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AVER

질문 무장투쟁론
비공개 조회수 5,650 작성일2018.11.19
제가 무장투쟁론에 찬성측으로 토론을 해야하는데요
어떤 근거를 들어야 할지 잘 모르겠어서요
무장 독립투쟁의 배경과
장점등을 설명해 주세요!


내공 100걸어요
프로필 사진

답변자님,

정보를 공유해 주세요.

3 개 답변
1번째 답변
프로필 사진
wh****
영웅
본인 입력 포함 정보
무장투장이 독립에 끼친 영향은 지대합니다.
한국. 미국. 아일랜드가 그 성공적인 사례라고 볼 수있습니다.

2018.11.19.

도움이 되었다면 UP 눌러주세요!
UP이 많은 답변일수록 사용자들에게 더 많이 노출됩니다.
2번째 답변
프로필 사진
비공개 답변
바람신
당시 조선의 힘으로는 독립을 할 수가 없었습니다. 고종황제가 폐위되고 순종때 한일합방이 되었고 군대가 해산되었습니다. 일본은 그 전에 청일전쟁, 러일 전쟁에서도 승리했는데 이런 상황에서 독립을 쟁취하기 힘들었습니다. 그 때는 아무도 몰랐지만 가쓰라*테프트 밀약으로 일본에 조선을 지배하도록 밀약을 맺은 미국도 조선은 안중에도 없었습니다. 힘을 기르고 교육을 하고 국채를 갚자는 운동도 있었지만 민중에 대한 수탈과 폭앞은 심해졌기에 무장투쟁이 제일 나은 방법이었습니다. 그래야 일본이 우리들의 의지를 알 수 있는 것입니다. 물론 우리가 게릴라전투나 폭탄투하로 말미암아 일시적 앙갚음은 할 수 있었지만 그 후유증과 보복은 더 컸다는 주장도 있습니다. 일리는 있지만 무장투쟁은 정당하고 효과적인 방법이기도 했습니다. 힘을 기르고 교육을 하는 것에는 한계가 있고 시간도 오래걸려서 민중의 고통은 커지고 애국심이나 독립의지는 갈수록 꺾이게 마련이지만 무장투쟁은 일시적 기쁨일지라도 국민들의 가슴에 의지를 심겨주고 자부심을 주기도 하는 방법입니다.

우리나라가 원폭투하 때문에 일본으로부터 독립을 찾기는 했지만 우리 독립부대는 이미 준비를 하고 있었습니다. 원폭투하가 없었다면 어찌 되었을지 모르는 일입니다. 일본은 막다른 골목에 쳐해있었기 때문입니다.

아무튼 무장독립투쟁은 불가피한 방법이었고 그래야만 했습니다. 강도가 집을 침입해서 폭행을 가하는데 가만히 있으면 안되는 것과 마찬가지입니다.

2018.11.19.

도움이 되었다면 UP 눌러주세요!
UP이 많은 답변일수록 사용자들에게 더 많이 노출됩니다.
3번째 답변
프로필 사진
미래인
절대신 열심답변자 eXpert
사회문화 6위 분야에서 활동
본인 입력 포함 정보

1920년대의 민족해방운동

 

이시대는 독립운동  성격이 2가지로 대분 합니다

독립하기에 아직 부족하니  실력양성을 한다음  자주독립 하자는것과

초기부터 항일 무장투쟁을 하자는 강경파로 대분 합니다 

1919 3 1일 만세운동은 전국적인 운동이었지만일제의 탄압 때문에 많은 희생자를 내고 실패하자 김원봉은 평화적인 운동으로는 안되고 일제에 항거 하려면

무력투쟁이 있어야 한다며 신흥무관학교 출신 윤세주이성우곽경강세우이종암한봉근

한봉인•김상윤•신철휴•배동선•서상락•권준 등과 의열단을 조직 단장을 맡았다.


의열단(義烈團)의 지침 활동은 7가살(可殺), 5파괴(破壞)

 

7가살(可殺)은 아래 일곱 부류를 암살 대상으로 삼았다.

①조선총독부 총독 이하 고관

②일본군부 수뇌

③대만 총독(당시 대만도 일제치하)

④매국노

⑤친일파 거두

⑥적의 밀정

⑦반민족적 귀족 및 대지주

 

5파괴(破壞)

①조선총독부

②동양척식주식회사

③매일신보사

④각 경찰서

⑤왜적의 주요기관

을 파괴 대상으로 삼았다.

 

악질적인 친일파 제거

일본의 고위관료 암살

식민지 통치의 중요한 시설을 폭파 함으로서

일본의 식민통치 기반을 흔들리게 하자는 목적이었다.

 

의열단 주요거사

1920 9 14: 박재혁이 부산 경찰서에 들어가 경찰서장을 폭사.

1920 12 27: 최수봉이 밀양경찰서 소속 모든 경찰이 모인 가운데 폭탄을 투척.

1921 9 12: 김익상이 조선총독부 청사에 들어가 폭탄을 던졌다. 폭발로 청사 일부파손.

1922 3 28: 김익상, 이종암, 오성륜이 상해 황포탄 부두에서 일본 육군대장 다나카 기이치를 암살하려다 체포. 오성륜 의사는 가까스로 탈옥하고, 김익상 의사는 1943년 처형되었다.

1923 1 12: 김상옥이 종로경찰서에 폭탄을 투척.

1924 1 5: 김지섭이 도쿄의 궁성 정문 앞 이중교에서 폭탄을 던졌으나 불발.

1924 6 1: 김병현, 김광추, 박희광이 친일파 정갑주와 가족을 사살.

 


임시정부의 백범 김구도 의열단에 자극을 받아1931 <한인 애국단>이라는 항일 무력 독립운동단체를 창설했다.

 

<한인 애국단>은 창설과 함께 매우 활발한 활동을 벌였다

이봉창, 윤봉길 의사도<한인 애국단> 소속이다.

김구와 김원봉은 사상적인 노선이 달랐지만 두 사람은 공동으로 동포에게 보내는 공개통신문을

발표하는 등 연합을 위해 많은 노력을 했다.두 사람이 소망한 것은 오로지 조국독립뿐이었다.




2018.11.19.

도움이 되었다면 UP 눌러주세요!
UP이 많은 답변일수록 사용자들에게 더 많이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