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AVER

질문 우리나라 역사 연대표
ysp1**** 조회수 20,543 작성일2010.08.15

역사연대표 만드는거 알려주세요...ㅜ3ㅜ

선사시대부터 현재까지 간단하게요.

아 글고 어떤 형식으로 만들어야 하는지도 알려주세요;;;;;

 

내공은 적지만 10입니다

프로필 사진

답변자님,

정보를 공유해 주세요.

9 개 답변
3번째 답변
프로필 사진
탈퇴한 사용자 답변

ㅎ 그럼 제주도의 역사를 알려드릴게여!

 

제주도의 역사

제주도 역사의 기원은 석기시대로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이시대 사람들은 동굴이나 바위 그늘 주거지에서 생활하였으며,  유물로는 타제석기, 골각기등이 발견되고 있다.이후 청동기,철기시대의 유물,유적으로   고인돌, 마제석기, 토기, 옹관묘 등도 도내 전역에 분포되고 있어   제주도 역사의 기원을 더듬어 볼 수 있는 소중한 자료가 되고 있다.제주의 옛명칭은  도이, 동영주, 섭라, 탐모라, 탁라 등으로 불리어 왔다.이들 명칭중 '동영주'만을 제외하고는 모두가 '섬나라' 라는 뜻이다.     제주도의 개벽신화인 3성신화에 의하면 태고에 '고을나', '양을나', '부을나' 라고하는 삼신인이 한라산 북쪽 모흥혈(현재의 삼성혈) 이라는 땅 속에서 솟아나와 가죽옷을 입고 사냥을 하며살고 있었다. 이들 삼신인들은 '벽랑국' 에서 오곡의 씨앗과, 송아지, 망아지등을 갖고 목함을 타고 제주도 동쪽해상으로 들어온 삼공주를 맞아 혼례를 올렸다.    이때부터 이들은 오곡의 씨앗으로 농사를 짓고 소와 말을 기르며 살기 시작했다.그후 '고을나'의 15대 후손 3형제 (후, 청, 계)가 당시 한국의 고대왕조의 하나인 '신라'(B.C 57~A.D 935)에 입조하여 '탐라'(제주도의 옛명칭) 라는 국호를 갖게 되었고, 또 이때부터 '탐라'는 '신라'를 섬기게 되었다.기록에 의하면 이 탐라국은 고구려, 백제 및 신라로 분열된 삼국시대에는 이들 나라들과 독자적으로 혹은 그에 예속되어 있으면서 외교관계를 맺어왔다 .

이러한 관계는 그후 고려 시대에도 계속되면서 탐라국의 독특한 문화와 역사의 맥을 이어왔다.1105년에는 고려의 행정구역인 탐라군으로 바뀌었으나, 왕자의 지위는 그대로 존속되어 실질적인 탐라의 통치자 역활을 하였다고 하네요.

 

다음은 주요문화 유적지 

1.삼성혈

 

종 목 사적 제134호

면 적  33,833㎡

지 정 일 1964.06.10

소 재 지 제주 제주시 이도동 1313

시 대 시대미상

 

삼성혈은 제주도의 고씨·양씨·부씨의 시조가 솟아났다는 3개의 구멍을 말한다.

 

3시조들은 가죽옷을 입고 고기를 사냥해 먹고 살다가, 다섯 곡식의 씨와 송아지·망아지를 가지고 온 벽랑국의 세 공주와 각각 결혼하여 농경생활을 시작하였다고 한다. 구멍은 품자 모양으로 배치되어 있는데, 하나만 바다와 통하고 나머지는 흔적만 남아있다.

 

조선 중종 21년(1526)에 제사를 지내기 위해 단과 비석을 세우고, 주위에 울타리를 쌓아 봄과 가을에 제사를 지내고 있다.

 

2.제주목관아지

 

종 목 사적 제380호

면 적  22,391㎡

지 정 일 1993.03.31

소 재 지 제주 제주시 삼도2동 43-40외

시 대 조선시대

 

관아란 벼슬을 가진 사람들이 일을 보던 건물로서 제주목 관아터는 제주의 정치·행정·문화의 중심지였다.

 

발굴조사 결과 탐라시대부터 조선시대까지 관아의 중요한 시설이었던 동헌·내아 건물터 등의 위치와 규모를 확인하였다. 이로써 제주목 관아터가 고대로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제주도의 중심지 구실을 한 중요한 곳임이 밝혀졌다. 관아터 남서쪽에는 병사들의 훈련장으로 사용하기 위해 조선 세종 30년(1448)에 세운 관덕정(보물 제322호)이 있다.

 

3.고산리 선사유적

 

종 목 사적 제412호 

면 적  99,121㎡ 

지 정 일 1998.12.23

소 재 지 제주 제주시 한경면 고산리 3628번지

시 대 석기시대

 

 수월봉 앞 해안단구 대지에 넓게 형성되어 있는 신석기시대 전기의 선사유적이다. 신석기시대는 원시농경과 목축을 기반으로 정착생활을 시작하면서 인류문화 발달사에 새로운 계기를 마련한 시기이다.

 

발굴 결과 나온 유물로는 석기 99,000여 점, 토기조각 1,000여 점이 있는데, 특히 원시형 적갈색 섬유질 토기조각은 독특한 토기형태로 고산리식 토기라고 불린다. 당시 사람들이 사용했던 유물 조합을 통해 후기 구석기 말엽의 수렵채집 집단이 석기 전통을 계승하며, 초보적인 형태의 토기를 만들었던 것으로 짐작한다.

 

4.항파두리 항몽유적지

 

종 목  사적  제396호 
면 적 1,135,476㎡
지 정 일 1997.04.18
소 재 지 제주 제주시  애월읍 고성리 1126-1외 
시 대 고려시대


고려 원종 14년(1273) 김통정 장군과 삼별초 대원들이 여몽연합군과 마지막까지 싸운 곳이다.

 

진도 싸움에서 패한 삼별초는 원종 12년(1271) 제주도에 들어와 안팎 2중으로 된 성을 쌓았는데 안쪽의 성은 성벽의 안팎을 수직에 가깝게 돌로 쌓았으며, 바깥성은 언덕과 계곡을 따라 흙으로 쌓았다.

 

이 성은 해발 약 190∼215m에 있으며, 동쪽으로는 고성천이 있고 서쪽으로는 소앵천이 있다. 남쪽은 높고 북쪽은 낮으며 동쪽은 완만하고 서쪽에는 하천이 있어 성을 쌓기에 적합한 지형이다. 주변에는 대부분 경작지, 목초지 들판이 있고 남쪽과 북쪽에는 논이 있었다.

 

당시에 쌓았던 토성이 부분적으로 남아 있으며 돌쩌귀, 기와, 자기, 연못터 등 많은 유적이 발견되었다. 오늘날에는 유적 정화사업을 벌여 순의비, 순의문, 항몽유적기록화 7폭, 관리사무소를 두고 역사교육 시설로 활용하고 있다. 


5.삼양동 선사유적

 

종 목  사적  제416호 
면 적 14129.8㎡
지 정 일 1999.11.16
소 재 지 제주 제주시  삼양1동 1660-5외 
시 대 선사시대


제주시 삼양동 일대의 토지구획정리사업이 진행되던 당시에 발견된 선사시대 유적이다.

 

1997년 4월부터 1999년 7월에 걸쳐 제주대학교 박물관에서 발굴조사를 한 결과 기원전 1세기를 전후한 시기의 집터 236곳을 비롯하여 돌을 쌓아 만든 담장, 쓰레기를 버리던 폐기장, 마을의 외곽을 두르고 있던 도랑 자리가 있는 큰 규모의 마을 유적으로 확인되었다.

 

집터 안에서는 구멍띠토기, 덧띠무늬토기(점토대토기), 적갈색항아리 따위의 그릇 종류와 돌도끼·대패·갈돌·숯돌 등 돌로 만든 도구종류와 철제도끼, 손칼, 동검, 칼자루끝장식(검파두식), 콩, 보리 등 많은 유물이 발견됨에 따라 탐라국이 형성되던 시기의 제주도의 문화를 이해할 수 있는 유적이다. 

 


6.추사유배지

 

종 목  사적  제487호 
면 적 1499㎡
지 정 일 2007.10.10
소 재 지 제주 서귀포시  대정읍 안성리 1666-1번지 일원 
시 대  조선시대


서귀포시 대정읍성 동문자리 안쪽에 자리잡은 추사거적지는 조선 후기의 문신이자 서화가였던 추사 김정희(1786∼1856)가 유배생활을 하던 곳이다.

 

김정희는 영조의 사위였던 김한신의 증손으로, 조선 순조 19년(1819) 문과에 급제하여 성균관 대사성·이조참판 등의 벼슬을 지냈다. 그러다 조선 헌종 6년(1840) 55세 되던 해에 동지부사로 임명되어 중국행을 앞두고 안동김씨 세력과의 권력 싸움에서 밀려나 제주도로 유배되었다. 유배 초기에 포도청의 부장인 송계순의 집에 머물다가 몇 년 뒤 현재의 적거지로 지정된 강도순의 집으로 이사하였다. 이 집은 1948년 제주도 4·3사건 때 불타버리고 빈 터만 남았다가 1984년 강도순 증손의 고증에 따라 다시 지은 것이다.

 

김정희는 이 곳에 머물면서 추사체를 완성하고, <완당세한도>(국보 제180호)를 비롯한 많은 서화를 그렸으며, 제주지방 유생들에게 학문과 서예를 가르치는 등 많은 공적을 남겼다.

 

추사적거지는 추사 김정희선생이 제주에 남긴 유배 문학의 커다란 문화적 가치 뿐만 아니라 그가 남긴 금석학과 유학, 서학의 의미는 역사적·학술적으로 크게 평가되고 있다. 


7.오현단

 

종 목  제주도 기념물  제1호

지 정 일 1971.08.26
소 재 지 제주 제주시  이도1동 1421-3 
시 대  조선시대


조선시대에 이곳 제주도에 유배되거나 방어사로 부임하여 이 지방의 교학 발전에 공헌한 다섯 분(5현)을 기리고 있는 제단으로, 이들의 위패를 모시던 귤림서원의 옛 터에 마련되어 있다.

 

5현은 중종 15년(1520)에 유배된 충암 김정 선생, 중종 29년(1534)에 제주목사로 부임해 온 규암 송인수선생, 선조 34년(1601)에 안무사로 왔던 청음 김상헌선생, 광해군 6년(1614)에 유배된 동계 정온 선생, 숙종 15년(1689)에 유배된 우암 송시열 선생 등 다섯 분이다.

 

고종 29년(1892) 제주사람 김의정이 중심이 되어 비를 세우고 제단을 쌓아놓았는데, 원래는 선조 11년(1578) 임진이 목사로 있을 때, 판관 조인준이 가락천 동쪽에 충암 김정을 모시기 위한 충암묘를 지은 것이 그 시초이다. 현종 6년(1665) 판관 최진남이 이 묘를 장수당 남쪽인 지금의 자리로 옮겨놓은 뒤, 숙종 8년(1682) 예조정랑 안건지를 제주도에 파견하여 ‘귤림서원’이라는 현판을 하사하여 김정 선생·송인수 선생·김상헌 선생·정온 선생 등 네 분의 위패를 모시도록 하였다. 숙종 21년(1695) 송시열 선생도 함께 모시면서 5현을 배향하게 되었으나, 고종 8년(1871) 서원 철폐령이 내렸을 때 서원이 헐리게 되어, 그 터에 이 제단을 설치하게 되었다.

 

단내에 있는 5현의 자취로는 철종 7년(1856) 송시열 선생의 글씨로 하여 판관 홍경섭이 바위에 새긴 ‘증주벽립’이라는 글씨와, 김정 선생과 송시열 선생의 ‘적려유허비’가 남아있다.

 

8.제주성지

 

종 목  제주도 기념물  제3호

지 정 일 1971.08.26
소 재 지 제주 제주시  이도1동 1437-6외 3필 
시 대  탐라국시대


제주성은 언제 쌓았는지 확실하지 않지만, 탐라국 수도 부근의 성곽으로 오래 전에 쌓은 것이라 전해진다.

 

이 성은 제주의 많은 화산암을 이용해서 고려 숙종 때 둘레 4700척, 높이 11척으로 확장하여 새롭게 정비하였다. 그후 조선 중종 7년(1512)에 둘레를 5486척으로 확장하고 방어시설을 갖추었다. 성안에 샘이 없어서 겪었던 급수의 어려움을 해결하기도 했다.

 

명종 10년(1555) 을묘왜변 때는 왜적이 침입하여 성을 포위하고 공격했으나, 이를 물리치는데 성공하였다. 임진왜란이 일어나기 전에는 성벽을 5척 높여 쌓고 방어시설을 갖추기도 하였다.

 

현재는 성벽이나 건물들이 거의 남아 있지 않지만, 당시의 축성방식을 알 수 있는 자료이다. 

 


9.대정성지

 

종 목  제주도 기념물  제12호

지 정 일 1971.08.26
소 재 지 제주 서귀포시  대정읍 보성리,인성리,안성리 
시 대  조선시대


읍성이란 군이나 현의 주민을 보호하고, 군사적·행정적인 기능을 함께 하는 성을 말한다.

 

조선 태종 16년(1416) 제주도의 행정 구역 정비로 대정현이 설치되고, 2년 뒤에 현감 유신이 백성을 보호하기 위해 읍성을 축조했다. 이 읍성은 산과 계곡을 끼고 있는 일반적인 읍성과는 달리 집과 밭들 사이에 만들어져 있다.

성벽의 둘레는 약 1614m이고, 높이는 약 5.1m이다. 지금은 성벽 안에서 군데군데 옛 모습을 볼 수 있으며, 성문은 동·서·남문 3개만 설치되고 북문은 처음부터 만들지 않았다. 이곳을 중심으로 관아와 창고들이 있었으며, 이 지역 방어를 위하여 10여 곳에 봉수대를 설치해 먼 곳에 외적의 침입을 알렸다. 


10.법화사지

 

종 목  제주도 기념물  제13호

지 정 일 1971.08.26
소 재 지 제주 서귀포시  하원동 1071 
시 대 


법화사는 12세기∼15세기에 제주도에서 번창했던 절이다.

 

18세기 전기에 제주목사 이형상이 제주도의 절 3곳을 불태워 없앨때 완전히 불타버렸으며, 지금의 건물들은 1987년 다시 세운 것이다.

 

현재의 법당 자리에서 금당지로 보이는 건물터가 발견되었는데, 앞면 5칸·옆면 4칸에 면적이 약 100평인 대규모 건물이었음을 알 수 있다. 법화사는 건물 기단의 바닥돌이 2단으로 되어있고, 면석의 기법이 특이하며, 출토된 도자기와 기와조각 등으로 보아 10세기∼12세기 경 지어진 것으로 추측된다.

 

당시 규모가 매우 큰 절로 제주도 3대 사찰 중 하나인 중요한 유적이다.

2010.08.15.

도움이 되었다면 UP 눌러주세요!
UP이 많은 답변일수록 사용자들에게 더 많이 노출됩니다.
1번째 답변
프로필 사진
yang****
영웅
제주도여행, 표준어, 방언 48위, 제주특별자치도 분야에서 활동
본인 입력 포함 정보
한국사 연표
 
연도한국사연도세계사
BC 700000경
구석기문화
BC 3000경
이집트 문명 발생
6000경
신석기문화
2500경
황허 문명 발생
2333
단군 왕검 개국
1700경
함무라비 법전 편찬
2000
청동기문화 보급
6세기
석가 탄생, 공자 탄생
300경
철기문화 보급
334
알렉산드로스 대왕, 동방원정 개시
194
위만, 고조선 왕이 됨
221
秦의 중국 통일
108
고조선 멸망, 漢이 4군 설치
202
유방, 漢 황제 즉위(중국)
57
신라 건국(혁거세)
139~126
한, 장건 실크로드 개척
37
고구려 건국(주몽)
27
로마, 아우구스투스 제정 시작
18
백제 건국(온조)
6경
예수 탄생
AD 3
고구려, 국내성으로 천도
AD 25
중국, 후한 건국(유수)
8
백제, 마한 통합
105
채륜, 종이 발명(중국, 후한)
42
가락 건국(김수로)
220
후한 멸망
209
고구려, 환도성으로 천도
279
晉의 중국 통일
244
고구려, 요동지방 공격  
260
백제, 관등과 공복 제정  
313
낙랑군, 고구려에게 멸망
313
로마, 그리스도교 공인(밀라노 칙령)
371
백제. 고구려 공격
316
중국, 5호16국시대 시작
372
고구려, 불교 전래, 태학 설립
375
서고트족 도나우 강 남쪽으로 이주
373
고구려, 율령 반포 (게르만족 대이동)
375
백제, 고흥 〈서기〉 편찬
395
로마 제국 동서 분열
384
백제, 불교 전래  
404
고구려 광개토왕, 요동 진출
439
중국, 남북조 성립
427
고구려 장수왕, 평양으로 천도  
433
신라와 백제 화친
449
앵글로색슨족, 브리타니아 침입
475
백제, 웅진으로 천도
476
서로마 제국 멸망
  
484~518
동서 교회 분리, 프랑크 왕국 건국
520
신라, 율령 반포, 공복 제정
504
중국, 梁 무제 불교 국교화
527
신라, 불교 공인
529~565
유스티니아누스 법전 편찬
538
백제, 사비성으로 천도
570경
마호메트 탄생
545
신라, 거칠부 〈국사〉 편찬
589
隋의 중국 통일(양견)
551
신라 진흥왕, 한강 유역 확보  
552
백제, 일본에 불교 전함  
555
신라 진흥왕, 북한산순수비 세움  
562
신라, 대가야를 멸함  
566
신라, 황룡사 완공  
576
신라, 화랑제도 시작  
600
고구려, 이문진 〈신집〉 편찬  
612
고구려, 살수대첩(수 격파)
608
수 양제, 대운하 건설
625
고구려, 도교 전래
610경
마호메트, 이슬람교 창시
631~47
고구려, 천리장성 축조
618
중국, 唐 건국(이연), 수 멸망
645
고구려, 안시성대첩(당 격파)
622
헤지라(이슬람 원년)
647
신라, 첨성대 건립
629~655
당, 현장 〈대당서역기〉 저술
660
황산벌전투, 백제 멸망
645
일본, 다이카 개신
663
백제 부흥군 함락  
668
고구려 멸망  
676
신라, 당군 축출(삼국통일)  
682
신라, 국학 설립  
685
신라, 9주5소경 설치  
692
신라, 설총 이두 정리  
698
발해 건국(대조영)  
717
신라, 의박사·산술박사를 둠
711
사라센, 서고트 왕국 멸망시킴
718
신라, 누각전을 둠
755
당, 안녹산의 난 발생
722
신라, 丁田制 시행
768
샤를마뉴 즉위(프랑크 왕국)
735
신라, 패수이남지역 영유 확정
800
샤를마뉴, 로마에서 황제대관식
749
신라, 천문박사·누각박사를 둠  
751
신라, 불국사 창건  
756
발해, 상경으로 천도  
788
신라, 독서삼품과 설치  
822
김헌창 반란
829
잉글랜드 통일(앵글로색슨 왕국성립)
828
장보고, 청해진 설치  
834
신라, 백관의 복색제도 발표
843
베르됭 조약, 프랑크 왕국 3국 분열
888
신라, 〈삼대목〉 편찬
862
러시아, 노브고로드 왕국 건설
895
후고구려 건국(궁예)
875~884
중국, 황소의 난
900
후백제 건국(견훤)  
918
고려 건국(왕건)
902~979
중국, 5대10국 분열시대
926
발해 멸망
907
중국, 당 멸망
935
신라, 고려에 귀부
916
거란 건국(야율아보기)
936
후백제, 고려에 멸망(고려, 후삼국 통일)
946
거란, 국호를 요로 정함
  
960
중국, 송 건국(조광윤)
956
고려, 노비안검법 제정
962
신성 로마 제국 성립(~1806)
958
과거제도 시행
987
프랑스, 카페 왕조 시작(~1328)
976
전시과 제정
988
러시아, 그리스 정교 수용
982
중앙에 3성6부 설치  
992
국자감 설치  
993
상평창 설치, 거란 1차침입  
995
군현제 정비  
996
건원중보(최초의 철전) 주조  
998
개정전시과 제정  
1009
강조정변
1037
셀주크투르크 제국 건국(~1157)
1019
귀주대첩(거란군 대파)
1054
그리스도교 동서교회로 분열
1033
북방에 천리장성 축조시작
1066
노르망디 공 윌리엄, 잉글랜드 정복
1076
관제개혁, 경정전시과 제정
1077
신성 로마 제국, 하인리히 4세 '카노사의 굴욕'
1087
초조대장경 완성  
1096
의천, 속장경 완성(부인사에 둠)
1096~99
제1차 십자군 원정
1107
윤관, 여진 정벌
1115
여진족 금 건국(아구다)
1126
이자겸의 난
1125
금, 요를 멸망시킴
1135~36
묘청, 서경에서 반란
1127
북송 멸망, 남송 시작
1145
김부식, 〈삼국사기〉 편찬
1130
금, 남경 등을 함락
1170
무인정변(정중부)
1147~49
제2차 십자군 원정
1174
조위총의 난
1189~92
제3차 십자군 원정
1196
최충헌 집권(최씨정권 성립)  
1198
만적의 난  
1231
몽골의 침략개시
1202~04
제4차 십자군 원정
1232
강화 천도
1206
칭기즈 칸, 몽골 통일
1234
금속활자로 〈상정고금예문〉 인쇄
1215
영국, 마그나 카르타 제정
1251
팔만대장경 완성(해인사에 현존)
1241
한자 동맹 성립
1258
최씨정권 붕괴
1254
독일,대공위시대 시작
1270
강화에서 개경으로 환도
1270
제7차 십자군 원정
1270~73
삼별초 몽골에 항쟁
1271
몽골, 원 건국(쿠빌라이)
1274
고려·원의 1차 일본 정벌(실패)
1279
남송, 원에게 멸망
1281
고려·원의 2차 일본 정벌(실패)
1299
마르코 폴로 〈동방견문록〉 저술, 오스만 제국 건설
1284경
일연, 〈삼국유사〉 완성  
1287
이승휴, 〈제왕운기〉 완성  
1350
왜구침입 빈번해지기 시작  
1356
공민왕, 반원개혁정책 시행
1302
프랑스, 삼부회 성립
1359
홍건적 1차침입
1309
교황의 아비뇽 유폐
1361
홍건적 2차침입
1338
일본, 아시카가 바쿠후 수립
1363
문익점, 목화씨 가져옴
1339
백년전쟁 발발
1365
신돈, 집권
1356
독일 황제 카를 4세, 황금칙서 발표
1377
최무선, 화약 제조
〈직지심경〉 간행
1368
원 멸망, 명 건국(주원장)
1369
티무르 제국 건설(~1500)
1380
황산대첩(왜구대파)
1381
잉글랜드, 와트 타일러의 난 (농민봉기)
1388
위화도회군(이성계)  
1391
과전법 제정
1400경
이탈리아, 르네상스 시작
1392
고려 멸망, 조선 건국(이성계)  
1394
조선, 한양으로 천도,
정도전 〈조선경국전〉 편찬
  
1395
〈고려국사〉 편찬(정도전 등)  
1403
주자소 설치
1453
동로마(비잔틴) 제국 멸망, 백년전쟁 종전
1413
8도행정조직정비, 호패법 제정  
1419
쓰시마 정벌(세종)
1455
구텐베르크, 활판인쇄 발명
1423
조선통보 주조
1455~85
장미전쟁
1441
측우기 발명
1462
모스크바 대공국 이반 3세 차르 칭호 사용
1443
4군 설치
1467~77
일본, 오닌의 난(전국시대 시작)
1445
〈용비어천가〉 편찬
1479
스페인 왕국 성립
1446
훈민정음 반포
1492
콜럼버스, 아메리카 대륙 발견
1447
화포 제조, 〈석보상절〉 완성
1498
바스코 다 가마, 인도항로 발견
1447~50
〈월인천강지곡〉 지음
1500
티무르 제국 멸망
1449
6진 완성  
1453
계유정난  
1454
〈고려사〉 간행  
1466
직전법 실시  
1484
〈동국통감〉 완성(서거정 등)  
1485
〈경국대전〉 최종본 반포  
1493
〈악학궤범〉 완성(성현 등)  
1498
무오사화  
1504
갑자사화
1517
루터, 95개조 게시(종교개혁 발단)
1506
중종반정
1519~22
마젤란, 세계일주
1510
삼포왜란
1526
무굴 왕조 건국(~1858)
1512
일본과 조약(임신조약) 체결
1533
잉카 제국 멸망
1519
기묘사화
1541
칼뱅, 종교개혁
1527
최세진, 〈훈몽자회〉 찬진
1543
코페르니쿠스, 지동설 발표
1543
주세붕, 백운동서원 설립
1559
영국, 국교통일령 반포
1545
을사사화
1562~98
위그노 전쟁
1555
을묘왜변
1582
로마 교황의 역법개정
1559~62
임꺽정의 난 (그레고리력 선포, 현재의 태양력)
1565
승과 폐지
1588
영국, 스페인의 무적함대 격파
1583
이이, 10만양병설 주장
1589
러시아 정교, 그리스 정교로부터 독립
1589
정여립 모반(기축옥사)  
1592~96
임진왜란(한산도대첩·진주대첩·행주대첩)
1590
도요토미 히데요시, 일본 통일
  
1592
스코틀랜드에서 장로파교회 성립
1597~98
정유재란(명량대첩·노량해전)
1598
프랑스, 낭트 칙령 발표
  
1600
영국, 동인도회사 설립
1608
대동법 경기도에 처음 실시
1603
일본, 에도 바쿠후 수립
1609
일본과 국교 재개(기유조약)
1616
후금 건국(누르하치)
1610
허준, 〈동의보감〉 찬진
1618~48
독일, 30년전쟁
1618
허균(〈홍길동전〉 지음), 처형당함
1620
필그림 파더스, 플리머스 상륙
1623
인조반정
1628
영국, 권리청원
1624
이괄의 난
1636
후금, 청 건국(누르하치)
1627
정묘호란
1642~49
영국, 청교도혁명
1631
정두원, 천리경·화포·자명종 도입
1644
명, 청에게 멸망
1634
상평통보 첫 사용
1648
베스트팔렌 조약
1636
병자호란 발생
1651
크롬웰, 항해조례 발표
1637
청에게 항복
1679~84
루이 14세, 베르사유 궁전 건설
1645
소현세자, 천문·산학·천주교 서적 도입
1682
러시아, 표트르 1세 즉위
  
1685
프랑스, 낭트 칙령 폐지
1653
하멜, 제주도에 표착
1687
뉴턴, 만유인력의 법칙 발견
1654
나선(러시아)정벌
1688
영국, 명예혁명
1658
나선정벌(2차)
1689
네르친스크 조약(청-러시아),
1678
상평통보 유통 영국, 권리장전 발표
1689
김만중, 〈구운몽〉 지음  
1708
대동법 전국 시행
1701
프로이센 왕국 성립
1712
백두산정계비 건립
1765
와트, 증기기관 완성
1728
이인좌의 난, 영조, 탕평책 실시
1776
아메리카 13주 독립선언
  
1783
파리 조약 성립(미국독립)
1744
〈속대전〉 완성
1789
프랑스 혁명, 인권선언
1750
균역청 설치(균역법 실시)  
1770
〈동국문헌비고〉 완성  
1776
규장각 설치  
1780
박지원, 〈열하일기〉 저술  
1784
이승훈, 천주교 서적 도입  
1791
시전특권폐지(신해통공), 신해사옥  
1801
신유사옥, 안동김씨 세도정치 시작
1801
영국, 아일랜드 병합
  
1804
나폴레옹 1세, 프랑스 황제가 됨
1811~12
홍경래의 난
1806
신성 로마 제국 멸망
1818
정약용, 〈목민심서〉 완성
1812
나폴레옹 1세, 러시아 원정 실패
1839
기해사옥
1814
빈 회의
1845
김대건, 최초로 신부 되어 밀입국
1815
나폴레옹 1세, 워털루 전투 참패, 신성 동맹 성립
1846
김대건 신부 순교  
1860
최제우, 동학 창시
1830
프랑스, 7월혁명
1861
김정호, 〈대동여지도〉 간행
1840~42
아편전쟁
1862
임술농민항쟁
1848
프랑스, 2월혁명(제2공화국),
마르크스·엥겔스, 공산당 선언
1863
고종 즉위(흥선대원군 집권)
1864
서원 철폐령
1851
중국, 태평천국운동(홍수전)
1865
〈대전회통〉 완성
1857~58
인도, 세포이 항쟁
1866
병인양요
1858
무굴 제국 멸망
1871
신미양요
1859
다윈, 〈종의 기원〉 발표
1875
운요호 사건
1861~65
미국, 남북전쟁
1876
병자수호조약(강화도조약) 체결
1863
링컨, 노예해방선언
1879
지석영, 우두종두법 전파
1868
일본, 메이지 유신
1882
임오군란
1869
수에즈 운하 개통
1883
〈한성순보〉 창간, 태극기 사용
1871
빌헬름 1세, 독일제국 건설(제2제국)
1884
우정국 설치, 갑신정변
1879
에디슨, 백열전구 발명
1885
거문도사건
1882
독일·오스트리아·이탈리아 3국동맹
1894
갑오농민전쟁, 갑오개혁  
1895
을미사변, 단발령
1884
청-프랑스 전쟁 발발
1896
아관파천, 〈독립신문〉 창간, 독립협회 발족
1885
청-일본, 톈진조약 체결
  
1889
일본, 제국헌법 발표
1897
국호를 대한제국으로 고침
1894~95
청일전쟁
1899
경인선 개통
1895
청-일본 시모노세키 조약 체결
  
1896
제1차 올림픽 대회(아테네) 개최
  
1899
헤이그 국제회의
1901
신식화폐조례 공포(금본위제 채택)
1900
중국, 의화단사건
1905
경부선철도 개통, 을사조약 체결,
천도교 창시
1902
러시아, 시베리아 철도 개통
1904
러일전쟁 발발
1906
통감부 설치
1905
러시아, 피의 일요일 사건 발생
1907
국채보상운동, 헤이그 밀사 사건,
의병봉기(정미의병)
1907
프랑스·영국·러시아 3국 협상
2차 헤이그 국제회의
1908
최남선, 〈소년〉 창간,  
 일제, 동양척식회사 설립  
1909
안중근 의거  
1910
한일합병, 조선총독부 설치

2010.08.15.

  • 채택

    질문자가 채택한 답변입니다.

도움이 되었다면 UP 눌러주세요!
UP이 많은 답변일수록 사용자들에게 더 많이 노출됩니다.
2번째 답변
프로필 사진
탈퇴한 사용자 답변

역사연대표는 대부분 사회나 국사 참고서나 문제집에 있습니다.

죄송하지만 몇학년 이신지 몰라서 딱히 설명은 못 드리겠구요,

전 중학생인데요 한끝이나 문제집 보면 앞에 참고서에 나와 있습니다.

연대표는 각 시대마다 왕도 많고 왕의 이름을 다 적지 마시고 몇년도에 왕이 즉위했고

몇년도에 죽었고 그 왕의 업적만 간단하게 적어주시면 됩니다

에를 들어 조선시대 000년 세종 훈민정음 창제

뭐 이렇게 적어주시면 되고요, 고려시대나 조선시대 선사시대 같이 시대를 적을때

싸인펜이나 색깔펜으로 적어주시면 보기 편합니다.

연대표는 한번에 파악을 하기 위해 작성하는 것이기 때문에 알아보기 쉽게 하는 것이 좋습니다,

또 간단하게 만드는 것을 원하시니 최대한 중요한 것 임오군란이나 임진왜란 나라 건국

뭐 이정도만 해 주시면 됩니다.

 

열심히 만드시길 바라겠습니다

 

2010.08.15.

  • 출처

    내 머리

도움이 되었다면 UP 눌러주세요!
UP이 많은 답변일수록 사용자들에게 더 많이 노출됩니다.
4번째 답변
프로필 사진
gudw****
시민
본인 입력 포함 정보
감사합니다 숙제에 많은 도움이

2010.08.16.

도움이 되었다면 UP 눌러주세요!
UP이 많은 답변일수록 사용자들에게 더 많이 노출됩니다.
5번째 답변
프로필 사진
dkwk****
시민
본인 입력 포함 정보

연도와 사건의 칸을나누고 사건의 간단한 설명을 합니다.

예를 들자면

1392년   조선건국    이성계가 조선을 건국했다

이렇게

2010.08.16.

도움이 되었다면 UP 눌러주세요!
UP이 많은 답변일수록 사용자들에게 더 많이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