 약쑥을 다발로 묶어서 대문 옆에 세워두면 재액을 물리친다고 믿었다. 창포주(창포로 담근 술) 등의 약주를 마셔 재액을 예방하려 하였다.


또 음력 5월은 무더위가 시작되는 무렵이어서 올해도 더위를 타지 말고 건강하라는 뜻으로 부채를 선물하기도 했다. 또 "대추나무 시집 보내기"해서 단오날 정오에 대추나무 가지를 치거나 가지 사이에 돌을 끼워 놓아 더 많은 열매가 열리기를 기원하는 풍습도 있었다.


단오의 시절음식으로는 수리떡과 약떡이 있다. '동국세시기(東國歲時記)'의 의하면 "이 날은 쑥잎을 따다가 찌고 멥쌀 가루 속에 넣어 반죽을 하여 초록색이 나도록 하여 이것으로 떡을 만든다. 그리고 수레바퀴 모양으로 빚어서 먹는다"라는 풍속이 전한다. 이것이 바로 수리떡이다.


약떡은 전라남도 지역에서 전하는 시절음식이다. 5월 4일 밤이슬을 맞혀 두었던 여러 가지 풀을 가지고 단오날 아침에 떡을 해 먹는데, 이를 약떡이라고 한다. 앵두가 제철인 단오 무렵이면 앵두화채를 만들어 먹는다. 또 이 날은 새 쑥을 넣어 만든 떡으로 차례를 지내는 것이 관습이다.


단오의 대표적인 놀이로는 그네뛰기와 씨름이다.


그네뛰기는 고려시대에 우리나라에 들어온 듯 하며, 추천놀이라고도 한다. 조선 후기의 화가 신윤복의 '단오풍정'에 부녀자들이 그네타는 모습을 볼 수 있다. 그네뛰기를 대대적으로 할 때는 큰 통나무를 양쪽에 세우고, 그 위에 통나무를 가로질러 묶은 다음 그네줄을 메는 '땅그네'로 했다. 종목은 '높이뛰기', '방울차기(그네 앞에 장대를 세우고, 장대에 방울을 달아놓아 발로 차도록 하는 것)', '쌍그네뛰기(두 사람이 마주 올라타고 뛰는 그네)' 등이 있었다.


김홍도의 씨름도


씨름은 몽고, 중국, 일본은 물론 서양에도 있는데 이름이 비슷한 것으로 보아 중궁이나 몽고에서 전래되었다는 설이 있다. 다른 설로 '씨'는 남자의 성씨 밑에 붙는 존칭어이고, '름'은 '겨룸'의 '룸'에서 왔다고 보기도 한다. 또 경상도 지방에서 서로 버티고 힘을 겨루는 것을 '씨룬다'고 하는데 이것이 명사화되었다는 설도 있다.


씨름의 종류에는 '왼씨름', '오른씨름', '띠씨름' 등의 세 가지가 있다.


오른손으로 상대방의 허리를 쥐고 왼손으로 상대방의 샅바를 잡는 데 이것을 바른 씨름(오른 씨름)이라고 하며, 경기도와 전라도 지방에서 주로 했다. 손잡는 것이 반대인 것을 왼씨름이라고 하는데 함경, 평안, 황해, 경상, 강원도 등에서 했고, 띠씨름은 허리에다 띠를 매어 그것을 잡고 하는 씨름인데 '허리씨름'또는 '통씨름'으로도 불리었으며, 주로 충청도에서 했다.


이렇게 따로 치르던 씨름은 1931년 제 2회 전 조선 씨름 대회부터 〈왼씨름〉한가지로 통일되었다. 따라서 현재 〈대한 씨름 협회〉가 주관하는 모든 씨름 경기와 각 학교에서 가르치는 씨름은 〈왼씨름〉이다.


씨름 기술은 크게 공격 기술인 '메치기(둘러메어서 바닥에 내리치는 기술)'와 방어 기술인 ' 되치기(상대방이 기술을 걸어왔을 때 움직임을 그대로 되받아 메치는 기술)'로 나누어지는데 세부적인 기술로는 앞무릎치기, 뒷무릎치기, 오금채기, 옆무릎치기, 잡치기, 꼭뒤집기, 등샅바잡아채기 등이 있다. 씨름판이라 하여 주로 백사장의 원형판에서 이루어졌으며, 우승자에게 황소를 상으로 주는 것이 관례였다.


우리나라는 예로부터 단오절에 '단오제'나 '단오굿' 등의 행사를 가졌었다. 그러던 것이 일본 제국주의의 문화 말살정책과 한말 개화기 이후 들어온 신파연극이나 영화 등에 밀려 현재는 거의 사라졌다. 강원도 강릉지방의 강릉단오굿, 법성포 단오제 등이 현재 겨우 명맥을 잇고 있다.


연합통신의 보도에 의하면 북한은 해마다 단오를 민속명절이라 하여 휴식일로 정하고 하루를 쉬게 하고 있다고 한다. 또 전국 각지에서 그네타기, 씨름, 널뛰기, 윷놀이, 봉산탈춤 등 민속놀이와 체육오락행사를 갖는다.


이제 단오란 말도 잊혀져 가고 있으며, 단오행사도 거의 맥이 끊길 시점에 왔지만 단오가 갖는 의미를 새롭게 조명할 필요가 있지 않을까? 주변의 가까운 이들에게 부채를 선물하여, 정을 나누고, 에너지도 절약하는 지혜를 실천해 보면 어떨까?

2004.11.18.

도움이 되었다면 UP 눌러주세요!
UP이 많은 답변일수록 사용자들에게 더 많이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