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AVER

질문 경주정씨 양경공파 족보
wjdw**** 조회수 16,625 작성일2008.12.27

제가 경주정씨 양경공파 69대손인데요,,

 

 

경주정씨 양경공파 족보를 알고싶어요.

 

 

 

좀 알려주세요ㅠㅠ

프로필 사진

답변자님,

정보를 공유해 주세요.

1 개 답변
1번째 답변
프로필 사진
ryul****
수호신
전통 예절, 의식 1위, 사회문화 1위, 폭행 15위 분야에서 활동
본인 입력 포함 정보

 

 

님의 질문에 답변을 드립니다.

 

먼저 님에게 말씀드리고 싶은 것은 님을 칭하실 때에는 대(代)라하지 않고 세(世)라고 칭 해야 옳습니다.

 

"예" 누구에게 가문을 소개 하실 때에 저는 경주정씨 69세손(世孫)입니다.라고 말씀 하시면 됩니다.

 

존칭 생략하옵고

 

1. 경주정씨(慶州鄭氏).에 대(對)하여

경주정씨(慶州鄭氏).
시조는 지백호(智伯虎). 신라초의 진지촌장(珍支村長)이었다. 박혁거세를 왕으로 옹립한 공으로 신라개국 좌명공신(佐命功臣)이 되고 낙랑후(樂浪侯)에 봉해졌다. 경주정씨의 시조가 된 것은 신라 유리왕 때 시조의 5세손 동충이 鄭氏로 사성(賜姓)된데서 비롯된다. 그리하여 경주정씨는 모두가 지백호를 시조로 하여 기세(起世)하고 있다. 그 뒤 후손들은 연일. 동래.온양. 초계. 하동. 진양. 진주 등 120여 성씨로 分貫된다. 경주정씨 本宗은 계림, 월성 등으로 쓰여지다 고려조에 문과에 올라 정당문학과 평장사를 역임하고 월성군에 봉해진 문정공 정진원(鄭珍原)이 경주로 고쳐 부르게 되었으며 그를 中祖로 하고 있다.

 

경주정씨파(慶州鄭氏派)

▲문헌공파(文獻公派),

▲양경공파(良景公派),

▲월성위파(月城尉派),

▲평장공파(平章公派) 등(等)

4파로 분파되어 2천여년 동안 78세의 大宗을 이루고 있다. 시조의 44대손 창열공(彰烈公)은 위(偉)와 교(僑) 두 아들을 두었다. 위의 아들 현영(玄英)은 고려조에 문하시중을 지내고 문헌으로 시호를 받아 문헌공파가 되었다. 조선조의 개국공신인 희계(熙啓)는 시호를 양경으로 받아 양경공파가 되었다. 고려조의 부마 이기는 월성위에 책봉되어 월성위공파라 했으며 고려조에 평장사를 역임한 필(弼)은 평장공파를 이루었다.

 

신라 1천년 왕업에 개국공신인 6부 중에서도 경주 한복판을 차지한 정씨들이었지만 신라 때는 인물이 많이 드러나지 않았다. 당시 전해지는 이름은 신라말엽 청해진을 근거로 하여 동아시아의 해상 무역권을 독점했던 장보고의 동지 정년(鄭年)이 있다. 그는 젊어서 단짝 친구 장보고와 함께 당나라에 건너가 무관으로 입신했다. 당시 황해에서 날뛰던 해적들로부터 모국 신라 사람들이 피해를 입는 것을 보고 장보고가 벼슬을 버리고 돌아가 신라 조정을 설득했다. 그 후 청해진(전남완도)을 근거로 해적들을 소탕하고 서해, 남해항로의 무역권을 독점하게 되자 정년도 뒤따라 귀국, 장보고의 오른팔 노릇을 했다.

 

중시조 정진후(鄭珍厚)는 고려조 문과에 급제한 뒤 요직을 거쳐 월성(경주)군에 봉해진 인물이다. 경주정씨의 중시조가 된 그의 묘소는 경북 월성군 내남면 노곡리에 있으며 매년 음력 10월1일에 제사를 지낸다.

 

문헌공파의 파조인 정현영은 시조 지백호의 46대손이다. 고려 때 문과에 급제한 뒤 호부상서(戶部尙書)를 거쳐 문하시중(조선조의 영의정격)을 역임했으며 후손들은 전남지방에 집성(集姓)하고 있다. 정휘(鄭暉)의 아들인 정희계는 이성계의 쿠데타에 참여, 조선이 들어서자 개국 1등 공신으로 봉해지고 좌참찬과 판한성부사를 지냈다. 조선조에 경주정씨는 15명의 문과급제, 30명의 무과급제자를 냈다.
그중 가장 추앙받는 이름은 임진왜란 전쟁의 벽두에 나라의 관문인 부산진을 지키다 장렬히 전사, 첫 순국으로 기록된 묵의(墨衣)장군 정발(鄭撥)이다.

 

중시조 정진후의 7대손, 정희계의 6대손인 정발은 25살에 무과에 올라 해남현감, 거제현령, 사복사정(司僕寺正)등을 거쳤다. 왜란이 나기 석달전 부산진첨절제사로 부임했다. 1592년 4월13일 대륙을 노략질하던 일본 3島(本州. 九州. 四國) 왜구들이 풍신수길의 통솔 아래 전면침략을 감행, 새벽 안개 속에 부산 앞바다를 뒤덮었다. 5백여척 병선에 나누어 탄 침략 왜구의 1진 15만8천여명을 소서행장 등 6명의 장수가 지휘하였다. 鄭장군은 영도(影島) 순찰 중 왜병 전위와 맞부딪쳐 수백명을 참살했했다. 그러나 수가 달려 본성으로 후퇴, 성문을 닫아 걸고 굳게 지켰다. 검은 군복을 입고 진두에 나서 군인을 지휘하는 장군의 모습에서 왜병들 사이에 흑의장군이란 명칭이 붙었다. 다음날 적의 총공격에 장군을 중심으로 뭉친 군민은 남녀노소 없이 마지막 한 사람까지 적을 무찔렀으나 중과부적, 적의 조총에 장군이 전사하고 성은 함락되고 말았다. 장군은 성을 지키며 인근 고을에 특사를 보내 구원을 요청했다. 그러나 왜병의 세력에 놀란 인근 고을 수령들은 대부분 도주, 왜구는 부산진을 점령한 뒤 거의 큰 저항 없이 서울까지 진격했다. 장군의 용전 사실은 전쟁기간 중 조정에도 알려지지 않았다. 뒤늦게야 조정에서는 그에게 병조판서를 추증하고 충장의 시호를 내리는 한편 동래부사 송상현과 함께 사당을 지어 배향했다. 충열사는 현재도 부산시 동래구 안락동에 남아 향사가 받들어지고 장군의 동상도 부산시 초량동에 세워졌다. 정발의 외아들 정근은 충청도 수군절제사 등을 거쳤다. 왜구를 무찌른 공으로 전라수사로 승진했으며 이괄난 때도 공을 세워 호위대장에 올랐다. 이밖에 정응룡은 임진왜란 때 의병을 일으켜 홍의장군 곽재우와 함께 분투하다 순절했다.

 

정홍덕은 1419년 문과에 급제 병조판사 등을 역임하고 명나라에 사신으로 다녀왔다. 단종이 손위(遜位)하고 죽게 되자 벼슬을 떠났다. 그는 처음에는 신하의 절개를 지켜 순절하려 했으나 8순 노모의 만류로 뜻을 이루지 못하고 어머니와 함께 남원 교룡산 아래로 가서 은거했다. 壇2개를 세우고 매년 단종의 기일과 사육신의 기일에 분향하고 호곡하는 등 끝까지 절개를 지켰다. 2000년 현재 전국에 30만4천명이 살고 있다. 성씨본관별로 27번째 많은 성씨다.

 

 

2. 경주정씨 양경공파(慶州鄭氏 良景公派)에 대(對)하여

 

경주(鄭)씨 정보

시 조

 

지백호(智伯虎)

 

시조 유래

 

[삼국사기]와 [동경지]에 의하면, 지백호는 기원전 117년(한무제 원수6) 경주 화산에
강림하여 부족국가이던 사로의 여섯 고을 중 취산 진지촌을 다스리면서 신라건국에 모체를
이루었고, 서기 32년 그의 현손대에 와서 다른 다섯 촌장들과 함께 사성받을 때
본피부(本彼部)로 개칭되면서 정씨(鄭氏)의 성을 하사받은 것으로 기록되어 있으며,
신라 법흥왕 때 문화(文和)로 시호를 받았고, 656년(태종무열왕 3)에 감문왕에 추봉되었다.
묘소는 경북 월성군 내남면 로곡리에 있으며 음력 10월 10일에 향사한다.

창성 유래

 

 후손들은 연일·동래·온양·초계·하동·진양·진주등 120여 성씨로 분관
되었고, 경주정씨 본종은 계림(鷄林)·월성(月城) 등으로 쓰여지다 고려조
에 문과에 올라 금자광록대부 정당문학(金紫光祿大夫 正堂文學)·병부상서
(兵部尙書)겸 군기사윤(軍器寺尹)·평장사(平章事)를 역임하고 월성군(月城
君)에 봉해진 문정공 정진원(文政公 鄭珍原)이 경주로 고쳐 부르게 되어 그
를 중조(中祖)로 하고 있다.

지 명

 

 경주는 경북 남동부에 위치하는 지명으로 기원전 57년 이곳에 6촌(村)이 연합하여
고대 국가를 형성, 국호를 서라벌(徐羅伐)·사로(斯盧)·사라(斯羅)라 하고 수도를 금성(金城)

이라 하여 국명(國名)을 동일시 하였다.
서기 65년 시림(始林)에서 김씨의 시조 김알지가 탄생하여 국호를 계림(鷄林)으로 고쳤다

가307년에 신라로 하였으며, 935년 신라 마지막 임금인 경순왕이 손위(遜位)하자 처음으로
경주(慶州)라는 명칭이 생겼다. 987년 동경(東京)으로 개칭하고, 1008년 별칭으로 낙랑군이

라하다가 1030년 삼경(三京)의 제도가 실시되자 동경(東京)을 설치하였으며,
충렬왕때 계림부로 개칭하는 등 명칭의 변화가 많았다가 1413년에 와서 경주부로 개칭하

였다.

가문 소개

 

 대표적인 인물을 살펴보면, 첫째 문헌공파에서는 시조의 42세손 진후(珍厚)가
고려때 금자광록대부로 호부 상서와 정당문학 겸 판군기시윤을 지내고 평장사에 이르렀고,
그의 증손으로 좌복야를 지낸 위(偉)의 아들 현영(玄英)은 호부상서와 수문전 태학사를 거쳐
벽상삼중대광으로 문하시중을 역임한 후 문헌(文獻)으로 시호를 받았으므로
문헌공파의 파조(派祖)가 되었다.

정헌대부로 이부상서를 지내고 월성군에 봉해졌던 종철(宗哲)의 둘째 아들 인조(仁祚)는
공양왕때 길주목사와 병부시랑을 역임한 맹장(猛將)으로 이성계와 함께 일본군 장군
아지(阿只)를 격퇴시켜 더욱 무명을 떨쳤다.


이조판서 염(廉)의 아들 지년(知年)은 홍문관과 사헌부. 사간원을 거쳐 성균과 사예를 지냈

으며, 단종을 보살펴 달라는 문종의 수탁 고명신으로서 단종이 손위하자 불사이군의 충절을

지켜 종숙(從叔)인 홍덕(弘德)과 함께 남원 교룡산에 은거하였다.
그의 아들 4형제 중 장남 효항(孝恒)은 성종때 서거정 등과 더불어 [동국여지승람] 및
[통국통감]을 찬수했다.

양경공파(良景公派)의 인맥으로는 공민왕때 일기도주(一岐島主)의 모반사건을 토벌하여
도첨의 정승이 되고 월성군에 봉해졌던 휘(暉)의 아들 희계(熙啓)가 이성계를 도와 조선

창업에훈공을 세워 개국1등공신으로 계림군에 봉해져서 가세를 크게 일으켰으며,
그의 현손 승조(承祖)는 연산군때 검열에 재직 중 무오사화가 일어나자 곽산에 유배되었

다가풀려나와 다시 벼슬길에 나가지 않고 학문연구에만 진력했다.

효(孝)를 버리고 충(忠)을 택했던 발(撥)은 부산진 첨사로 나가면서 늙고 병들었던 어머니

에게허락을 청했다. 이에 어머니 남궁씨(南宮氏)는 아들의 등을 쓰다듬으며 충 속에 효가

들어있다면서 개념말고 나라를 위하라고 타일렀다.
발은 임진년에 왜군과 전투중에 총에 맞아 장렬하게 순절했다

그외 임진왜란 때 이순신의 휘하에서 돌격대장이 되어 당포. 노량 해전에서 적선 300여

척을대파하여 선무원종공신에 책록되었던 호(浩)와 인조때 강화에 항거하다가 해남으로

유배되어화원에 살았던 응신(應莘), 학행이 탁월하여 사림(士林)의 추앙을 받았던 시휘

(時輝)와 동윤(東潤)등이 양경공파를 대표했다.

검교대장군 금실(金實)의 아들로 월성위(月城尉)에 봉해졌던 이기의 후손에서는
선무원종2등공신에 올랐던 구(龜)의 아들 광업(光業)과 홍업(弘業) 형제가 유명했다.
선조때 제용감 봉사를 역임했던 광업(光業)은 임진왜란때 숙부 원과 함께 의병을 일으켜
참전했다가 장렬하게 순절하였고, 그의 아우 홍업(弘業)은 학행으로 이름났었다.


문하시중으로 월성군에 봉해졌던 손경(遜卿)의 둘째 아들 극온(克溫)은
고려때 이부상서를 지내고 북벌남정에 대공을 세워 대장군에 올랐으며,
금자광록대부로 좌복야를 거쳐 판삼사 참지정사에 이르렀고, 그의 아들 필(弼)이
벽상삼한삼중대광으로 중추원사와 한림학사. 평장사 등을 거쳐 문하시중에 이르렀고
사후(死後)에 계림군에 추봉되었다.

한편 조선 태종조때 기(其)는 사헌부 지평과 호조 정랑을 지내고 봉렬대부로 한성부 소윤에
추증되었으며, 슬하에 아들 5형제가 크게 현달하여 평장공파의 중추적인 인맥을 형성하였다.
조선 세종때 학행으로 천거되어 언양 현감과 사헌부 감찰을 지냈던 차온(次溫)은
상주 판관을 거쳐 권농병마절도사를 지냈으나 수양대군이 왕위를 찬탈하자 평양 판관을
마다하고 고향으로 돌아가 후생강학에 진력했으며, 그이 아우 차량(次良)은 부호군을지냈다.

기(其)의 셋째 아들 차공(次恭)은 평산 도호부사를 지내고 이조 참의에 봉직되었으며,
기의 넷째 아들 차검(次儉)은 수의교위로 부사직을 역임했다.

그밖의 인물로는 견(堅)의 아들 대영(大英)이 임진왜란 때 사촌동생 대방(大方)과 더불어
망우당 곽재우 휘하에서 화왕산성을 지키는데 공을 세웠으며, 대방은 대구 팔공산에서
공을 세웠고, 정유재란 때는 대영(大英)과 더불어 화왕산성 방어에 참전하여 무공을 세움

으로써 선조때 음성현감을 지냈던 구(構)와 함께 경주 정씨를 더욱 빛냈다

계 파

 

 경주정씨는 시조의 후대로 내려오면서
문헌공파(文獻公派). 양경공파(良景公派). 월성위파(月城尉派). 평장공파(平章公派) 등
크게 4파로 갈라졌고, 지손(支孫) 계통에서는 30여 본으로 본적되어 우리나라 모든 정씨의
대종(大宗)을 이루었다.

인 구

 

 1985년 경제기획원 인구조사 결과에 의하면 경주정씨(慶州鄭氏)는 남한에 총 70,645가구,

300,731명이 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집 성 촌

 

충남 금산군 추부면 추정리
전북 임실군 삼계면 오지리

전남 승주군 주암면 선산리
경북 청송군 부남면 대전동

전남 고흥군 풍양면 고옥리
경북 금릉군 감문면 남곡동

전남 승주군 별양면 대곡리
경남 통영군 산양면 신전리

전남 신안군 안좌면 방월리


 
3. 경주정씨 역대인물
 
▲신라조

지백호(智伯虎) (시조 · 6촌장)
정년(鄭年) (대각간(大角干))

▲고려조

정극중(鄭克中) (검교첨의평리(檢校僉議評理))
정극온(鄭克溫) (문하시중(門下侍中))
정진후(鄭珍厚) (호부상서(戶部尙書) 평장사(平章事))
정금실(鄭金實) (병부상서(兵部尙書))
정보기(鄭寶奇) (도첨의우정승(都僉議右政丞))
정필(鄭弼) (평장사(平章事)) 정이기(鄭?奇) (월성위(月城尉))
정현영(鄭玄英) (문하시중(門下侍中))
정종철(鄭宗哲) (이부상서(吏部尙書))
정종보(鄭宗輔) (태학사(太學士))
정교(鄭僑) (공부상서(工部尙書))
정공단(鄭公但) (문하시중(門下侍中))
정자초(鄭子楚) (대제학(大提學))
정휘(鄭暉) (시(諡) : 문충(文忠) · 월성부원군(月城府院君) · 문하시중(門下侍中)) 정인조(鄭仁祚) (병부시랑(兵部侍郞))


▲조선조

정희계(鄭熙啓) (개국(開國)1등공신(等功臣))
정지년(鄭知年) (성균관사예(成均館司藝))
정효항(鄭孝恒) (이조판서(吏曹判書))
정효상(鄭孝常) (이조판서(吏曹判書))
정길상(鄭吉祥) (이조판서(吏曹判書))
정효상(鄭孝祥) (예문관대제학(藝文館大提學))
정지의(鄭之義) (병조판서(兵曹判書))
정지례(鄭之禮) (예문관대제학(藝文館大提學))
정지지(鄭之智) (예조판서(禮曹判書))
정지신(鄭之信) (병조판서(兵曹判書))
정지운(鄭之雲) (예조판서(禮曹判書))
정희교(鄭希僑) (호위영(護衛營) 충순위(忠順衛))
정성(鄭晟) (영천군수(永川郡守))
정홍선(鄭洪先) (의금부사(義禁府事))
정수덕(鄭守德) (예조참판(禮曹參判))
정문덕(鄭文德) (활인서별제(活人署別提))
정숭덕(鄭崇德) (병마절제사(兵馬節制使))
정흠(鄭欽) (사헌부장령(司憲府掌令))
정서(鄭恕) (이조참판(吏曹參判))
정세걸(鄭世傑) (재령군수(載寧郡守))
정세호(鄭世豪) (삭녕군수(朔寧郡守))
정세현(鄭世賢) (돈녕부도정(敦寧府都正))
정승조(鄭承祖) (사헌부감찰(司憲府監察))
정견(鄭堅) (호조참판(戶曹參判))
정승종(鄭承宗) (사헌부감찰(司憲府監察))
정승복(鄭承復) (사헌부감찰(司憲府監察))
정차온(鄭次溫) (사헌부감찰(司憲府監察))
정차공(鄭次恭) (평산도호부사(平山都護府使))
정침호(鄭沈護) (해남현감(海南縣監))
정응룡(鄭應龍) (병조참판(兵曹參判))
정사익(鄭思翊) (병조참판(兵曹參判))
정백령(鄭百齡) (승정원좌승지(承政院左承旨))
정사광(鄭思광) (병조참판(兵曹參判))
정사정(鄭思靖) (병조참판(兵曹參判))
정사립(鄭思立) (병조참판(兵曹參判))
정사교(鄭思교) (병조참판(兵曹參判))
정유선(鄭惟善) (경기관찰사(京畿觀察使))
정명선(鄭明善) (간성군수(杆城郡守))
정종호(鄭從護) (홍문관교리(弘文館校理))
정탁(鄭擢) (황산찰방(黃山察訪))
정발(鄭撥) (의정부좌찬성(議政府左贊成) · 충장공(忠壯公))
정오(鄭旿) (청도군수(淸道郡守))
정흔(鄭昕) (호위대장(扈衛大將))
정인남(鄭仁男) (사복사정(司僕寺正))
정신남(鄭信男) (보령현감(保寧縣監))
정봉남(鄭鳳男) (표봉찰방(票峰察訪))
정윤필(鄭潤弼) (풍덕도호부사(豊德都護府使))
정백기(鄭伯基) (회인현감(懷仁縣監))
정원기(鄭遠基) (병마절제사(兵馬節制使))
정호(鄭浩) (선무원종(宣武原從)2등공신(等功臣))
정지수(鄭之授) (사복사정(司僕寺正))
정지채(鄭之採) (해남현감(海南縣監))
정기룡(鄭起龍) (사헌부장령(司憲府掌令))
정두일(鄭斗一) (절충장군(折衝將軍))
정금생(鄭金生) (절충장군(折衝將軍))
정관유(鄭觀由) (호조참판(戶曹參判))
정양한(鄭良翰) (홍문관직제학(弘文館直提學) ·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 정동악(鄭東岳) (금천도찰방(金泉都察訪))
정태악(鄭泰岳) (대사헌(大司憲))
정이설(鄭爾說) (통덕랑(通德郞))
정이원(鄭爾瑗) (통덕랑(通德郞))
정인중(鄭麟重) (사헌부집의(司憲府執義))
정시휘(鄭時輝) (용양위부호군(龍?衛副護軍))
정동윤(鄭東潤) (황산도찰방(黃山都察訪))
정공청(鄭公淸) (선무원종(宣武原從)1등공신(等功臣))
정인규(鄭寅奎) (전라수사(全羅水使))
정진해(鄭鎭海) (병마절제사(兵馬節制使))
정방적(鄭邦績) (거창부사(居昌府使))
정방기(鄭邦紀) (사헌부감찰(司憲府監察))
정갑선(鄭甲先) (예조참의(禮曹參議))
정렴팔(鄭廉八) (오위도총부도총관(五衛都摠府都摠管))
정방경(鄭邦經) (의금부경력(義禁府經歷))
정방광(鄭邦?) (부사과(副司果))


[등과(登科) · 음사인명(蔭仕人名)]

▲ 조선조

문과(文科)
정효상(鄭孝祥) (계림군(鷄林君) · 시(諡) : 문간(文簡))
정인량(鄭仁良) (정언(定言)) 정지화(鄭之和) (이판(吏判))
정홍덕(鄭弘德) (병판(兵判)) 정지년(鄭知年) (계림군(鷄林君))
정효항(鄭孝恒) (이판(吏判))
정효상(鄭孝常) (이판(吏判) · 시(諡) : 제안(齊安))
정추(鄭錘) (이판(吏判)) 정효종(鄭孝終) (이의(吏議))
정지례(鄭之禮) (제학(提學)) 정지지(鄭之智) (교리(校理))
정서(鄭恕) (헌납(獻納)) 정무(鄭懋) (장령(掌令))
정신(鄭晨) (교리(校理)) 정기(鄭琦) (호판(戶判))
정환(鄭?) (참의(參議)) 정효본(鄭孝本) (감사(監司))
정세현(鄭世賢) (도정(都正)) 정종원(鄭從源) (한림(翰林))
정승조(鄭承祖) (한림(翰林)) 정숙형(鄭叔亨) (전적(典籍))
정유선(鄭惟善) (경백(京伯)) 정종호(鄭從濩) (교리(校理))
정득(鄭得) (헌납(獻納)) 정관유(鄭觀由) (동지(同知))
정이옥(鄭履玉) (총관(摠管)) 정윤(鄭胤) (교권(校權))
정신남(鄭信男) (현감(縣監)) 정상(鄭床) (사간(司諫))
정래경(鄭來慶) (전적(典籍)) 정언교(鄭彦僑) (현감(縣監))
정상헌(鄭尙獻) (형좌(刑佐)) 정상박(鄭尙樸) (승지(承旨))
정양한(鄭良翰) (제학(提學)) 정길(鄭佶) (현감(縣監))
정단(鄭?) (교리(校理)) 정동윤(鄭東潤) (찰방(察訪))
정진명(鄭進明) (병의(兵議)) 정언장(鄭?章) (첨지(僉知))

무과(武科)
정계상(鄭契祥) (병사(兵使)) 정광윤(鄭光潤) (방어사(防禦使))
정문(鄭汶) (병판(兵判)) 정천한(鄭天漢) (병판(兵判))
정방강(鄭邦綱) (병사(兵使)) 정인손(鄭仁孫) (부사(府使))
정지손(鄭智孫) (부사(府使)) 정성손(鄭誠孫) (부사(府使))
정경손(鄭敬孫) (별제(別提)) 정영복(鄭永復) (판관(判官))
정발(鄭撥) (절제사(節制使)) 정사익(鄭思翊) (사직(司直))
정사준(鄭思竣) (선전(宣傳)) 정사정(鄭思靖) (봉사(奉事))
정사립(鄭思立) (현감(縣監)) 정빈(鄭빈) (현감(縣監))
정선(鄭?) (부정(副正)) 정유정(鄭惟精) (봉사(奉事))
정관생(鄭觀生) (선전(宣傳)) 정지채(鄭之彩) (부사(府使))
정윤성(鄭允誠) (판관(判官)) 정세설(鄭世說) (선전(宣傳))
정송령(鄭松齡) (절제사(節制使)) 정문재(鄭文載) (판관(判官))
정지우(鄭之羽) (판관(判官)) 정이길(鄭以吉) (병사(兵使))
정복모(鄭福?) (군수(郡守))


[음사인명(蔭仕人名)]

지백호(智伯虎) (좌명공신(佐命功臣) · 낙랑후(樂浪侯))
정년(鄭年) (대장(大將) · 시림군(始林君))
정문(鄭文) (상서(尙書)) 정목(鄭穆) (좌복야(左僕射))
정풍국(鄭豊國) (상서(尙書)) 정사량(鄭駟良) (좌복야(左僕射))
정우성(鄭友聖) (좌복야(左僕射)) 정사맹(鄭師孟) (사도(司徒))
정유천(鄭遊天) (도지휘사(都指揮使) · 시(諡) : 정간(貞簡))
정보천(鄭普天) (상서(尙書) · 분관온양(分貫溫陽))
정현성(鄭玄成) (대장군(大將軍) · 계림군(鷄林君) · 시(諡) : 경렬(景烈)) 정심(鄭審) (문하성사(門下省事))
정달강(鄭達康) (평장사(平章事)) 정경문(鄭景文) (검교(檢校))
정성지(鄭性之) (밀직부사(密直副使))
정균지(鄭均之) (평장사(平章事) · 분관연일(分貫延日))
정손경(鄭遜卿) (대장군(大將軍))
정손위(鄭遜位) (학사(學士) · 분관하동(分貫河東))
정극중(鄭克中) (검교정승(檢校政丞))
정극온(鄭克溫) (참지정사(參知政事))
정진후(鄭珍厚) (평장사(平章事) · 시(諡) : 문정(文正))
정금실(鄭金實) (검교대장군(檢校大將軍))
정보기(鄭寶奇) (우정승(右政丞) · 시(諡) : 창렬(彰烈))
정이기(鄭?奇) (부마(駙馬) · 월성군(月城君))
정위(鄭偉) (좌복야(左僕射)) 정교(鄭僑) (사재(司宰))
정현영(鄭玄英) (영의정(領議政) · 시(諡) : 문헌(文獻))
정종철(鄭宗哲) (이판(吏判) · 월성군(月城君))
정종보(鄭宗輔) (대제학(大提學))
정인룡(鄭仁龍) (중랑장(中郞將))
정인조(鄭仁祚) (대장군(大將軍) · 시(諡) : 충렬(忠烈))
정공단(鄭公但) (문하시중(門下侍中))
정자초(鄭子楚) (이판(吏判))
정휘(鄭暉) (증영의정(贈領議政) · 월성부원군(月城府院君))정진(鄭震) (병참(兵參)) 정계안(鄭繼安) (이판(吏判))
정주남(鄭周南) (참봉(參奉)) 정세호(鄭世豪) (참봉(參奉))
정곤(鄭坤) (참봉(參奉)) 정제성(鄭齊聖) (통정(通政))
정흥방(鄭興邦) (주부(主簿)) 정소남(鄭召南) (부정(副正))
정순걸(鄭舜傑) (참봉(參奉)) 정금헌(鄭金獻) (참봉(參奉))
정의손(鄭義孫) (군수(郡守)) 정상화(鄭相華) (통덕랑(通德郞))
정석(鄭晳) (증판결(贈判決)) 정언방(鄭彦邦) (참봉(參奉))
정세익(鄭世益) (증공의(贈工議))
정기홍(鄭基弘) (대장군(大將軍)) 정언직(鄭彦直) (첨사(僉使))
정윤근(鄭允謹) 정상(鄭祥) (목사(牧使)) 정석(鄭碩) (감찰(監察))
정필계(鄭弼啓) (증승지(贈承旨))
정지화(鄭芝華) (증참판(贈參判))
정덕룡(鄭德龍) (통덕랑(通德郞)) 정주홍(鄭柱洪) (참봉(參奉))
정성손(鄭誠孫) (견무(見武)) 정상검(鄭尙儉) (부사(府使))
정원길(鄭元吉) (원종훈(原從勳))
정이송(鄭以松) (현감(縣監)) 정제(鄭濟) (감정(監正))
정섭(鄭涉) (사재감(司宰監)) 정제(鄭霽) (현감(縣監))
정준(鄭濬) (증호참(贈戶參)) 정석창(鄭錫昌) (증공참(贈工參))
정주섭(鄭周燮) (증호참(贈戶參)) 정영습(鄭永習) (감찰(監察))
정원신(鄭元信) (증승지(贈承旨))
정호설(鄭浩說) (증호참(贈戶參)) 정태관(鄭泰觀) (참판(參判))
정달룡(鄭達龍) (감찰(監察)) 정중문(鄭重文) (장사랑(壯仕郞))
정학재(鄭學才) (목사(牧使)) 정창조(鄭昌祚) (진사(進士))
정준봉(鄭俊奉) (증감정(贈監正)) 정영수(鄭永洙) (도정(都正))
정윤조(鄭閏朝) (감역(監役)) 정시재(鄭時載) (증공의(贈工議))
정덕린(鄭德隣) (현령(縣令)) 정원기(鄭元基) (증공의(贈工議))
정영택(鄭永澤) (감찰(監察)) 정영창(鄭永昌)
정병은(鄭炳殷) (참봉(參奉)) 정숭조(鄭崇朝)
정병재(鄭炳在) (도사(都事)) 정인온(鄭仁溫) (상서(尙書))
정인공(鄭仁恭) (군수(郡守)) 정인검(鄭仁儉) (사간(司諫))
정상덕(鄭尙德) (시랑(侍郞)) 정유례(鄭由禮)
정백형(鄭伯亨) (정랑(正郞)) 정유의(鄭由義) (군수(郡守))
정학중(鄭鶴重) (장사랑(將仕郞)) 정윤복(鄭允福) (직장(直長))
정광시(鄭光時) (통덕랑(通德郞)) 정렴(鄭廉) (교도(敎導))
정찬(鄭纘) (현감(縣監)) 정충정(鄭忠貞) (호군(護軍))
정사택(鄭思澤) (호군(護軍)) 정충신(鄭忠藎) (현감(縣監))
정희주(鄭熙周) (주부(主簿)) 정광후(鄭光後) (현감(縣監))
정석(鄭錫) (부호군(副護軍)) 정세준(鄭世準) (군수(郡守))
정창선(鄭昌先) (교위(校尉)) 정광문(鄭光門) (현감(縣監))
정락이(鄭樂易) (현감(縣監)) 정갑선(鄭甲先) (사과(司果))
정정(鄭鼎) (교위(校尉)) 정사익(鄭思翊) (부사직(副司直))
정순(鄭恂) (직장(直長)) 정면(鄭?) (승의랑(承議郞))
정담(鄭憺) (총관(摠管)) 정이주(鄭台?) (부호군(副護軍))
정귀현(鄭龜鉉) (감찰(監察)) 정영신(鄭永愼) (감역(監役))
정환문(鄭煥文) (증참판(贈參判)) 정환춘(鄭煥春) (감역(監役))
정시하(鄭時夏) (증승지(贈承旨)) 정시행(鄭時幸) (도정(都正))
정만조(鄭滿朝) (감역(監役)) 정시채(鄭時采) (증승지(贈承旨))
정규현(鄭奎鉉) (증공의(贈工議))
정영태(鄭永泰) (증승지(贈承旨))정경조(鄭景朝) (증호참(贈戶參)) 정종균(鄭宗均) (감찰(監察))
정평수(鄭平洙) (오위장(五衛將)) 정창균(鄭昌均) (감찰(監察))
정백령(鄭栢齡) (통덕랑(通德郞))
정석후(鄭錫?) (증복정(贈僕正))
정석화(鄭錫華) (증승지(贈承旨))
정관수(鄭觀洙) (증호참(贈戶參))
정붕징(鄭鵬徵) (통덕랑(通德郞))
정익후(鄭翼?) (증복정(贈僕正))
정진협(鄭鎭峽) (증승지(贈承旨))
정재수(鄭在洙) (증호참(贈戶參))
정동하(鄭東河) (증승지(贈承旨))
정기환(鄭基煥) (오위장(五衛將))
정지박(鄭之博) (선교랑(宣敎郞))
정대형(鄭大亨) (증승지(贈承旨))
정화철(鄭華哲) (증공의(贈工議)) 정익린(鄭翼麟) (동추(同樞))
정익승(鄭翼昇) (조산대부(朝散大夫))
정영호(鄭永浩) (도정(都正)) 정맹익(鄭孟益) (증승지(贈承旨))
정영택(鄭永澤) (증참판(贈參判))
정세설(鄭世卨) (통덕랑(通德郞))
정관휴(鄭觀休) (통덕랑(通德郞))
정관빈(鄭觀賓) (현감(縣監) · 월성군(月城君))
정관형(鄭觀亨) (통덕랑(通德郞))
정이화(鄭履和) (증참의(贈參議))
정석우(鄭錫祐) (증호참(贈戶參)) 정극(鄭극) (부사(府使))
정봉(鄭鳳) (통덕랑(通德郞)) 정세명(鄭世命) (통정(通政))
정득명(鄭得命) (통정(通政)) 정치동(鄭致東) (부호군(副護軍))
정석망(鄭碩望) (증군자정(贈軍資正))
정인주(鄭仁周) (증호의(贈戶議))
정달신(鄭達臣) (증호참(贈戶參)) 정종휘(鄭宗輝) 정지강(鄭之綱)
정계현(鄭繼賢) (증가선(贈嘉善))
정진현(鄭進賢) (증참찬관(贈參贊官))
정언수(鄭彦壽) (증가선(贈嘉善))
정취경(鄭就慶) (증통정(贈通政))
정후경(鄭?慶) (증숭정(贈崇政))
정태경(鄭泰慶) (통덕랑(通德郞))
정양칠(鄭良七) (증가선(贈嘉善)) 정양한(鄭良翰) (견문(見文))
정양행(鄭良行) (장사랑(將仕郞))
정양우(鄭良佑) (증복정(贈僕正))
정문기(鄭文岐) (증공의(贈工議))
정문조(鄭文祚) (증승지(贈承旨))
정치상(鄭致尙) (증가선(贈嘉善))
정화상(鄭華尙) (증부윤(贈府尹))
정휘상(鄭徽尙) (증호참(贈戶參))
정동규(鄭東圭) (증승지(贈承旨))
정재호(鄭在浩) (증악정(贈樂正)) 정한규(鄭漢圭) (가선(嘉善))
정인규(鄭仁圭) (수동지(壽同知)) 정재기(鄭在基) (가선(嘉善))
정재환(鄭在煥) (참봉(參奉)) 정태용(鄭泰鏞) (증참판(贈參判))
정상용(鄭祥鏞) (증승지(贈承旨)) 정민석(鄭珉錫) (참봉(參奉))
정한곤(鄭漢坤) (가선(嘉善)) 정한겸(鄭漢謙) (가선(嘉善))
정한경(鄭漢經) (참봉(參奉)) 정인주(鄭寅柱) (참봉(參奉))
정충(鄭忠) (생원(生員)) 정덕립(鄭德立) (감찰(監察))
정흥교(鄭興僑) (부호군(副護軍)) 정언교(鄭彦僑) (견문(見文))
정승현(鄭昇鉉) (익역(益役)) 정한철(鄭漢喆) (가선(嘉善))
정병주(鄭昞柱) (의관(議官)) 정양주(鄭良周) (증군자(贈軍資))
정달상(鄭達尙) (오위장(五衛將)) 정해규(鄭海圭) (가선(嘉善))
정만석(鄭萬錫) (통정(通政)) 정동진(鄭東震) (통정(通政))
정금도(鄭今道) (부호군(副護軍)) 정자창(鄭子昌) (참의(參議))
정석원(鄭碩元) (동추(同樞)) 정두열(鄭斗烈) (오위장(五衛將))
정석민(鄭錫敏) (의관(議官)) 정의근(鄭義根) (동추(同樞))
정우의(鄭禹儀) (도사(都事)) 정영관(鄭永寬) (교관(敎官))
정국린(鄭國麟) (도정(都正)) 정교(鄭僑) (견상(見上))
정공단(鄭公但) (시랑(侍郞))
정자초(鄭子楚) (증판서(贈判書) · 월성군(月城君))
정휘(鄭暉) (월성군(月城君) · 시(諡) : 문충(文忠))
정희계(鄭熙啓) (찬성(贊成) · 계림부원군(鷄林府院君) · 시(諡) : 양경(良景)) 정길상(鄭吉祥) (이참(吏參))
정지의(鄭之義) (병참(兵參)) 정성(鄭晟) (군수(郡守))
정신(鄭晨) (견문(見文)) 정수래(鄭壽萊) (직장(直長))
정백령(鄭栢齡) (증승지(贈承旨)) 정승훈(鄭承勳) (지추(知樞))
정수덕(鄭守德) (현감(縣監)) 정세걸(鄭世傑) (군수(郡守))
정세호(鄭世豪) (군수(郡守)) 정명선(鄭明善) (군수(郡守))
정탁(鄭擢) (세마(洗馬))
정발(鄭撥) (견무(見武) · 시(諡) : 충장(忠莊))
정흔(鄭昕) (절제사(節制使)) 정문덕(鄭文德) (별제(別提))
정승아(鄭承雅) (군수(郡守)) 정감주(鄭鑑周) (가선(嘉善))
정승종(鄭承宗) (감찰(監察)) 정경선(鄭敬先) (군수(郡守))
정인남(鄭仁男) (봉사(奉事)) 정예남(鄭禮男) (첨추(僉樞))
정지남(鄭智男) (참봉(參奉)) 정숭덕(鄭崇德) (군수(郡守))
정자의(鄭?義) (통덕랑(通德郞)) 정수장(鄭秀章) (좌랑(佐郞))
정창(鄭昌) (진사(進士)) 정희종(鄭希宗) (통훈(通訓))
정림(鄭淋) (부호군(副護軍)) 정응호(鄭應皓) (선무랑(宣務郞))
정인남(鄭仁男) (가선(嘉善)) 정일홍(鄭日弘) (통정(通政))
정문필(鄭文弼) (통정(通政)) 정계직(鄭啓職) (증복정(贈僕正))
정복신(鄭福臣) (증통정(贈通政))
정시형(鄭時亨) (증가선(贈嘉善)) 정국현(鄭國賢) (가선(嘉善))
정채택(鄭彩澤) (감찰(監察)) 정지지(鄭之智) (교리(校理))
정흠(鄭欽) (군수(郡守)) 정전(鄭銓) (사과(司果))
정석(鄭錫) (부총관(副摠管)) 정방경(鄭邦經) (경력(經歷))
정방강(鄭邦綱) (절제사(節制使)) 정방적(鄭邦績) (부사(府使))
정복령(鄭福齡) (부사(府使)) 정귀령(鄭龜齡) (도사(都事))
정추(鄭樞) (생원(生員)) 정방기(鄭防紀) (감찰(監察))
정준선(鄭準先) (교관(敎官)) 정보욱(鄭輔郁) (증참판(贈參判))
정영도(鄭永道) (도정(都正)) 정영석(鄭永錫) (가선(嘉善))
정억석(鄭億碩) (가선(嘉善))정필량(鄭弼良) (통정(通政)) 정대흥(鄭大興) (도정(都正))
정효규(鄭孝奎) (참봉(參奉)) 정재산(鄭才産) (의관(議官))
정형산(鄭亨産) (의관(議官)) 정세주(鄭世周) (평자정(平資正))
정환형(鄭煥衡) (증절충(贈折衝)) 정달해(鄭達海) (가선(嘉善))
정징(鄭澄) (사과(司果)) 정항령(鄭亢齡) (봉사(奉事))
정헌(鄭?) (증사정(贈寺正)) 정세원(鄭世源) (참의(參議))
정기(鄭琦) (견문(見文))
정상인(鄭尙仁) (현감(縣監)) 정명회(鄭明會) (도사(都事))
정세희(鄭世熙) (진사(進士)) 정보(鄭寶) (현감(縣監))
정지영(鄭之榮) (병참(兵參)) 정효로(鄭孝老) (부사(府使))
정석동(鄭碩東) (현감(縣監)) 정언수(鄭彦守) (판관(判官))
정환수(鄭?洙) (참봉(參奉)) 정경원(鄭敬遠) (판서(判書))
정돈(鄭墩) (승지(承旨)) 정인동(鄭仁東) (통덕랑(通德郞))
정진방(鄭震邦) (통덕랑(通德郞)) 정이준(鄭以俊) (현감(縣監))
정중렬(鄭衆烈) (부사(府使))


[조선조 급제자 정록]


지년(知年) (세종(世宗) 20년 · 식년시(式年試) · 병과(丙科)) 효항(孝恒) (문종(文宗) 1년 · 증광시(增廣試) · 정과(丁科)) 효상(孝常) (단종(端宗) 2년 · 증광시(增廣試) · 을과(乙科)) 효종(孝終) (세조(世祖) 4년 · 알성시(謁聖試) · 을과(乙科)) 효본(孝本) (세조(世祖) 6년 · 별시(別試) · 병과(丙科)) 서(恕) (세조(世祖) 8년 · 식년시(式年試) · 병과(丙科)) 승조(承祖) (성종(成宗) 25년 · 별시(別試) · 을과(乙科)) 세현(世賢) (중종(中宗) 20년 · 식년시(式年試) · 병과(丙科)) 종호(從濩) (중종(中宗) 23년 · 식년시(式年試) · 병과(丙科)) 득(得) (명종(明宗) 1년 · 식년시(式年試) · 병과(丙科)) 신남(信男) (광해(光海) 4년 · 식년시(式年試) · 병과(丙科)) 유경(惟慶) (인조(仁祖) 26년 · 식년시(式年試) · 병과(丙科)) 내경(來慶) (현종(顯宗) 10년 · 식년시(式年試) · 을과(乙科)) 상헌(尙獻) (현종(顯宗) 10년 · 식년시(式年試) · 병과(丙科)) 상박(尙樸) (숙종(肅宗) 4년 · 증광시(增廣試) · 병과(丙科)) 승빈(升賓) (영조(英祖) 11년 · 식년시(式年試) · 병과(丙科)) 동윤(東潤) (영조(英祖) 11년 · 식년시(式年試) · 병과(丙科)) 언장(?章) (영조(英祖) 23년 · 식년시(式年試) · 을과(乙科)) 이옥(履玉) (영조(英祖) 35년 · 식년시(式年試) · 병과(丙科)) 양한(良翰) (정조(正祖) 1년 · 식년시(式年試) · 병과(丙科)) 진명(進明) (정조(正祖) 19년 · 정시(庭試) · 병과(丙科))



[벌열(閥閱)]


●공신(功臣)
: 정희계(鄭熙啓) (태조조 · 개국(開國)1등공신(等功臣)) 정효상(鄭孝常) (예종조 · 정난익대(定難翊戴)3등공신(等功臣)) · 성종조 · 성종즉위(成宗卽位)3등공신(等功臣))
●문형(文衡)
: 정휘(鄭輝) (숙종조)
●호당(湖堂)
: 정효상(鄭孝常)
●청백리(淸白吏)
: 정효상(鄭孝常) (성종조) 정지운(鄭之雲) (선조조) 정지승(鄭之升) (선조조) 정휘(鄭輝) (숙종조)
●절의(節義)
: 정인중(鄭麟重) (경종신임사화(景宗辛壬士禍))
●명륜(明倫)
: (효행(孝行)) 정인준(鄭仁俊) (증사헌부감찰(贈司憲府監察) · 정려(旌閭)) 정화연(鄭和淵) (정려(旌閭)) 정형수(鄭亨洙) (정려(旌閭)) 정덕봉(鄭德鳳) (고종조 증교관(贈敎官) · 뒤에 정려(旌閭)) 정술선(鄭述先) (고종조 정려(旌閭)) 정씨(鄭氏) (김위(金?)의 처(妻) · 정려(旌閭))
(열녀(烈女)) 정씨(鄭氏) (최석구(崔錫球)의 처(妻) · 정려(旌閭))
(충절(忠節)) 정인조(鄭仁祚) (증찬성(贈贊成))
 
 
4. 경주정씨 항렬표
 
항렬표(行列表)

(문헌공파(文獻公派))
세(世)
66
67
68
69
70
71
72
73
자(字)
영永○
○조朝
병炳○
○균均
종鍾○
○수洙
락樂○
○섭燮

세(世)
74
75
76
77
78
79
자(字)
형炯○
○옥鈺
순淳○
○권權
경炅○
○기基

(양경공파(良景公派))
세(世)
67
68
69
70
71
72
73
74
자(字)
동東○
○훈薰
지址○
○호鎬
택澤○
○직稙
원愿○
○채埰

세(世)
75
76
77
78
79
80
81
82
자(字)
일鎰○
○구求
락樂○
○욱煜
준埈○
○선善
기淇○
○수秀

(평장공파(平章公派))
세(世)
59
60
61
62
63
64
65
66
자(字)
기基○
원遠○
○석錫
○진鎭
윤潤○
원源○
○권權
○표杓
희熙○
형炯○
○규奎
○곤坤
현鉉○
종鍾○
○순淳
○영永

세(世)
67
68
69
70
71
72
73
74
75
자(字)
상相○
조朝○
○렬烈
○병炳
재載○
균均○
○흠欽
○용鎔
수洙○
홍洪○
○식植
○주柱
연然○
훈薰○
○봉琫
○배培
호鎬○
용鏞○

(월성위파(月城尉派))
세(世)
63
64
65
66
67
68
69
70
자(字)
○환煥
지志○
○탁鐸
호浩○
○식植
헌憲○
○수壽
용鎔○

세(世)
71
72
73
74
75
76
자(字)
○준準
병秉○
○훈薰
규奎○
○석錫
문汶○
 
끝으로 님의 건강과 행복이 충만 하시기를 두 손 모아 빌겠습니다.

 

2008.12.27.

  • 채택

    질문자⋅지식인이 채택한 답변입니다.

  • 출처

    인터넷 인용 직접작성

도움이 되었다면 UP 눌러주세요!
UP이 많은 답변일수록 사용자들에게 더 많이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