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AVER

질문 우리 문화재좀 간단하게설면좀 부탁해여 어진이강
rhdw**** 조회수 4,969 작성일2007.09.20

안녕하세여

저기 우리문화재좀 요약해서 보고서로 작성할수있게 좀 요악해서써주시면감사하겟습니당

프로필 사진

답변자님,

정보를 공유해 주세요.

12 개 답변
2번째 답변
프로필 사진
hani****
초수
본인 입력 포함 정보
<!--StartFragment--> 

1.고구려


고구려의 내력

고구려는 삼국사기에 의하면 기원전 37년에 세워졌다.

중국과 북방의 이민족과의 끊임없는 항쟁과 교류를 통하여 점차 국력을 성장시켜

나아갔으며 서기 313년에는 낙랑을 몰아낸 뒤 보다 남쪽으로 영역을 확대하여

요하에서 한강에 이르는 넓은 영토를 확보하였다. 그리고 5~6세기에 전성기를

맞이하여 화려한 문화를 꽃피었으나 668년에 나 당 연합군에 의하여 멸망하였다.


문화재

1.국내성:고구려 초기 도읍지 현재 중국 지린 성(길림성) 지안 현 퉁거우입니다.

유물 유적 : 장군총,무용총,광개토대왕릉비가 있습니다.


장군총 : 3세기 초부터 427년까지 고구려가 도읍한 지안현 퉁거우평야[通溝平野]에는 광개토왕릉비(廣開土王陵碑)와 고구려 최대형 무덤인 태왕릉(太王陵)·사신총(四神塚) 등 석릉과 토분(土墳) 1만 기(基)가 있으나 외형이 거의 완존(完存)한 석릉은 이것뿐이다.



무용총

중국 둥베이[東北] 지린성[吉林省] 지안현[集安縣] 퉁거우[通溝]에 있는 고구려의 고분벽화(古墳壁畵


광개토대왕릉비

비신(碑身) 높이 5.34m. 각 면 너비 1.5m. 호태왕비(好太王碑)라고도 한다. 414년 광개토대왕의 아들 장수왕이 세운 것으로, 한국에서 가장 큰 비석이다


2.평양성:국내성이후 고구려 도읍지

유물 유적 : 을밀대,대동문,최승대가 있습니다.


을밀대: 북한 사적 제7호. 사허정(四虛亭)이라고도 한다. 6세기 중엽 고구려시대에 평양성의 내성장대로 처음 건립되었다.


대동문 : 북한 국보급 문화재 제1호이다. 높이 19m, 축대높이 6.5m, 길이 26.3m, 폭 14.25m이다. 문루는 앞면 3칸, 옆면 3칸이며, 석축 위에 2층으로 된 누각을 갖춘 성문이다. 6세기 중엽 고구려의 수도였던 평양성 내성의 동문으로 최초 건립되었다. 고려 초 947년과 조선 초 1392년에 복원되었으며 1635년(조선 인조13년)에 재건되었다


고구려 인물

광개토대왕

연개소문 

담징

을지문덕


2.백제


백제의 내력

고구려 주몽의 아들 온조가 고구려의 유민을 이끌고 남하하여 하남 위례성에

도읍을 정하고 백제를 세웠다고 한다. 한강 유역의 백제는 4세기 말 근초고왕 때 전성기를 맞아 영토를 확장하고 한반도에서 세력을 확대하였으나 웅진으로 천도한 후 세력이

약화 되더니 무령왕 이후 다시 국력이 회복되었고 사비로의 재천도가 이루어졌다.


백제 문화재

1.위례성 :

위례성은 백제의 첫 도읍지였으나

문화재가 많지 않다.




몽촌토성



 

 몽촌토성에서 발굴된 항아리


몽촌토성은 오래 전부터 백제 초기 토성으로 전하여 왔다.

자연지형을 이용하여 진흙으로 쌓은 성벽을 만들어 1M 정도 파서

살림집이 아닌 군사의 필요한 것으로 썼던 것으로 생각된다.

*지금은 올림픽 공원 속에 있다.




풍납토성

서울 송파구 풍납동에 있는 백제 초기의 토성터.

소재지 : 서울 송파구 풍납동

시대 : 백제 초기

지정 : 사적 제11호

규모 : 동벽 1,500m, 남벽 200m, 북벽 300m

1925년 대홍수 때 삼국시대의 청동제 초두가 2개 발견되었고, 토기 조각들도 많이 발견되었다.



돌무지 무덤


돌무지시설을 한 점에서 남방식 고인돌과 공통되므로, 원래 고인돌인

무덤이 후대에 상석이 없어져

돌무지 무덤으로 된 가능성도 있다.





2.웅진 :

웅진의 문화재 :


계유명삼존천불비상 

국보 제108호

문화재지정일 : 1962년 12월 20일

소재지 : 웅진동 360 국립공주박물관

기타 : 통일신라시대


금제관식(왕) 

국보 제154호

문화재지정일 : 1974년 7월 9일

소재지 : 웅진동 360 국립공주박물관

기타 : 백제시대


금제관식(왕비) 

국보 제155호

문화재지정일 : 1974년 7월 9일

소재지 : 웅진동 360 국립공주박물관

기타 : 백제시대


금제심엽형이식(왕) 

국보 제156호

문화재지정일 : 1974년 7월 9일

소재지 : 웅진동 360 국립공주박물관

기타 : 백제시대


금제수식부이식(왕비) 

국보 제157호

문화재지정일 : 1974년 7월 9일

소재지 : 웅진동 360 국립공주박물관

기타 : 백제시대


금제경식(왕비) 

국보 제158호

문화재지정일 : 1974년 7월 9일

소재지 : 웅진동 360 국립공주박물관

기타 : 백제시대



3.사비 : 부여정림사지오층석탑(扶餘定林寺址五層石塔) - 국보 9호

흔히 백제오층석탑이라고도 한다. 화강석으로 되었으며, 높이는 8.33m이다. 익산의 미륵사지 석탑(국보 제11호)과 함께 2기만 남아 있는 백제시대의 석탑이다.

지정일 - 1962.12.20

소재지 - 충남 부여군 부여읍 동남리 379

시대 - 백제시대 후기



미륵사지석탑(彌勒寺址石塔) - 국보 11호

분류 - 석탑

지정일 - 1962.12.20

소재지 - 전북 익산시 금마면 기양리 97

시대 - 백제시대 후기



서산마애삼존불상(瑞山磨崖三尊佛像) - 국보 84호

분류 - 마애불(부동산)

지정일 - 1962.12.20

소재지 - 충남 서산시 운산면 용현리 2-1

시대 - 백제시대 후기



부여능산리출토백제금동대향로 -- 국보 287호 충남 부여군


백제창왕명석조사리감(百濟昌王銘石造舍利龕) -- 국보 288호 충남 부여군


부여석조(扶餘石槽) -- 보물 194호 충남 부여군


부여성흥산성(扶餘聖興山城) -- 사적 4호 충남 부여군


부여능산리고분군(扶餘陵山里古墳群) -- 사적 14호 충남 부여군



백제의 인물

온조왕

근초고왕

왕인

계백


3.신라

신라의 내력

신라는 경주지방의 사로국에서 발전하였다. 기록에 의하면 신라는 박혁거세에 의해

건국되었다. 신라는 4세기 후반에 이르러 나라의 기틀이 완전히 잡혔다.

그리고 6세기 초부터 많은 발전이 거듭되었다. 신라는 진흥왕 때에 비약적인 발전을 하여

영토가 넓어졌다. 그리고 이러한 추세는 통일의 분위기로 이어졌다.

신라는 삼국통일을 이루어냈고 통일 신라 시대를 맞아 불교 문화를 꽃피웠다.

그러다가 935년 말기의 어지러운 사회를 맞아 고려에 합병되었다.

신라의 문화재

성덕대왕 신종

 국보 29호 : 시대 : 771년 : 국립경주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한국 최대의 종으로, 에밀레종 또는 봉덕사(奉德寺)에 달았기 때문에 봉덕사종이라고도 한다.


경주임해전지(사적 제18호)

안압지 서쪽에 위치한 신라 왕궁의 별궁터.

임해전은 별궁에 속해 있던 건물이지만 그 비중이 매우 컸던 것으로 보이며..

안압지는 신라 원지(국유 연못)를 대표하는 유적.



경주 첨성대(국보 제31호)

천체의 움직임을 관찰하던 신라시대의 천문관측대로, 높이는 9.17m.

동양에서 가장 오래된 천문대로 그 가치가 높으며..

당시의 높은 과학 수준을 보여주는 귀중한 문화재라 할 수 있다.



경주포석정지(사적 제1호)

경주 남산 서쪽 계곡에 있는 신라시대 연회장소로, 젊은 화랑들이 풍류를 즐기며 기상을 배우던 곳.



신라태종무열왕릉비(국보25호)

신라 제29대 왕인 태종무열왕의 능 앞에 세워진 석비



김유신묘(사적21호)

경주 송화산 동쪽 구릉 위에 자리잡고 있는 신라 장군 김유신의 무덤.



문무대왕릉(사적158호)

신라 30대 문무왕(재위 661∼681)의 무덤.

동해안에서 200m 떨어진 바다에 있는 수중릉으로, 신라인들의 창의적인 생각을 엿볼 수 있는 곳.



불국사 다보탑

1962년 12월 20일 국보 제20호로 지정되었다. 높이 10.4m, 기단 폭 4.4m이다. 불국사 대웅전 앞 서쪽의 석가탑 맞은편에 자리잡고 있는 탑으로, 전형적인 쌍탑가람의 배치이다



불국사 3층석탑



국보 21호:불국사 대웅전 앞뜰에 동서로 세워진 두 탑 중 서쪽에 있는 탑이다. 탑의 원래 이름은 '석가여래상주설법탑(釋迦如來常住設法塔)'이며 흔히 줄여서 '석가탑'이라고도 한다.


석굴암

1962년 12월 20일 국보 제24호로 지정되었다. 정식 문화재 명칭은 석굴암석굴이며, 석불사라고도 한다. 경상북도 경주시 진현동(進峴洞) 891번지에 있다. 한국의 국보 중에서도 으뜸으로 꼽히는 문화재의 하나이다.


신라의 인물

무열왕

문무왕

김유신

원효


4,고려

고려의 유래고려

고려는 918년 왕건에 의해 건국되었다. 개성을 도읍지로 정하고 만월대는 궁궐이였다.

고려의 멸망은 선죽교의 유래와 함께 전달 할 수 있다.



고려의 문화재


개경 유적 유물

만월대 : 개성시 송악산(松嶽山) 남쪽 기슭에 있는 고려의 왕궁지(王宮址)

만월대

선죽교

고려 태조가 919년 송도(松都:개성시)의 시가지를 정비할 때 축조된 것으로 추정된다. 선죽교는 1392년(태조 1) 정몽주(鄭夢周)가 이방원(李芳遠 : 조선 태종)에 의해 피살된 장소로 유명하다

고려의 인물

왕건

강감찬

정몽주

의천

5.조선


조선의 내력

조선은 1392년 고려의 뒤를 이어 세워졌다. 고려사회는 말기에 부정부패로 혼란하였고

외적의 침입이 잦았다. 마참내 어지러운 사회를 개혁하고자 뜻있는 사람들이 새로운

나라를 세우기로 하고 이성계를 왕으로 추대하여 조선을 건국하였다.



조선의 문화재

조선 도읍지 유적 유물

경복궁

서울특별시 종로구 세종로에 있는 조선시대의 정궐(正闕).
















숭례문

1962년 12월 20일 국보 제1호로 지정되었다. 정면 5칸, 측면 2칸, 중층(重層)의 우진각지붕 다포(多包)집이다. 서울 도성의 남쪽 정문이며 원래의 이름은 숭례문(崇禮門)이다.



종묘

조선시대 역대의 왕과 왕비 및 추존(追尊)된 왕과 왕비의 신주(神主)를 모신 왕가의 사당


조선의 인물

세종대왕

이순신

이율곡

정약용

2007.09.20.

  • 채택

    질문자⋅지식인이 채택한 답변입니다.

도움이 되었다면 UP 눌러주세요!
UP이 많은 답변일수록 사용자들에게 더 많이 노출됩니다.
6번째 답변
프로필 사진
kyoh****
초수
본인 입력 포함 정보

제주 문화재

 

1 관덕정 - 보물 322호 제주 제주시
2 천여부수반수기앙이 - 보물 569-24호 제주 제주시
3 탐라순력도- 보물 652-6호 제주 제주시
4 불탑사오층석탑 - 보물 1187호 제주 제주시
5 삼성혈 - 사적 134호 제주 제주시
6 제주목관아지 - 사적 380호 제주 제주시
7 제주항파두리항몽유적지 - 사적 396호 제주 북제주군
8 제주고산리선사유적 - 사적 412호 제주 북제주군
9 제주삼양동선사유적 - 사적 416호 제주 제주시
10 제주향교 - 시도유형문화재 2호 제주 제주시

 

 

서울 문화재

 

1 서울숭례문 - 국보 1호 (중구)
2 원각사지십층석탑 - 국보 2호 서울 종로구
3 북한산신라진흥왕순수비 - 국보 3호 서울 종로구
4 청자사자유개향로 - 국보 60호 (종로구)
5 청자비룡형주자 - 국보 61호 (종로구)
6 청자기린유개향로 - 국보 65호 (성북구)
7 청자상감유죽연로원앙문정병 - 국보 66호 (성북구)
8 청자상감운학문매병 - 국보 68호 (성북구)
9 훈민정음 - 국보 70호 (성북구)
10 동국정운<권1,6> - 국보 71호 (성북구)

 

부산 문화재

 

1 개국원종공신록권 - 국보 69호 (서구)
2 태백산본 - 국보 151-2호 (연제구)
3 금동보살입상 - 국보 200호 (남구)
4 영태2년명납석제호 - 국보 233호 (남구)
5 범어사삼층석탑 - 보물 250호 (금정구)
6 삼국유사<권4-5> - 보물 419-3호 (금정구)
7 범어사대웅전 - 보물 434호 (금정구)
8 견리사의견위수명 - 보물 569-6호 (서구)
9 고막고어자시 - 보물 569-16호 (중구)
10 초충도수병 - 보물 595호 (서구)

대구 문화재

 

1 금동여래입상 - 국보 182호 (수성구)
2 금동보살입상 - 국보 183호 (수성구)
3 금동보살입상 - 국보 184호 (수성구)
4 석조부도 - 보물 135호 (북구)
5 동화사입구마애불좌상 - 보물 243호 (동구)
6 동화사비로암석조비로자나불좌상 - 보물 244호 (동구)
7 동화사비로암삼층석탑 - 보물 247호 (동구)
8 동화사금당암삼층석탑 - 보물 248호 (동구)
9 동화사당간지주 - 보물 254호 (동구)
10 석조부도 - 보물 258호 (북구)

인천 문화재

 

1 초조본유가사지론<권제53> - 국보 276호 인천 남동구
2 강화하점면오층석탑 - 보물 10호 인천 강화군
3 사인비구주성동종 - 보물 11호 인천 강화군
4 강화동종 - 보물 11-8호 인천 강화군
5 정수사법당 - 보물 161호 인천 강화군
6 전등사대웅전 - 보물 178호 인천 강화군
7 전등사약사전 - 보물 179호 인천 강화군
8 전등사범종 - 보물 393호 인천 강화군
9 강화하점면석조여래입상 -- 보물 615호 인천 강화군
10 강화백련사철아미타불좌상 - 보물 994호 인천 강화군

 

광주 문화재

 

1 중흥산성쌍사자석등 - 국보 103호 북구
2 화순대곡리출토청동유물 - 국보 143호 북구
3 광주서오층석탑 - 보물 109호 광주 남구
4 광주동오층석탑 - 보물 110호 광주 동구
5 증심사철조비로자나불좌상 - 보물 131호 동구
6 금계일기 - 보물 311호 동구
7 정지장군환삼 - 보물 336호 북구
8 사군천리이표촌성망안욕천행물부정 - 보물 569-11호 서구
9 광주약사암석조여래좌상 - 보물 600호 동구
10 전오자치영정 - 보물 1190호 광산구

대전 문화재

 

1 회덕동춘당- 보물 209호 대덕구
2 예념미타도량참법<권제3,4,7,8> - 보물 1165호 대덕구
3 대덕계족산성 - 사적 355호 대덕구
4 송자대전판 - 시도유형문화재 1호 동구
5 회덕쌍청당 - 시도유형문화재 2호 대덕구
6 회덕동춘선생고택(정침,가묘,별묘) - 시도유형문화재 3호 대덕구
7 남간정사 - 시도유형문화재 4호 대전 동구
8 진잠성북리석조보살입상 - 시도유형문화재 5호 유성구
9 유회당(부)기궁재 - 시도유형문화재 6호 중구
10 옥류각 - 시도유형문화재 7호 대덕구

울산 문화재

 

1 울주천전리각석 - 국보147호 울주군
2 울산대곡리반구대암각화 - 국보 285호 울주군
3 망해사지석조부도 - 보물 173호 울주군
4 석남사부도 - 보물 369호 울주군
5 간월사지석조여래좌상 - 보물 370호 울주군
6 청송사지삼층석탑 - 보물 382호 울주군
7 태화사지12지상부도 - 보물 441호 중구
8 천황산요지군 - 사적 129호 울주군
9 언양읍성 - 사적 153호 울주군
10 울산병영성 - 사적 320호 중구

경기 문화재

 

1 고달사지부도 - 국보 4호 경기 여주군
2 금동신묘명삼존불 - 국보 85호 경기 용인시
3 금동미륵반가상 - 국보 118호 경기 용인시
4 용주사범종 - 국보 120호 경기 화성시
5 조선방역지도 - 국보 248호 경기 과천시
6 중초사지당간지주 - 보물 4호 경기 안양시 만안구
7 의왕청계사동종 - 보물 11-7호 경기 의왕시
8 파주용미리석불입상 - 보물 93호 경기 파주시
9 회암사지선각왕사비 - 보물 387호 경기 양주군
10 봉선사대종 - 보물 397호 경기 남양주시

 

강원 문화재

 

1 상원사동종 - 국보 36호 강원 평창군
2 월정사팔각구층석탑 - 국보 48호 강원 평창군
3 강릉객사문 - 국보 51호 강원 강릉시
4 법천사지광국사현묘탑비 - 국보 59호 강원 원주시
5 도피안사철조비로자나불좌상 - 국보 63호 강원 철원군
6 진전사지삼층석탑 - 국보 122호 강원 양양군
7 상원사목조문수동자좌상 - 국보 221호 강원 평창군
8 오대산상원사중창권선문 - 국보 292호 강원 평창군
9 홍천수타사동종 - 보물 11-3호 강원 홍천군
10 춘천근화동당간지주 - 보물 76호 강원 춘천시

충북 문화재

 

1 법주사쌍사자석등 - 국보 5호 충북 보은군
2 중원탑평리칠층석탑 - 국보 6호 충북 충주시
3 용두사지철당간 - 국보 41호 충북 청주시 상당구
4 법주사팔상전 - 국보 55호 충북 보은군
5 법주사석연지 - 국보 64호 충북 보은군
6 계유명전씨아미타불삼존석상 - 국보 106호 충북 청주시 상당구
7 청룡사보각국사정혜원륭탑 - 국보 197호 충북 충주시
8 단양신라적성비 - 국보 198호 충북 단양군
9 중원고구려비 - 국보 205호 충북 충주시
10 태종11년이형원종공신록권부함 - 국보 278호 충북 영동군

 

전북 문화재

 

1 실상사백장암삼층석탑 - 국보 10호 전북 남원시
2 미륵사지석탑- 국보 11호 전북 익산시
3 금산사미륵전- 국보 62호 전북 김제시
4 익산왕궁리오층석탑내발견유물 - 국보 123호 전북 전주시
5 순금금강경판<부금대2개> - 국보 123-1호 전북 전주시
6 유리제사리병 - 국보 123-2호 전북 전주시
7 금제방합<개부> - 국보 123-3호 전북 전주시
8 청동여래입상 - 국보 123-4호 전북 전주시
9 익산왕궁리5층석탑 - 국보 289호 전북 익산시
10 의안백이화개국공신록권 - 국보 232호 전북 정읍시

전남 문화재

 

1 화엄사각황전앞석등 - 국보 12호 전남 구례군
2 무위사극락전 - 국보 13호 전남 강진군
3 화엄사사사자삼층석탑 - 국보 35호 전남 구례군
4 목조삼존불감 - 국보 42호 전남 순천시
5 고려고종제서 - 국보 43호 전남 순천시
6 보림사삼층석탑및석등 - 국보 44호 전남 장흥군
7 도갑사해탈문 - 국보 50호 전남 영암군
8 연곡사동부도 - 국보 53호 전남 구례군
9 연곡사북부도 - 국보 54호 전남 구례군
10 송광사국사전 - 국보 56호 전남 순천시

 

경북 문화재

 

1 은해사거조암영산전 - 국보 14호 경북 영천시
2 봉정사극락전 - 국보 15호 경북 안동시
3 안동신세동칠층전탑 - 국보 16호 경북 안동시
4 부석사무량수전앞석등 - 국보 17호 경북 영주시
5 부석사무량수전 - 국보 18호 경북 영주시
6 부석사조사당 - 국보 19호 경북 영주시
7 불국사다보탑 - 국보 20호 경북 경주시
8 불국사삼층석탑 - 국보 21호 경북 경주시
9 불국사연화교칠보교 - 국보 22호 경북 경주시
10 불국사청운교백운교 - 국보 23호 경북 경주시

경남 문화재

 

1 해인사대장경판 - 국보 32호 경남 합천군
2 창녕신라진흥왕척경비 - 국보 33호 경남 창녕군
3 창녕술정리동삼층석탑 - 국보 34호 경남 창녕군
4 쌍계사진감선사대공탑비 - 국보 47호 경남 하동군
5 해인사장경판전 - 국보 52호 경남 합천군
6 표충사청동함은향완 - 국보 75호 경남 밀양시
7 해인사고려각판 - 국보 206호 경남 합천군
8 묘법연화경 - 국보 206-1호 경남 합천군
9 화엄경관자재보살소설법문별행소 - 국보 206-2호 경남 합천군
10 대불정여래밀인수증료의제보살만행수능엄경 - 국보 206-3호 경남 합천군

 


제가 아는 것은 이정도 입니다.. 내공 부탁 합니다... ㅜㅜ

<!--- 출처 ---><!--// 출처 -->

2007.09.30.

도움이 되었다면 UP 눌러주세요!
UP이 많은 답변일수록 사용자들에게 더 많이 노출됩니다.
9번째 답변
프로필 사진
y3al****
평민
본인 입력 포함 정보

  저 채택좀ㅎ

문화유산

1. 창덕궁

창덕궁은 사적 제122호로 지정 관리되고 있으며 돈화문(보물 제383호), 인정문(보물 제813호), 인정전(국보 제225호), 대조전(보물 제816호), 구선원전(보물 제817호), 선정전(보물 제814호), 희정당(보물 제815호), 향나무(천연기념물 제194호), 다래나무(천연기념물 제251호)등이 지정되었다. 창덕궁은 1997년 12월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록되었다.

2. 수원화성

수원화성은 사적 제3호로 지정 관리되고 있으며 소장 문화재로 팔달문(보물 제402호), 화서문(보물 제403호), 장안문, 공심돈 등이 있다. 수원화성은 1997년 12월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록되었다.

3. 석굴암, 불국사

석굴암 석굴은 국보 제24호로 지정 관리되고 있으며 석굴암은 1995년 12월 불국사와 함께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공동 등록되었다.

불국사는 사적·명승 제1호로 지정 관리되고 있으며 불국사내 주요 문화재로는 다보탑(국보 제20호), 석가탑(국보 제21호), 청운교와 백운교(국보 제23호), 연화교와 칠보교(국보 제22호), 금동아미타여래좌상(국보 제27호), 비로자나불(국보 제26호)등이 있으며, 불국사는 1995년 12월 석굴암과 함께 세계문화유산으로 공동 등록되었다.

4. 해인사 장경판전(대장경이 아니라 대장경을 보관하는 창고만 등록됨)

해인사 장경판전은 국보 제52호로 지정 관리되고 있으며, 소장 문화재로서는 대장경판 81,258판(국보 제32호), 고려각판 2,725판(국보 제206호), 고려각판 110판(보물 제734호)이 있으며, 1995년 12월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록되었다.

5. 종묘

종묘는 사적 제125호로 지정 보존되고 있으며 소장 문화재로 정전(국보 제227호), 영녕전(보물 제821호), 종묘제례악(중요무형문화재 제1호), 종묘제례(중요무형문화재 제56호)가 있으며,1995년 12월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록되었다.


6. 경주역사유적지구

2000년 12월 세계유산으로 등록된 경주역사유적지구는 신라의 역사와 문화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을 만큼 다양한 유산이 산재해 있는 종합역사지구로서 유적의 성격에 따라 모두 5개 지구로 나누어져 있는데 불교미술의 보고인 남산지구, 천년왕조의 궁궐터인 월성지구, 신라 왕을 비롯한 고분군 분포지역인 대능원지구, 신라불교의 정수인 황룡사지구, 왕경 방어시설의 핵심인 산성지구로 구분되어 있으며 52개의 지정문화재가 세계유산지역에 포함되어 있다.

7. 고인돌 유적

고창(사적 제 391호), 화순(사적 제 410호), 강화(강회지석묘-사적 제 137호, 내가지석묘, 강화 대산리 고인돌, 강화 부근리점골지석묘) 고인돌 유적은 2000년 12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록되었다.


기록유산

1. 훈민정음

이 책에 실린 정인지의 서문이 1446년 음력 9월 상순에 쓰여졌다고 되어 있어 늦어도 음력 9월 10일에 출판된 것으로 추정된다. 정부에서 이 책의 출판일을 기념하여 한글날로 제정한 것이나 유네스코에서 문맹퇴치에 공헌한 사람들에게 세종대왕상을 주는 것은 이 책의 문화사적 의의를 나타낸다.

훈민정음은 국보 제70호로 지정되어 있으며 1997년 10월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으로 등록되었다

2. 조선왕조실록

조선왕조실록은 정족산본 1,181책, 태백산본 848책, 오대산본 27책, 기타 산엽본 21책을 포함해서 총 2,077책이 일괄적으로 국보 제 151호로 지정되어 있으며, 1997년 10월에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으로 등록되었다.

3. 직지심체요절

「불조직지심체요절」이 해외로 유출된 경위는 조선시대 고종때 주한 불란서대리공사로 서울에서 근무한바 있는 꼴랭 드 쁠랑시(Collin de Plancy)가 수집해간 장서에 포함되어 있던 것이 그후 골동품수집가였던 앙리베베르(Henry Vever)에게 넘어갔으며 그가 1950년에 사망하자 유언에 따라 프랑스국립도서관으로 이관되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 이 책은 상·하 2권으로 되어 있으나, 현재 하권만이 유일하게 프랑스에 소장되어 있다. 하권은 39장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첫째장은 없고 2장부터 39장까지 총 38장만이 보존되고 있다.

흥덕사(興德寺)의 창건년대와 규모는 알수 없으나, 「불조직지심체요절」하권 간기에 고려 우왕 3년(1377)에 청주 흥덕사에서 금속활자로 책을 인쇄하였음을 명기(宣光七年丁巳七月 日 淸州牧外興德寺鑄字印施)하고 있는데, 이것은 독일의 구텐베르그보다 70여년이나 앞선 것으로 1972년 유네스코가 지정한 "세계 도서의 해"에 출품되어 세계 최고(最古)의 금속활자본으로 공인된 것이다.

그러나 흥덕사지의 위치를 확인할수 없던 중 발굴조사 결과 출토된 청동으로 만든 북[靑銅禁口]과 청동불발(靑銅佛鉢)에 "西原府 興德寺(서원부 흥덕사;서원은 신라때 청주의 이름)"라는 글자(名文)가 음각되어 있어 이곳이 바로 「백운화상초록불조직지심체요절」을 간행한 흥덕사임을 입증하게 되었다.

이 책은 금속활자를 이용하여 인쇄하였는데, 인쇄술을 보다 편리하고 경제적이며 교정을 쉽게 하여 주었고 이 모든 것은 책의 신속한 생산에 공헌하였다. 또한 활자 인쇄술에 적합한 먹, 즉 기름먹을 발명하는 계기가 되었으며, 한국이 혁신한 실용적인 활판 인쇄술은 동양 인쇄사에 지대한 영향을 끼쳤고, 유럽등지로 전파된 것으로 보인다.

이 책은 이러한 가치를 인정받아 2001년 9월 유네스코세계기록유산으로 등록되었다.

4. 승정원일기

승정원일기」는 조선왕조 최대의 기밀 기록인 동시에 사료적 가치에 있어서 조선왕조실록, 일성록, 비변사등록과 같이 우리의 역사와 문화를 세계에 자랑할 만한 자료이며, 또한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된 「조선왕조실록」을 편찬할 때 기본 자료로 이용하였기 때문에 실록보다 오히려 가치있는 자료로 평가되고 있음은 물론, 원본 1부밖에 없는 귀중한 자료로 국보 제303호(1999.4.9)로 지정되어 있다. 이는 세계 최대 및 1차 사료로서의 가치를 인정받아 2001년 9월 유네스코세계기록유산으로 등록되었다.


무형유산

1. 종묘제례 및 종묘제례악

종묘제례와 종묘제례악은 중요무형문화재 제56호와 제1호로 지정되어 보존·전승되고 있으며, 2001년 5월 18일 유네스코 "세계무형유산걸작"으로 선정되었다.

2. 판소리

판소리는 우리 역사와 희노애락을 함께해온 우리문화의 정수로 그 독창성과 우수성을 세계적으로 인정받아 2003년 11월 7일 유네스코 제2차 「인류구전 및 무형유산 걸작」으로 선정되었다.


세계유산 잠정목록

1. 삼년산성

등록일 1994년 9월

2. 공주 무령왕릉

등록일 1994년 9월

3. 강진도 요지

등록일 1994년 9월

4. 설악산 천연보호구역

등록일 1994년 9월

5. 안동하회마을

등록일 1998년 7월

6. 월성양동마을

등록일 2002년 1월

7. 남해안일대 공룡화석지

등록일 2002년 1월

8. 제주도 자연유산지구

등록일 2002년 1월

여기 까지 입니돠아

근데 왠지 상관없을듯한;;

2007.10.01.

도움이 되었다면 UP 눌러주세요!
UP이 많은 답변일수록 사용자들에게 더 많이 노출됩니다.
1번째 답변
프로필 사진
phj6****
바람신
사회, 도덕 9위, 배틀필드, 연수동 7위 분야에서 활동
본인 입력 포함 정보

추천 사이트 입니다,

클릭 하시고 들어가면 원하시는 답을 모두 얻을수 있습니다,

 

옛도읍지 - 엄태곤 http://gongmo.edu-i.org/2000/700         <<<<클릭

 

 

추천사이트 >>> 문화재청 http://www.cha.go.kr/

2007.09.20.

도움이 되었다면 UP 눌러주세요!
UP이 많은 답변일수록 사용자들에게 더 많이 노출됩니다.
3번째 답변
프로필 사진
bomi****
시민
본인 입력 포함 정보

1.한민정음-세종대왕이 한글로 만든 책이다. 학자의 노력도 많이 있었다.

2.직지-아직 가치가 많아서 프랑스 사람이 가져가서 프랑스 박물관에 있다. 우리는 되돌려 받기를 원한다.

3.판소리-무형문화재로서 인간문화재도 있다. 독특한 사투리가 있다.

4.하회 별신굿 탈놀이-안동 하회마을에서 한다. (아침 저녁)보는데 가격도 싼 편인데요. 여러가지 탈로 만든 연극으로 보면 쉽습니다.

5.숭례문-동대문으로 말해도 될 것 같은데요. 조선시대에 담부터 쌓아서 만든 것으로 궁궐은 제일 나중에 만들었겠네요.ㅡㅡ;

2007.09.21.

도움이 되었다면 UP 눌러주세요!
UP이 많은 답변일수록 사용자들에게 더 많이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