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AVER

질문 우리나라 도시의 발달모습좀 알려주세요
비공개 조회수 113,601 작성일2007.04.16
제발 우리나라 도시의 발달모습좀 알려주세요 원래 내일까지인데 더 자세히 알아볼려고 그럽니다. 답변부탁바람니다
프로필 사진

답변자님,

정보를 공유해 주세요.

57 개 답변
2번째 답변
프로필 사진
ekgm****
시민
본인 입력 포함 정보

) 도시의 발달





1) 도시의 개념

① 주민의 대부분이 2, 3차 산업에 종사 → 직업과 생활이 다양, 유동성이 큼

② 제한된 범위의 공간에 인구와 기능이 밀집된 곳

③ 주변 지역에 대해 중심지 기능을 수행하는 곳

④ 지역과 직역을 결합시키는 매체

⑤ 우리 나라에서는 인구 5만명 이상을 시로 정함.





2) 도시의 입지와 발달 과정

① 입지

a. 지형조건과 도시 분포 : 하천 연안의 평야지대, 해안 (관문 도시)

b. 교통조건과 도시 분포 : 유리한 교통위치, 교통축의 발달 (중간 거점 도시)

② 발달 과정 : 이동 생활에서 정착 농경 생활로 촌락 발달 → 잉여 농산물 생산 가능

→ 노동의 분업과 사회의 분화 → 도시의 발생

a. 선형 분포 → 균등 분포

b. 밀집 분포 : 특정 자원의 분포 지역





3) 근대 이전의 도시 발달

① 삼국 시대 : 평양, 경주, 부여 등 왕궁 소재지

② 통일 신라 : 9주 5소경을 세워 지방 도시가 발달

③ 고려 시대

a. 개경, 3경(평양, 경주, 한양), 도호부 , 목 → 정치, 군사 도시로 발달

b. 역원, 향시 발달

④ 조선 시대 : 주로 미로형의 성곽 도시

a. 한양 : 풍수지리설, 방어·통치를 고려한 계획 도시

b. 지방 행정 도시의 발달 : 지방관찰사 주재지

→ 충주, 공주, 전주, 대구, 원주, 해주, 함흥, 평양

c. 특수 기능 도시

시장 : 대구, 전주, 원주 등의 약령시

역원 :

무역 : 울산, 부산, 웅천, 회령, 경원

군사 도시 : 병영, 수영





4) 일제 강점기

① 항만 도시 발달 : 초기 개항장 중심

부산, 인천, 목포, 군산, 마산, 원산, 청진, 성진

② 철도 교통 도시 : 신의주, 익산, 대전 등

③ 광공업 도시 : 1930년 이후 발달 → 청진, 흥남 등

④ 도시 내부 구조 : 이중 구조

→ 구시가지(한국인 거주지, 미로형), 신시가지(일본인 거주, 직교형)





5) 광복 후 (60년대 이전)

① 귀환동포, 월남민, 피난민 → 도시에 정착 → 대도시의 과밀화와 슬럼화

② 서울과 일부 대도시의 성장

③ 소비 도시 발달





6) 1960년대 이후

① 급격한 도시 성장 : 경제 개발에 따른 이촌 향도 현상

② 신흥 공업 도시 성장 : 울산, 포항, 창원 등

③ 거대 도시(서울, 부산), 수도권 위성 도시 발달

④ 지방 도시의 쇠퇴

⑤ 도시 형태의 변화(가로망 정비, 주거지 교외확산, 건물의 고층화,

아파트 단지 조성)와 도시 기능의 변화(소비도시 ⇒ 생산도시)

⑥ 1987년 57개 市, 2900만명, 도시인구율 70%로 증가

※ 60년대는 이촌 향도 현상에 의한 대도시의 급속한 팽창,

70년대는 수도권 위성도시와 임해 공업 도시의 급속한 성장이 특징





7) 도시의 분포와 계층 체계 : 중심지 이론

도시 분포의 규칙성, 도시의 계층 구조를 밝힌 이론, 크리스탈러

① 주요 개념

a. 중심지 : 주변 지역에 상품과 서비스를 공급하는 기능들이 모여 있는 지역

b. 중심 기능 : 도·소매업, 교통, 금융, 교육, 행정, 각종 서비스업,

- 공장, 주택 등은 제외

c. 배후지 : 주변지, 영향권, 세력권, 상권, 중심지를 이용하는 주변 지역

d. 최소요구치 : 중심 기능이 존속하기 위해 필요한 최소한의 수요, 상권

e. 중심지 성립 조건 : 최소요구치 < 재화의 도달 범위

f. 재화의 도달 범위 - 판매량이 '0'이 되는 범위

② 이론 전개

a. 중심지의 형성 : 최소 요구치가 재화의 도달 범위 내에 있을 때 형성됨.

b. 중심지의 형태 : 단일 중심지는 원형이나 여러 개의 중심지는 경쟁을 최소화하기 위해

정육 각형구조를 이룸.

c. 중심지 계층 : 중심지가 갖는 기능의 보유 정도에 따라 고위 중심지와 저위 중심지로 구











<중심지 이론>

① 전제 조건

a. 대상지역은 동질적인 평야이다. 따라서 이동은 어떤 방향으로든 가능.

b. 구매력을 의미하는 인구는 연속적으로 균등하게 분포한다.

c. 소비자는 최소 거리 이동 원칙에 따라 합리적으로 행동한다.

② 내용

a. 중심지 기능이란 배후지역에 재화와 용역을 제공하는 기능으로

일반적으로 모든 도시는 이 중심지 기능을 수행한다.

b. 중심지 기능이 위치하기 위해서는 최소요구치가 충족되어야 한다.

c. 즉 재화의 도달범위가 최소요구치보다 커야 한다.

d. 이때 상품의 판매지역(배후지역)은 전제조건에 의해 원형이 된다.

e. 그러나 수많은 중심지가 경쟁하게 되면 육각형이 된다.

f. 중심지 기능은 각 기능별로 그 배후지역이 다르다.

g. 최소요구치와 재화의 도달범위가 큰 것을 고차 중심 기능, 작은 것을 저차 중심 기능이
라 한다.

h. 크기가 다른 육각형(배후지역)을 중복시켜 보면 차수가 다른 중심지가 서로 겹쳐 나타나


되는데 이곳이 고차 중심지가 되며 이 고차중심지는 그 아래 차수의 모든 기능도 갖는다.

: 중심지 계층 구조의 형성 → 단지 저차 중심 기능만을 갖는 중심지를 저차중심지라고 한
다.

i. 도시의 규모, 수, 도시간의 거리에는 일정한 분포법칙

(차수에 따라 일정한 비율로 증가 또는 감소)이 존재한다.

j. 즉 도시의 규모가 클 수록 그 수는 적고 도시간 거리는 멀어지며 기능의 수도 많아진다.

(배후지역도 넓다)

도시의 규모가 작으면 그 수는 많으며 도시간 거리는 가깝고 기능 수가 적다(배후지역 좁
다)





(2) 도시의 형태와 기능





1) 도시의 형태

① 교통 수단과 도시 형태의 변천

a. 도보·우마차 시대 : 근대적 교통 수단이 등장하기 이전의 모든 도시(원형)

b. 철도·전차 시대 : 시가지가 철도나 전차 노선축을 따라 확대 (별형)

c. 자동차 시대 : 전차 노선축에서 소외된 공간 지역까지 자동차 교통이 확산,

원형 확대·발전

d. 최근 : 고속도로망, 순환도로망을 따라 도시의 형태 확장

→교통의 원활한 소통, 주거 지역의 교외화, 기능 지역의 분산

② 도시의 평면형태(가로망)

a. 불규칙형 : 자연발생적 도로망(미로형). 역사가 오래된 자연 발생적 도시

b. 규칙형 : 직교형, 방사형, 직교 방사형

ㄱ. 직교형 : 바둑판 모양의 격자상 도로, 계획, 건설 및 확장이 쉬움

(신의주, 대전, 이리, 군산)

ㄴ. 방사형 : 미관상 좋고 주변 지역에서 도심부로의 접근이 쉬우나 복잡,

중앙 광장이나 시청 등을 중심 (진해, 나진, 나남)

ㄷ. 직교 방사형 : 도시 미관도 좋고 교통의 효율성도 높음, 계획· 건설·확장 용이,

최근 건설된 공업도시 (창원, 안산)

c. 혼합형 : 오랜 역사를 가진 대도시 → 미로형(구시가지) + 계획형(신시가지)

③ 도시의 입면형태 : 건물 높이와 건물 밀도로 구분

a. 도심: 건물의 집중화와 과밀화로 집약적 형태

b. 주변부: 도심에서 멀어질수록 건물 높이와 밀도가 낮아짐





2) 도시의 기능적 분류

① 도시의 기능 분류 (주 기능)

a. 기반 활동 : 외부 지역에 재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활동

→ 생산도시(공업, 광업, 수산도시)

b. 비기반 활동 : 도시 자체 주민의 수요를 충족시켜 주는 기능

교육, 행정, 의료, 교토 및 서비스업

→ 소비도시(군사 , 관광도시)

c. 교역도시 : 교통, 상업도시

d. 종합기능도시

② 도시의 유형 분류 (주민의 직업)

a. 종합 기능 도시 : 행정 중심지를 이루면서 상공업 기능도 고루 수행

( 서울, 부산, 대구, 광주, 대전, 인천, 청주, 전주 )

b. 공업 도시 : 부천, 구미, 창원, 울산, 여천, 포항, 안산, 안양, 마산 등

c. 광업 도시 : 상동, 사북, 도계, 태백 등(자원의 성쇠에 따라 인구변동 大)

d. 수산업 도시 : 속초, 주문진(성어기의 인구유입이 많다)

e. 군사 도시 : 원주, 진해, 동두천, 의정부, 오산 등

f. 관광 도시 : 경주, 부여, 제주, 서귀포(계절과 휴일에 따라 인구이동 大)

g. 교통 도시 : 제천, 영주, 천안, 김천, 이리(철도의 분기점에 위치)










< H. J. Nelson의 도시 기능 분류 >

먼저 전국 각 도시마다 9개 기능별로 고용 비율을 계산하고 이 비율을 다시 9개 기능별로
전국 평균을 구한 다음 각 도시의 기능별 비율이 평균치 보다 얼마나 많은가( 1 표준편차
이상 ) 그 정도를 이용하여 도시 기능의 특화 정도를 평가. 특화된 기능이 3개 이상일 때
종합 기능 도시, 2-3개일 때 복합 특화 도시, 1개일 때 단일 특화 도시로 분류





(3) 도시의 구조





1) 도시의 지역분화

: 도시의 내부가 사회 계층, 도시 기능의 분화로 여러 개의 기능 지역으로 나누어지는 현상

① 지역 분화의 요인

a. 접근성 : 다른 모든 지점과의 상대적 관계에서 나타나는 총체적 거리의 정도, 도심부 최


b. 지대 : 토지 이용에서 얻어지는 수익으로 지가가 비싸면 지대도 높음,

도시의 기능은 경쟁에 의해서 지대가 높은 업종이 우선적으로 입지함

② 접근성과 지가 → 토지 이용의 차이 발생 → 지역 분화

a. 집심현상 : 도시 기능이 접근성과 지대가 높은 도심으로 집중하려는 경향

→ 중추 관리, 고급 서비스 기능

업무 관리 기능, 서비스 기능은 접근성과 지가가 높은 도심으로 집중

b. 이심현상 : 넓고 값싼 토지가 필요한 공장, 주택, 학교는 외곽으로 이동

③ 도시의 토지 이용을 용도 지정(용도 지역제) ⇒ 인위적인 지역 분화

④ 도시의 각 기능은 상호경쟁하여 높은 지대를 지불하는 업종이 우선 입지

※ 도시가 성장하면 도심의 기능이 전지역에 골고루 미치지 못하게 된다.

이 때 도심 기능을 분하는 부심이 교통의 결절점에 조성되어 도심의 과밀난을 완화시키기도
한다.





2) 도시 내부 구조

: 중심 업무 지구 → 부도심 → 주거지역 → 개발 제한 구역 → 도시 근교 및 위성 도시

① 중심업무지구(Central Business District) : 도심

a. 접근성과 지가 최대 : 토지 이용이 집약적 → 건물의 고층화와 과밀화

b. 중심 업무 기능(관청, 회사, 금융기관),

서비스 기능(고급 전문 상가, 백화점, 유흥가) 밀집

c. 주간 인구는 많으나 야간(상주) 인구는 감소 ⇒ 도심 공동화 현상

d. 교통이 혼잡(rush hour, 병목 현상)하고 공해가 심함.

② 중간 지역 : 주택 및 공장이 혼재하는 지역

a. 도심 주변부 : 서비스 기능, 저급 주택, 경공업이 혼재한 점이 지대

b. 점이지대 → 주택지역 → 공업지역

c. 부심 : 지가가 도심 다음으로 높으며 건물도 고층화. 상업, 서비스업,

유흥가 발달(도심 기능의 일부 분담 : 도심의 과밀화와 교통난 해소)

중추 관리 기능 미약: 상업, 오락 기능 발달

도시 문제의 대책으로 부심을 개발하여 도시 내부 구조가 다핵화됨

③ 외곽 지역 : 도시적 경관과 농촌적 경관이 혼재

a. 신흥 주택가, 아파트 단지가 조성됨

b. 개발제한구역을 설정하여 도시의 무질서한 팽창(sprawl 현상)을 억제, 녹지 보전

④ 도시권의 확대 : 인구 증가와 교통의 발달로 주변 농촌 지역의 교외화 촉진

→ 위성 도시의 발달, 대도시권 형성( 연담 도시화 현상)





3) 도시 내부 구조 이론

① 동심원 이론 : 버제스

중심 업무 -- 점이 -- 노동자 주택 -- 중산층 주택 -- 통근자 주택 지구

② 선형 이론 : 호이트

도심에서 외부로 뻗은 간선 교통로를 따라 부채꼴의 지역 분화 진행(교통로를 중시)

③ 다핵심 이론 : 해리스, 울만

→ 핵 : 동종 업종의 집중, 특정 기능의 특정 지역 입지





(4) 도시화와 도시 문제





1) 도시화

① 도시화 : 도시의 수, 인구, 면적, 도시적 생활 양식의 확대

② 도시화 단계


a. 초기 단계 : 도시화율 30% 이하, 농업 중심 사회



b. 가속화 단계 : 이촌향도현상 심화, 공업화 초기 단계



c. 종말 단계 : 도시인구율 70% 이상, 신장률 둔화











③ 우리 나라 도시화의 특색 : 대도시의 확대 현상, 수도권의 과밀화

a. 대도시(서울, 부산)의 과대 팽창, 중소도시의 정체 → 지역차 발생, 국토의 불균형 발전

b. 수도권의 과도한 팽창과 위성도시의 급성장으로 거대 도시권을 형성( 역도시화 현상)





2) 도시 문제 : 인구의 도시 집중 → 도시의 과밀화, 거대화 → 각종 생활상의 문제

① 주택문제 : 인구 집중과 핵가족화로 주택 부족, 지가 상승, 불량 주택 지구

② 교통문제 : 좁은 도로, 주차 곤란 → 경제적 손실 초래

③ 도시의 무질서한 팽창 : 녹지 및 경지 잠식, 시가지 확장으로 통근거리 연장, 지가 앙등

④ 공해 문제

⑤ 공공 서비스 시설의 부족(상하수도, 교육, 의료, 문화)





3) 대책

① 대도시의 인구 및 기능의 지방 분산

: 자족 기능의 신도시 건설, 지방 도시 육성 및 기능의 지방 분산

② 도시 계획

a. 대도시의 팽창 억제 : 개발제한구역 설정 및 실시

b. 도시 재개발 : 용도지구제

도시 기반 시설 확충(주택 개량, 상하수도 시설 및 교통 시설 확충, 공원·녹지의 조성)



@-도시의시초.(이것부터아세야,합니다.)




도시는 어떻게 생겨나고 발전했을까?


1. 도시의 발생

[도시의 의미]

※도시(都市)라는 용어의 기원
『漢書』都市
『周書』都市部(백제의 관직명) 등이 나타남.
都는 군주의 거처인 王都를 뜻하나, 원래의 뜻은 사람들이 많이 모이는 곳을 가리킨다. 중국
문헌에 나타나는 도시는 일반적으로 사람들이 많이 모여 상업이 번성한 곳을 뜻한다. 따라
서 고대의 도시는 首都를 의미하는 都와 市場을 의미하는 市를 합쳐 놓은 단순한 명칭이었
을 것으로 봄.
이와 같이 고대의 우리 나라와 중국의 도시란 용어는 오늘날과 같이 도시 그 자체를 가리
키는 말이 아니라 도읍지의 시장 혹은 시장이 있어 번성한 곳을 나타내는 말로서 지금의 도
시와는 다른 것이다. 근대적 의미의 도시란 용어는 20세기 이후 사용되기 시작했고, 농촌과
구별되는 도시란 개념은 주로 邑內, 城內 등의 용어를 사용했다.

※도시(都市)의 사전적 의미
①상공업을 중심으로 한 경제 및 행정·문화·교통망·편의시설 따위의 중심지가 되며, 인
구가 집중하여 그 밀도가 현저하게 높은 지역. ↔ 농촌, 촌락
②도회지(都會地)↔ 시골

※고대도시의 개념 -수 천명 이상의 주민이 집단적으로 거주하는 비교적 큰 규모의 취락이
며 주로 비 농업적 기능, 즉 상업·공업·정치·경제·문화·군사적 기능을 보유하거나 부
문적으로는 농업중심지로서의 기능도 보유한 취락을 가리킨다. 일반적으로는 취락의 대다수
주민이 비농업적 직업에 종사하고 일련의 통합된 건축물들이 존재하며, 단일 정부에 의하여
통치되고 그 영향력이나 지배력이 주변지역까지 확대 될 경우, 그 취락의 규모와 상관없이
고대도시로 확대해석 한다.


[도시의 발생 배경]

① 수렵채집경제에서 농업경제로의 전환(신석기혁명)은 이동생활에서 정착생활로의 주거 형
태의 변화를 가져와 취락의 형성을 가져오고 농업은 수렵에 비해 더 많은 인구를 필요로 하
게 되어 취락의 규모를 커지게 하였다.
② 농업을 위한 치수 사업(수리 관개 시설)은 주민간의 협력 및 대규모 인원의 동원을 필요
로 한다. 그리고 그 과정에서 지혜(토목, 측량, 수학, 천문 등)의 발달을 가져온다.
③ 농업의 발달은 잉여 생산물을 낳고 잉여 생산물의 발생은 인구의 출산력을 높이고 인구
흡인력을 발휘하게 된다. 나아가 잉여 생산물은 빈부의 격차와 교환 경제를 낳고 직업 및
계급의 분화를 가져 옴.
④ 지배계급(신관, 전사), 상인, 장인, 농민, 노예 등의 사회계층 분화 진행
⑤ 취락에는 주택, 창고, 왕궁, 신전, 성곽, 상점, 도로, 공중 목욕탕 등이 건설됨.
⑥ 의사전달 수단으로써의 문자 발명 사용.
⑦ 금속기(청동기, 철기)의 사용과 교통 수단(수레, 돛단배)의 발달-도구, 무기의 혁신, 교역
과 정복 사업 활발, 부족 통합 촉진
⇒ 도시 형성

[고대도시의 발생 지역]


① 최초의 도시들이 발생한 지역은?
B.C. 3000~4000년경 메소포타미아의 티그리스 강과 유프라테스 강 유역에 조성된 비옥한 초
승달 지대(Fertile Crescent)로서, 오늘날의 이라크 지역이다.

② 이유(배경)
-.비옥한 초승달 지역은 주변지역에 비해 수목이 잘 생장하는 비옥한 지역으로 잉여생산이
빠른 시기에 달성될 수 있었다. 이 일대의 주민들은 B.C 8000년경에 그들이 채집하고 사냥
하던 동식물을 작물화 하고 가축화 하기 시작했다. (밀, 보리 등의 화본과 식물-돼 지·
소·말·낙타 등에 대한 지식 축적)
-.지금부터 약 5000~8000년 전 지구상의 큰 기후 변동 : 사하라 일대의 사막화 진행으로 주
민의 대하천(나일강, 티그리스강, 유프라테스강) 주변으로 이동하게 됨.
-.인구의 집중에 따른 식량증산의 필요성과 강의 범람을 막기 위한 치수관개 사업 진행.
-.비옥한 초승달지대의 농업혁명은 잉여생산물을 낳고, 인구 집중을 가져옴.
나아가 직업의 분화, 계급의 발생, 문자의 발생, 지적수준의 향상 등 고대도시와 고대 문명
이 일어나게 되었다.

③ 그 밖의 도시 발생 지역은?
-메소포타미아, 나일강 유역, 인더스강 유역, 황하 유역, 중앙 아메리카 등 고대문명 발생지
와 일치함. 인류의 문명은 도시에서 비롯된 것임을 시사함.

④ 세계의 주요 고대도시
-.메소포타미아(Mesopotamia)(강 사이의 땅)
: 아르메니아 산지의 지형성 강우5월경 홍수 관개시설 필요, 대추야자, 돼지, 들새, 물고기
풍부 ⇒ 에리두(Eridu). 우르(Ur). 아카드(Akkad). 바빌론(Babylon)

-.나일강 유역
: 비옥한 충적 평야 형성, 홍수조절 위한 수로 공사로 협력, B.C.3200년경 고대도시 발생
⇒ 멤피스(Memphis), 텔엘아마라나(TellelAmarana), 테베(Thebes)

-. 인더스강 유역
: 계획적으로 설계된 계획 도시 등장( B.C. 2200년경 문자, 바퀴달린 수레, 성채, 하수로, 목
욕탕, 창고, 집회소 등을 갖춤.)
⇒모헨조다로, 하라빠

-. 황하 유역
: 황하 유역의 강 언덕(비옥한 황토 지대)에 정착농경이 이루어지면서 취락 발생. 자연제방
은 대규모 취락 입지 장소 제공, B.C. 1500년경, 殷 왕조 성립.
⇒안양(은허), 쳉조우

- .중앙 아메리카
: 북미 대륙과 남미 대륙을 연결하는 비교적 좁은 띠모양의 형태를 취하고 있는 지역, 메소
아메리카라고 부른다. B.C.100년경 멕시코 계곡과 마야 지역에 고대도시가 형성
⇒테오티우칸(Teotihucan)-계곡의 저지대 비옥한 충적평야, 항상 솟는 샘, 종교활동의 중심
----아즈텍 문명 탄생.
⇒마야(Maya)지역 -열대 우림기후의 저지대, 많은 인구포용, 주식이 수수와 콩, 옥수수는
다른 작물에 비해 노동력이 적게들고 손쉽게 잉여식량 확보


2. 한국의 도시발달

[고대도시의 발생]

① 우리 나라 최초의 도시는?
: -.고조선의 왕검성으로 추정(그 위치와 규모 등이 정확히 밝혀지지 못함)
-.우리 민족 고유의 도시로서 가장 오래된 것으로는 고구려의 초기 수도였던 국내성을 들
수 있음. 이 도시는 산성과 궁궐을 갖춘 전형적인 성곽도시의 성격을 띰.
-.한강 이남 지역은 한강 이북보다 도시의 발생 시기가 늦음(우리나라의 고대 문화는 북부
지방에서 먼저 발달하고 남부 지방으로 확대되기 때문)

② 고대(삼국시대~남북국 시대)
-.대체로 5세기 전후 삼국은 중앙집권적 정치체제를 확립함에 따라 수도와 지방행정 중심지
에 관아 및 군인과 그 예속민, 상공인이 모이고 시장을 형성하게 되자 성곽을 축조함 으로
써 정치행정의 중심도시가 형성되었다. (예; 고구려의 3경, 백제의 22담로, 신라의 수도와 2
소경)
-.통일 신라는 당나라의 주군(州郡)제도를 모방 9주 5소경제도를 두어 오늘날의 주요도 시
를 형성함.<5소경-충주, 청주, 원주(←강릉), 남원, 김해. 9주-尙州, 良州(양산), 康州(진주),
漢州(광주), 朔州(춘천), 熊州(공주), 溟州(강릉), 全州, 成州(광주)>
-.오늘날의 우리 나라의 도시 가운데 신흥공업도시나 신도시를 제외한 대부분의 주요도시
는 이 시기에 형성되었다고 봄.

[중세의 도시]

① 고려
- .송악(개성)에 도읍(태조), 12목 설치(성종), 5도호부 8목으로 개편(현종)
- .5도호부 : 안남(수주, 부안), 안서(해주), 안북(영주, 안주), 안동(경주), 안변(등주)
- .8목 : 광주(경기도), 충주, 청주, 진주, 상주, 전주, 나주, 황주
- .3경 : 개경, 서경(평양), 동경(경주)→남경(한양)
⇒ 이상의 도시들은 정치와 군사적 거점으로 대개 성곽도시의 형태를 갖춤

② 조선(근대 이전)
-.건국(1392), 한양천도(1394)
-.태종 : 지방제도 개혁 ⇒ 전국을 8도-부, 목, 대도호부, 군, 현 등의 약 330개 행정구역으
로 개편, 여기서 대도호부 이상은 도시적 성격이 강하였다.
-.조선후기 : 농업 생산성의 향상을 중심으로 하는 경제전반의 활성화는 도시의 상업적 기
능을 증대시킴. (대동법의 시행, 사상의 대두, 지방 장시의 발달 등.) 그러나, 20세기 이전 전
산업시대에는 市域 내에서도 농업 인구가 상공업 인구보다 더 큰 비중을 차지함.

⇒ 근대 이전의 우리 나라의 취락은 대체로 80리 간격으로 분포, 고대의 이집트나 메소포
타미아에서도 취락간의 간격이 대체로 30km로 밝혀짐.(운송수단을 수레에 의존하던 육상의
경우는 곡물이나 물자수송에 있어 30km 내외의 거리가 유리함.)
※ Blache의 「인문지리 원리」에 의하면 도시는 일반적으로 어떤 장애물이 나타나거나 새
로운 조건과 타협하지 않으면 안 되는 장소에 발생한다. 즉, 산악지대로부터 벗어나는 출구,
하천의 도하지점, 사막의 관문, 해안과의 접촉점 등과 같이 새로운 교통수단을 이용해 야 하
는 곳에 도시가 형성될 가능성이 높다고 한다.

③ 19세기 말엽의 도시
* 10부 : 한성부- 수원부, 광주부, 개성부, 강화부(수도방위의 요충지)
전주부, 경주부, 함흥부, 평양부, 의주부(지방의 요지)
* 20목 : 지방행정의 중심지로 성곽도시를 이룸
경기도 - 여주, 파주, 양주
충청도 - 충주, 청주, 홍성, 공주
경상도 - 상주, 진주, 성주
전라도 - 광주, 능주, 나주, 제주
강원도 - 원주
평안도 - 안주, 정주
함경도 - 길주
* 5대도호부 : 안동, 창원, 강릉, 영흥, 영변(군사적 요충지)
* 기타 : 75도호부, 77군, 148현 (지방행정중심지)
* 대외무역 관련 상업도시 : 부산포(동래),염포(울산),의주,회령, 경원

※ 이상에서 살펴 본 삼국시대에서 조선시대의 우리 나라의 도시형성과 발달에서 나타나는
특징은 대도호부 이상의 市級에 해당하는 도시의 7할 정도가 아래의 [그림1-2]처럼 X축에
분포하였다는 것이다. X축이라 함은 조선시대 6大路 가운데 4大路인 서울-의주간의 의주
로(西路), 서울-동래간의 영남로, 서울-경흥간의 경흥로(北路), 서울-해남간의 호남로 (三南
路)에 인접한 지대를 가리킨다. 이 축은 오랜 기간에 걸쳐 형성된 것으로, 4대로 가운데 의
주로와 영남로가 한반도의 主軸에 해당하며, 경흥로와 호남로가 副軸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다.



[근대 이후의 도시]

① 일제 침략기~일제 강점기
* 강화도 조약 이후 부산·인천·원산·마산·목포·군산 등의 개항, 이를 근간으로 우리
나라의 근대도시가 발달하기 시작함.
* 우리 나라의 근대도시는 일제의 식민지 정책에 의하여 일본이 필요로하는 자원의 개발과
대륙 침략의 기지 확보 등을 위해 이루어졌다.
* 대일 무역항구로 발달한 도시 : 부산· 인천· 원산 ·목포
* 신설 철도역을 중심으로 발달한 도시 : 대전 ·이리 ·천안 ·신의주

---도시 발달은 그 하부구조의 하나인 교통로의 발달과 관련이 깊다. 특히 철도는 근대국가
에 있어 정치·경제·사회 및 기능의 제측면에 걸쳐 필요불가결한 시설인 동시에 경제 발전
과 도시발전의 혈관 역할을 담당한다. 우리 나라에서의 철도는 한반도의 치안유지와 일제의
대륙침략을 뒷받침하기 위한 군사철도로서의 기능과 자원수탈을 위한 수단으로 출발하였다.
일제에 의한 우리 나라 철도 건설은 도로 교통시대를 거치지 않고 바로 철도 교통시대로 돌
입함으로써 오늘날과 같은 지역 격차를 유발시키기도 하였다. 또한 국유철도로 운영되어 국
가 자본주의의 발달이 민간 자본주의 발달보다 앞섬으로써 경제발전 과정에 있어서 파행성
과 비정상적 도시발달을 초래하였다.

(그림4-10)우리 나라 철도망의 발달과 도시












* 대륙침략을 위한 광공업 도시 : 원산·흥남·함흥·북청·성진·길 주·청진·나진·평
양·남포·송림·신의주·사리원·해주·강계
* 식량수탈정책에 따른 미곡 집산지와 적출항으로 발달한 도시
: (집산지)전주, 광주, 이리, 정읍, 대전, 청주, 조치원, 논산, 대구, 김천, 밀양, 진주, 평양, 함
흥, 신의주, 사리원, 선천(적출항)군산, 목포, 부산, 마산, 남포, 원산, 성진,
청진
이들 도시에는 한반도에서 생산한 농산물을 수탈하고 토지 약탈을 위한 동양척식회사의
지점·출장소·사업소 등이 설치됨.
전체인구에 대한 도시 인구의 비율 1925년 4%→1944년 13%로 증가

② 해방이후의 도시 성장

<특징>
-해외 동포의 귀환과 북한 동포의 월남에 따른 남한의 도시인구 급증.
-6·25 전쟁 중 피난민의 영남지방 이동으로 대구·부산·마산 등의 도시인구 급증
-1960년대 초 경제 개발 5개년 계획의 추진으로 離村向都 현상으로 기존 대도시와 남동 임
해지역 신흥 공업도시의 인구급증(울산, 창원, 마산), 1963년 부산이 직할시가 되었고, 전체
인구에 대한 도시인구비율은 42.6% 에 이름.
-서울·부산·대구·인천·광주·대전 등 지방 중심도시와 울산·묵호·장성 등의 광업 도
시, 제천·영주·천안 등의 교통도시, 동두천·의정부의 군사도시의 증가가 뚜렷이 타남. 반
면, 전주·충주·경주·여수는 인구증가율 저하, 군산·충무·김천·강릉·순천은 인구 정체
상태, 마산은 오히려 감소-1970년대 수도권의 전철화와 공업화로 서울 위성도시의 급성장
(부천, 안양, 성남, 광명)과 지방 대도시의 계속적 성장 지속
-1990년대 주택난과 인구분산 정책에 따른 신도시 건설정책(분당, 일산, 중동, 평촌, 산본
등)


3. 도시의 기능

고대의 도시는 방어적 성격이 강했다. 따라서 도시 전체를 성곽으로 둘러싸고 때로는 해자
(垓字)를 둘러 외적의 방어에 대비하였다. 우리 나라에서도 일제시대 이전에는 대부분의 도
시에 성곽(읍성)이 둘러처저 있었다. 고대에는 이러한 도시가 하나의 국가를 이루어 성읍 국
가라는 용어를 사용하기도 한다. 중세 유럽의 도시도 이민족(훈족, 게르만, 마쟈르족, 이슬람
족, 노르만)의 침략에 대한 방어적 기능이 강하여, 봉건 영주의 성곽을 중심으로 도시가 형
성되었다. (---burg : 함부르크, 아우크스부르크, 룩셈부르크, 등) 근대의 도시는 중심지 기
능이 강하다고 볼 수 있다. 주변 지역에 재화와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능을 중심지 기능이라
하고, 중심지 기능이 자리잡고 있는 장소를 중심지라고 한다. 도시는 크든 작든 중심지 기능
을 수행한다. 중심지에서 주변의 배후 지역에 공급하는 재화나 서비스가 도달하는 공간적
범위를 도시권·서비스권·시장권·영향권 이라 하는데, 상품이나 서비스의 종류에 따라 그
범위가 다르며, 도시의 규모가 크면 클수록 기능의 종류가 더 많고 또한 더 멀리까지 영향
이 미친다.


※ 심화 학습


1. 중심지 이론


도시는 하나만이 고립적으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고 서로 어느 정도의 관련을 가지고 존재한
다. 소규모 도시는 기능적으로 하위의 단계에 있고 도시권도 좁으며 더 상위 도시의 지배하
에 놓여 있다. 이리하여 도시는 기능적·규모적으로 보다 상위의 도시에 통합되고 최종적으
로 한 개의 최상의 도시에 통합된다. 이 가설적 전제에 의한 도시의 규모와 도시권과 그 배
치 관 계에 관한 일반적인 개념이 중심지 이론이다.


2. 중심지 이론의 구성 내용


① 최소 요구치 : 중심지가 그 기능을 유지하고 계속 존립하기 위해서는 이윤이 발생할 수
있는 최소한의 수요 수준(판매 수준)이 요구된다. 이와 같이 이윤을 발생시키는 최소한의 수
요 수준을 최소 요구치(threshold)라고 한다.
② 재화와 서비스의 도달 범위 : 중심지로부터 거리가 증가함에 따라 중심지가 제공하는 재
화와 서비스의 가격이 증가되면 수요는 줄어들게 되어 결국 어느 지점에 이르러서는 수요가
발생하지 않는다. 이 지점을 재화와 서비스의 도달 거리 또는 범위(range of a goods and
services)라고 한다.
③ 중심지의 계층 구조 : 중심지간에는 중심지 기능의 보유 정도에 따라 계차가 나타난다.
이 계차를 중심지 계층이라 한다.

⇒ 우리 나라의 도시를 중심지 계층구조에 비추어 살펴보면 전 국토를 영향권으로 하는 서
울 이 최상위의 중심지이고, 그 아래 계층의 중심지는 부산·대구·광주·대전 등으로 광역
생활권의 중심지이다. 이보다 하위 계층의 중심지는 전주·청주·춘천 등의 도청 소재지와
지방 중심 도시이고, 보다 하위 계층은 군청 소재지와 면 소재지 등이다.


3. 기능에 의한 도시 분류


일반적으로 도시를 기능적 특색에 따라 분류할 때에는 산업별 취업 인구의 비율 혹은 산업
별 생산액의 비율을 지표로 해서 구분한다. 도시는 대체로 복합적 기능이 많은데 그 중에서
탁월한 기능에 의해 분류하면 다음과 같다.

① 생산 도시 - * 공업도시 : 창원·안산·구미(신흥 공업 도시), 울산·여천(석유
화학공업), 포항·광양(제철 공업),안양·부천·인천 등
* 광산도시 : 태백·사북·도계
* 수산도시 : 속초·주문진·사천
* 임업도시
② 소비 도시 - * 정치도시 : 서울·과천
* 주택도시 : 분당·평촌·일산·산본
* 교육도시 : 청주·경산
* 군사도시 : 진해·연무·오산·원주
* 종교도시
* 관광보양도시 : 경주·부여·서귀포
③ 교역 도시 - *상업도시 : 김천·안동·원주·진주·충주·여수
*교통도시 : 대전·익산·군산


<도시화>
대도시로 인구가 집중함으로써 도시 지역은 계속해서 교외로 확대되고 있다. 도시 근교의
농촌에서는 농지가 점차로 주택지나 공장 용지로 전용되고, 농촌의 주민들은 도시의 상·공
업 등의 노동력으로 고용되며, 생활 양식도 도시적으로 변하고 있다. 이와 같은 현상을 도시
화라고 한다.


<학생용 학습지>


1. 도시의 발생

도시란 무엇인가? 우리가 살고 있는 도시는 언제 어떤 과정을 거쳐서 발전했을까? 세계사
적 관점에서 도시라는 용어의 개념 변천과 도시 발생의 시기와 배경을 알아보자.

■ 도시란 무엇인가? 에 대하여 각자의 의견을 아는 대로 적어보자.
예): 사람들이 많이 모여 사는 곳




■ 고대의 도시는 ( )를 의미하는 都와 ( )을 의미하는 市를 합쳐 놓은 용어로, 도읍지의 시
장 혹은 시장이 있어 번성한 곳을 가리키는 단순명칭으로 사용되었다.


■ 도시란 용어의 사전적 의미를 찾아보자.

②도회지 ↔ 시골

※ 고대 도시 : 수 천명 이상의 주민이 집단적으로 거주하는 비교적 큰 규모의 취락이며, 주
로 비 농업적 기능 즉 상업·공업·정치·경제·문화·군사적 기능을 보유하거나 부문적으
로는 농업중심지로서의 기능도 보유한 취락을 가리킨다.

■ 도시발생의 배경에 대해서 생각해 보자.(인구 집중을 가져오는 요인들을 나열해 봅시다.)

-.수렵채집경제에서 생산경제로의 전환 : 농업은 수렵에 비해 더 많은 인구를 필요로 함.
- .농업을 위한 치수관개 사업 : 많은 인구와 협동작업의 필요성 증대, 지혜의 발달을 가져
옴. - .농업 발달에 따른 잉여 생산물은 인구의 출산력과 흡인력을 높여 줌 : 인구 집중
- .인구의 증가는 계급의 분화, 직업의 분화를 가져옴.
- .지배계급은 의사전달 수단으로 문자 발명.
- .금속기의 사용과 교통수단의 발달은 교역과 정복사업을 활발하게 하고 부족통합을 촉진
시 킴.

이상과 같은 요인으로 도시(국가) 발생이 나타남.

■ 고대도시의 발생지역은 어디일까?
-. 세계 최초의 도시 발생지역은?
- .그밖의 고대 도시 발생지역은?
a.
b.
c.
d.



2. 한국의 도시 발달


우리 나라의 도시 발달에 대하여 알아보고 다음의 각 질문에 알맞는 답을 적어보자.

■ 우리 나라 최초의 도시로 추정할 수 있는 것은 언제 어느 곳에 있었던 도시일까?


■ 오늘날 우리 나라 도시의 근간이 된 고대 도시는?

①고구려(3경):
②백제(22담로):
③신라(2소경):
④통일신라(9주 5소경):

■ 고려 시대의 우리 나라 주요 도시들을 생각해 보자.

①도읍지 및 3경 :
②5도호부 :
③8목 :

■ 삼국시대∼조선시대의 도시형성과 발달 과정에서 나타나는 특징인 X축이란 무엇인가?
다음의 지도상에 X축을 그려보고 주요 도시들을 표시해 보자.





■ 일제 침략기∼일제 강점기의 도시 발달의 특징을 열거해 보시오.

1. 일본의 경제적 침투에 따른 개항장(무역항)의 발달 :
2. 한반도 자원수탈과 대륙침략을 위한 철도역을 중심으로 도시 발달 :
ㄱ. 대륙침략을 위한 광공업 도시-
ㄴ. 식량수탈을 위한 쌀의 집산지 및 적출항-
ㄷ. 철도 건설에 따른 교통 중심지로 발달한 도시-

 

많은 도움이...되시길......*^^*~

2007.04.17.

  • 채택

    질문자⋅지식인이 채택한 답변입니다.

도움이 되었다면 UP 눌러주세요!
UP이 많은 답변일수록 사용자들에게 더 많이 노출됩니다.
6번째 답변
프로필 사진
wnal****
중수
본인 입력 포함 정보
구분 도시 촌락
땅의 이용 모습 아파트, 상가, 도로 등으로 이용 논밭, 과수원, 목장 등으로 이용
건물의 모습 건물이 많고 대부분 높다. 건물이 적고 주로 낮은 건물이 많다.
집과 집 사이의 거리 빽빽하게 모여 있어 집과 집 사이가 가깝다. 집과 집 사이가 멀고, 마을과 마을이 멀리 떨어져 있다.
인구 인구가 많고 인구밀도도 높다. 인구가 적고 인구 밀도도 낮다.
하는 일 상업, 공업, 서비스업 등 농임어업 등
연령 청장년층 인구의 비율이 높다. 유년층, 노년층 인구의 비율이 높다.

도시:높은 건물과 주택, 상점 등이 많습니다,많은 사람들이 바쁘게 오고 갑니다., 자동차가 많아 거리가 복잡합니다, 학교가 많고, 학생 수도 많습니다., 도시 중심에는 관공서, 회사, 은행, 방송국, 백화점 등이 있습니다.

촌락:공기가 맑고, 물이 깨끗합니다., 도시에 비해 인구가 적습니다, 젊은 사람보다 노인들이 많습니다, 건물의 높이가 높지 않고, 크기도 비교적 작습니다, 학생 수가 적어 문을 닫는 학교가 많습니다

2007.04.18.

도움이 되었다면 UP 눌러주세요!
UP이 많은 답변일수록 사용자들에게 더 많이 노출됩니다.
13번째 답변
프로필 사진
qu****
초수
본인 입력 포함 정보

1. 도시 발달의 기원

(1) 도시의 뜻
  1) 인구와 기능 밀집, 2, 3차 산업 비율 큼
  2) 직업과 생활 다양, 유동 인구 많음
  3) 주변 지역과의 관계에서 중심적 역할을 함

☞ 심화 : 도시에 대한 계략적 설명

▲도시의 이중성
(1)제한된 범위의 공간에서 일정 규모 이상의 인구가 밀집되어 다양한 생산과 소비 활동의 경제적 기능과 고도의 사회 정치 문화적 기능이 수행되는 장소이다.
(2)도시는 새로운 가치와 이념을 일으키고 새로운 기술과 발명을 전파 · 확산 시키는 변화의 중심지로서의 기능을 수행한다.
(3)도시의 이중성은 도시민에게 편의를 제공하기도하고, 많은 도시문제를 야기 하기도 한다.

(2) 도시의 기원(起源)

이동생활→

정착농경→

촌락발달→

농경방법 발달

잉여농산물 발생

노동분업→

사회분화→

(정치 지배자. 사제, 장인, 상인 등 비농업 전문직의 분화)

도시성립

♠세계최초 도시 발생 지역 : 메소포타미아 지역(바빌론)
♠우리 나라 최초의 도시 : 고구려 최초 도읍지 국내성

☞ 심화 : 도시의 발달 과정

☞ 심화 : 우리나라의 도***달

(3) 도시 입지(立地)의 유형

1) 선형분포(線形分布)

2) 밀집분포(密集分布)

3) 균등분포(均等分布)

O관문도시(gateway city)
O중앙거점도시
O발달 초기 해양에서 내륙으로 연결되어 도시 입지
O관문 도시가 철도, 하천의 교통로를 따라 도시가 연속됨

O특정 자원이 있는 장소로 도시가 분포
예)산업 혁명 후 철광석과 석탄산지

O경제활동과 인구증가로 도시들이 지역 전체에 고르게 분포,
O도시의 규모에 따라 계층형성

O선진 지역의 도시 배치 형태

(4) 우리 나라의 도시 입지
  1) 지형 : 하천 근처의 분지와 평야
  2) 교통의 분기점, 결절점, 수송 적환지에 입지
   →철도 : 대전, 익산, 천안,
   →항구 : 인천, 부산
  3) 산업 : 1960년대 이후 신흥 공업지역에 입지 → 울산, 구미, 포항

2. 조선시대 이전의 도시

 ◎ 고대 국가 형성되면서 도시 발달
 ◎ 삼국시대 : 하천 연안의 방어가 유리한 지역, 왕도(王都) 중심으로 도시 발달(평양, 경주, 부여)
 ◎ 신라 : 행정구역 - 9주 5소경 설치 , 지방 행정중심지 - 평양, 경주, 부여
                           →5소경 : 지방을 통치하기 위하여 경주의 진골을 이주하여 배치

(1) 통일 신라시대

5소경
중원경(충주)
북원경(원주)
서원경(청주)
남원경(남원)
금관경(김해)

9주
한주, 삭주, 옹주, 명주, 상주, 전주, 무주, 양주, 강주

경주이외 지방 행정 도시 발달

(2) 고려의 도시

1)수도 : 개경
  ○가로가 구획 정리된 성곽도시
  ○분지를 이용하여 : 방어에 유리하게 건설

2)지방도시 : 서경, 동경, 남경 등의 3경 설치
  ○3경설치 의미 :
                        ① 지방의 통치
                        ②균형 개발의 의미
                        ③풍수지리설의 영향으로 국력을 증강 시킬 수 있다고 생각함.
  ○초기의 행정구역 : 5도 양계

▲행정구역
5도 : 서해도, 교주도, 양광도, 전라도, 경상도,

양계 : 부계, 동계

 

초기 3경

서경, 개경, 동경

 

후기 3경
서경, 개경, 남경

 

고려초(성종) : 12목설치

( 황주 해주, 양주. 광주,청주. 충주, 공주, 전주.나주. 승주.상주. 진주)

3. 조선 시대 도시

(1) 조선의 도시 특색
1) 도시형성 : 정치, 행정 중심지

2) 대부분 성곽도시 : 왕조의 성쇠가 도시 성쇠에 밀접한 영향

3) 조선전기 : 행정 군사상의 요지
               →행정도시(충주, 청주, 전주, 평양, 함흥)
               →군사도시(전주, 대구, 해주, 함흥, 수원, 개성, 원주 - 성곽도시)

4) 조선후기: 상공업 요인→도시성장

5) 국토의 중앙, 수륙 교통편리

▲한성부는 풍수지리설을 바탕으로 국토의 중앙과 수륙교통 편리한 곳에 입지

 

⊙군사 중심지 발달→성곽도시 (전주, 대구, 해주, 함흥, 수원, 개성, 원주)

(2) 수도 한성부 건설

1) 한성부 건설
  ○풍수지리설에 입각한 명당 선정
  ○분지 지형을 이용 : 방어와 통치에 유리하고, 중앙적 위치
  ○한강의 수운을 고려한 계획도시 건설
  ○풍수지리설에 의해 시설을 배치한 내성과 외성을 쌓아 미로형 성곽도시 건설
  ○15세기 초 인구 10만 명의 도시에서 17세기 후반에 20만명이 넘는 대도시로 성장







2) 한성부의 내부구조
  ○전조후시(前朝後市) 좌묘우사(左廟右社)배치 원칙

 

북 : 궁궐

 

→이들을  연결하는  6조 거리와 종로를 주요 도로로 둠

서 : 사직단

 

동 : 종묘

 

남 : 시전

 

  →위와 같은 배치는 지방 행정 중심지에도 적용되어 →성곽도시 건설
  →후기에는 정기시장 중심의 상업도시가 건설되었다.

3) 한양의 거주지 구분
  ○북촌 - 세도 있는 양반들의 거주지역
  ○남촌 - 가난한 양반, 하급 벼슬아치 거주지(현재의 남산 기슭)
  ○중촌 - 중인들이 거주(현재의 종로구에 해당) 
  ○성밖 - 상민과 천민들의 거주지역

 * 한양의 거주지는 청계천 북쪽의 북촌과 남쪽의 중촌과 남촌으로 구분된다

한성부 내부구조

(3) 조선의 지방도시

⊙지방 행정 중심지 : 8도와 부(府), 목( 牧), 군(郡), 현(縣 )에 성곽 도시 발달(전주, 대구, 수원, 개성, 해주, 원주)

1) 행정도시 : 한양, 부, 목, 군, 현

2) 군사도시 : 4군 6진, 병영, 수영

3) 개항도시 : 부산, 인천, 원산

4) 지방 행정 도시 : 중심지에 성곽도시 발달

5) 교역도시 : 두만강 연안(회령, 경원), 남해안(부산포, 염포)

6) 상업도시 : 15c이후 지방 장시(場市) 즉 정기시장 중심으로 상업도시 발달

7) 특수기능도시 : 의주(약령시), 대구(약령시), 강경(어(魚)시장), 수원(가축시장)

4. 일제 시대의 도시

(1) 일제 전반기 도시(1910년-1930년)
1) 도시 특징
  ○식량과 원료 수탈 목적 : 부산, 인천, 원산
  ○쌀 집산지 : 익산, 군산, 목포
  ○신흥 교통도시 : 대전, 이리, 신의주(X자형 간선철도 주변)

2) 부(府)제 실시
  ○1914년 12개 : 기존도시 - 서울, 평양, 대구(3개), 항만도시 - 9개 신설
    →1944년 21부 실시
  ○1920년대 : 일제의 식량 기지화로 쌀의 집산지와 수출항 중심의 도시 발달
    →전주, 광주, 목포, 군산,

▲일제 전반기(1910년)

⊙서울, 평양, 대구와 함께 개항장을 중심으로 한 신흥 항만도시 발달(부산, 인천, 진남포 등)

(2) 일제 후반기 도시(1930년-1945년)
1) 도시 특징
  ○북부지방에 집중적으로 발달
         →대륙 침략의 발판으로 이용(철도 건설로 도시 발달 : 경부선, 경의선, 호남선, 함경선)
         →자원의 개발과 대륙 기지화 정책
         →병참 기지화, 대륙침략의 거점
         →산업철도 부설
         →광공업 도시 건설 : 해주, 함흥, 청진, 흥남, 나진, 아오지

  ○남부지방 도시 : 식량과 원료 공급기지

  ○중부지방 도시 : 행정기능 도시 성장

2) 시가지 이중구조
  ○구시가지 : 한국인 거주, 미로형, 자연발생적

  ○신시가지 : 일본인 거주, 직교형, 계획적

3) 철도 : 1910년-대각선, 1925년-X자형
  ○교통도시 성장 : 철도(대전, 천안), 항구(부산, 인천)

  ○대일(對日)무역을 위한 항구와 신설 철도역을 중심으로 발달

▲일제 후반기(1930-1940년) 지도

⊙지하자원 개발과 수송을 위해 철도를 따라 발달,

→광공업도시 성장(해주, 함흥, 청진)

→대륙 침략을 위한 철도 건설로 도시 발달(경부선, 경의선, 호남선, 함경선)

5. 해방 후의 도시

(1) 도시 특징
1) 1945년 해방에서 1960년까지
  ○북한 주민의 월남과 해외 동포의 귀국으로 도시 인구 급증
  ○산업 발달이 기반이 되지 않은 상태에서 무질서한 인구증가(과밀화, 과잉화, slum화)
  ○서울과 일부 대도시 성장 - 소비도시 성장


2) 1960년대에서 1970년 까지
  ○수출 지향의 경제 정책으로 급격한 도시 성장 : 이촌향도(離村向都)현상
  ○경부축 중심의 도시 성장 : 일제 시대의 영향(경부선 철도의 영향)
    →기존의 도시(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신흥 공업 도시(울산, 마산, 포항)

3) 1970년대에서 1990년 까지
  ○농촌보다 도시 인구 비율이 높아짐
  ○대도시의 과대화, 과밀화, 슬럼화(slum), 공업화 본격적  추진
  ○서울과 서울의 위성도시, 경부선 주위 도***달. 남동 임해 공업 도시들이 급 성장

4) 1990년 이후
  ○도시 70개 이상. 수도권-서울의 위성도시가 발달
  ○1995년 : 지방 시대로 인하여 행정구역의 통합 및 합병
  ○통합시 등장 : 시(市)와 군(郡)을 통합하여 정주 생활권(定住生活圈)을 조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도 농 통합시에는 :
  -남양주, 안동, 상주, 삼척, 마산, 공주, 서산, 보령, 정읍, 남원, 김제, 나주, 경산, 영주, 문경 등

▲1990년대의 도시

  ⊙수도권 도***달

  ⊙성남, 안양, 부천, 안산, 고양, 구리, 군포 등의 도시 성장

  ⊙서울의 인구 분산을 위해 위성도시에 공장과 주택지 조성

  ⊙남동 임해 공업 도시 성장

  ⊙여수, 광양, 구미, 경산, 창원, 울산, 김제, 거제 등의 공업 도시와 위성 도시 성장

▲정주생활권(定住生活圈) 개발 계획
(1) 농어촌 개발의 의의
농어촌은 생산성 경제에서는 도시에 뒤지지만 식량의 생산, 원료의 공급, 자연 및 문화 경관의 보존 등 담당하는 일이 매우 막중하다. 농어촌의 경제 기반이 튼튼하지 않고서는 도시 경제가 발전하기 어려우며, 농어촌 문제의 해결 없이는 도시 문제도 해결되지 못한다.

(2) 정주 생활권 개발 계획
①농촌 중심 도시와 주변의 농어촌 지역을 기능적으로 통합하여 상품 구입, 금융, 의료, 교육, 문화,행정 등의 기본 수요를 충족시키려는 계획
②최하 단위인 마을과 이들 마을에 상품 판매와 일상생활의 기초 서비스를 제공하는 2천 - 3천명 규모의 농촌 중심지와 이보다 상위에 있는 금융, 의료, 교육, 행정 등의 기본적 수요를 충족시켜 주는 2만 - 10만명 규모의 농촌 중심 도시의 계층으로 이루어진다.
③ 통합시 : 생활권이 같은 시와 군을 통합하여 행정 구역을 생활권에 맞추었다.

(2) 도시 구조 변화
1) 도시 형태의 변화
  ○수직적 팽창: 지가상승, 접근도 , 고층화
  ○수평적 팽창: 교통의 발달, 주거지 교외화

2) 도시기능의 변화 : 소비-생산도시(공업)

3) 도심 인구의 감소현상: 지대와 접근도 차이 -인구 공동화 현상

4) 1945-1949년: 해외 동포 귀국
  ○북한 주민의 월남
  ○도시 인구의 급증(서울, 광주, 대전)

(3) 도시 발달
1) 1950-1960년(남한에 25개 도시  형성)
   →피난도시(부산, 대구, 마산)
   →군사도시(원주, 광주, 진해)
   →교통도시(대전, 익산)
   →전제(戰製)도시, 군사도시
   →대도시의 과밀화, 슬럼화

2) 1960년대 : 이촌향도의 현상, 도시화 급속히 진행
   →대도시의  팽창(서울, 부산, 대구)

3) 1970년대 : 위성도시 성장(성남, 부천, 안양), 농촌보다 도시 인구 비율 높아짐
   →임해 공업도시 (울산, 마산, 포항)

4) 1980년대
   →수도권 지역의 성장(인천, 과천, 광명 등)
   →남동임해 공업도시(수송 적환지)
   →서울과 부산 등 대도시 주변의 -위성도시 급성장
   →도시는 경부축을 따라 급속히 성장
   →지방 도시는 정체 내지 원만한 성장

5) 1990년대 : 도시 70개 이상발달, 수도권 - 위성도시 발달
  ○지방시대로 인하여 행정구역 통합 및 합병으로 통합시 등장, 도.농 복합형도시
   →도시 주변의 농촌 지역을 시로 편입시킴으로 기존 시(市) 지역의 확장과 도시 인구 증가   5개 광역시와 40개 통합 시 등장(1995년)(통합시는 남양주, 안동, 상주, 삼척, 마산, 공주, 서산, 보령, 정읍, 남원, 김제 , 나주, 경산, 영주, 문경 등이 있다.)

* 1997년 1개 특별시, 6개 광역시 66개 통합시 포함  

○서울 - 인구 분산(성남, 안양, 부천, 과천, 안산 등 위성도시 발달)
○남동 임해 공업- 도시성장(여수, 창원, 광양, 구미, 김해, 거제, 마산)

▲도 농 복합형도시(1995년)

⊙통합시의 성장으로 1996년 도시인구 85.7%로 증가함

◐탐구 과제 1

도시 발달 초기에는 바닷가, 강어귀 등 외부와의 연결이 쉬운 곳에 관문도시가 자리 잡으며, 중간거점 도시들이 하천 등 주요 교통로를 따라 그림과 같이 띠 모양으로 분포한다.   이러한 도시분포 유형을 무엇이라 하는가?

◐탐구 과제2

조선의 수도가 한양으로 정해진 가장 중요한 이유는?

◐탐구 과제 3

일제 강점기에 나타난 대표적인 도시의 유형을 3가지 든다면?

◐탐구 과제 4

1960년대 이후 우리 나라 도시 발달의  특징을 3가지 쓰시오?

 

도시에 대한 계락적 설명

도시란  촌락보다 큰 규모의 가옥들이 연속적으로 밀집되어 있는 곳을 말하며, 도시는 주로 평야, 분지 등 평탄한 곳과 완경사지에 위치하고 있으며, 도시의 입지에 고려되는 요소에는 물, 농업의 잉여 생산, 외부와의 교통 및 방어 등이 있다. 대체로 기원전 3~4천년 경부터 도시가 발생하였다고 한다.

☞ 도시의 발달 과정

산업 혁명을 계기로 도시가 획기적으로 발달하게 되었고, 이 때 촌락 지역의 많은 노동력이 신흥 공업 도시로 집중하여 도시의 규모가 더욱 확대되게 되었으며, 그 후 철도와 전철의 등장으로 통근 지대가 확대되자 도시의 형태는 주요 간선 교통로를 축으로 별 모양의 시가지를 이루게 되었다. 이렇게 되자, 주거지와 직장이 분리되면서 도시의 규모가 더욱 커지게 되고, 20세기 중반부터는 자동차 교통이 발달하고 도로망이 확충됨에 따라 교외화가 활발하게 진행되었고 그 결과 도시의 성장이 가속화되면서 거대도시들이 출현하게 된다.
※ 메갈로폴리스: 거대도시들이 더 확장되어 연속적으로 발달한 곳. 미국 북동부 지역, 유럽 북서부, 일본 등지에 나타난다.

☞ 우리나라의 도***달

우리 나라 도시는 고대 국가의 형성과 더불어 발달하기 시작했으며, 고구려의 국내성과 평양, 백제의 위례성과 공주 및 부여, 신라의 경주 등이 대표적인데, 이 때의 도시들은 생산력을 갖춘 도시가 아니라 단지 행정의 중심지였다. 조선시대에 들어서면서 수도인 한양과 지방 행정 중심지에 도시가 발달하였고 후기에는 상업적 기능을 갖춘 도시가 급속히 성장하였고, 그리고 80년대에 들어서는 대도시 주변의 위성도시가 발달하였다

<!--- 출처 ---><!--// 출처 -->

<!--// 선택 답변 --><!--- 답변 --->
<!--- 타이틀 --->

re: 우리나라 도시의 발달 과정

비공개 (2007-04-12 00:33 작성)

신고|이의제기

<!--// 타이틀 -->
<!--StartFragment--> 

 도시 수가 점차 늘어나고 있다.

우리나라의 도시 수는 1960년대에는 1개 특별시와 27개 시였으나, 지금은 1개 특별시와 6개 과역시를 포함한 70여 개의 시로 늘어났다.

 도시가 전국에 골고루 발달하고 있지 않다.

우리나라 인구분포도와 동일하게 도시는 주로 우리나라의 남쪽과 서쪽에 발달하고 있다.

 서울, 부산 등과 같이 도시로 발달한 후에도 인구가 계속해서 늘어나고 있다.

서울, 부산을 중심으로 하는 지역에서는 대도시권이 발달하고 있다. 대도시 주변에서는 대중교통 수단이 발달하고 자가용이 보급되면서, 사람들은 시의 경계를 넘어서 거주하면서 통근 생활을 하고 있다. 거주 지역의 교외 화는 빠른 속도로 진행되며, 대도시 주변에 많은 위성 도시들이 발달하게 한다.


2, 도시의 발달 조건

1) 옛날

 산지보다는 평야 지역에 발달한다.

 교통이 편리한 곳에 도시가 발달한다.

 자원이 풍부한 곳에 도시가 발달한다.

 사람이 살기 좋은 곳에 도시가 발달한다.

 큰 강이 있는 곳에 도시가 발달한다.

 주변에 산이 있어 외적의 침입을 방어하기가 유리한 곳에 도시가 발달한다.

 교통이 편리한 곳에 도시가 발달한다.

 다른 나라와 왕래가 쉬운 곳에 도시가 발달한다.

 백성들의 살 터전으로 적합한 곳이 도시로 발달한다.


2) 오늘날

1. 지형적 조건 - 평야, 분지 등 평탄한 곳이나 완경사지

                - 산지와 평야가 접히는 곳

                - 평지와 바다가 접하는 하구나 해안

                - 주변에 산이 있어 차가운 북풍을 막아주는 곳

2. 교통이 편리한 곳 - 철도가 부설된 곳

                      -  항구가 들어선 곳

3. 물이 풍부한 곳

4. 농업 생산물이 풍부한 곳

저도 퍼온거랍니다 ^^ 열공하세요

2007.04.19.

  • 출처

    누군가

도움이 되었다면 UP 눌러주세요!
UP이 많은 답변일수록 사용자들에게 더 많이 노출됩니다.
3번째 답변
프로필 사진
3436****
초수
본인 입력 포함 정보
도시의 발달
 1) 조선 시대 이전
 (1) 삼국 시대 :
하천 연안의 방어가 유리한 지형이나 분지에 왕도를 중심으로 발달(평양, 경주, 부여 등)
(2) 고려 시대 :
개경(수도), 평양, 경주, 한양의 3경(京)과 도호부 및 목(牧)이 정치, 군사 도시로 발 달
2) 조선 시대 : 주로 미로형의 성곽 도시
 (1) 한양 : 풍수 지리상 명당으로 방어, 통치를 고려한 계획 도시
(2) 지방 도시 : 관찰사 주재지 - 행정, 군사 기능
(3) 특수 기능 도시 : 시장, 역원, 무역, 군사 도시 발달

3) 일제 강점기 :
항만, 철도 교통의 요지, 지하 자원이 풍부한 관북 지방에 도시 발달
- 구시가지(한국인 거주지, 미로형)와 신시가지(일본인 거주, 직교형)의 이중 구조 형성
4) 광복후 - 1960년 :
북한 주민의 월남과 해외 동포의 귀국
- 도시에 정착
- 대도시의 과밀화와 슬 럼화
5) 1960년대 이후 :
급격한 도시 성장, 신흥 공업 도시 성장, 거대 도시 및 수도권 위성도시 발달, 지방 도시

 

 

혹시 이거 말하시는 건가여 ???

2007.04.17.

도움이 되었다면 UP 눌러주세요!
UP이 많은 답변일수록 사용자들에게 더 많이 노출됩니다.
18번째 답변
프로필 사진
hjjh****
시민
본인 입력 포함 정보

시기          행정구역의 변화           교통시설의변화         생활모습의 변화


1394   개경에서한양으로              1899    경인선 철도       기원전50  구석기 농기구

           수도를 옮김                          1969    경인고속도로     서기194   고구려 진대법

1946    경기도에서 분리되어        1994   서해안 고속도로  서기1912~1918   토지조사

            자유시가 됨                        2000    인천 국제공항고속 도로

1949   서울시를 서울 특별시로

          고침

가장괜찮은 것들 뽑았음.

http://kid.seoul.go.kr 여기에들어가시면 정보 듬뿍

 

도움되기를...

2007.04.19.

도움이 되었다면 UP 눌러주세요!
UP이 많은 답변일수록 사용자들에게 더 많이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