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AVER

질문 용인이씨인데 무슨파 몇대손 인가요?...
ldj0**** 조회수 537 작성일2018.10.16
용인이씨인데 무슨파 몇대손 인가요?
아버님은 경자돌림이고 형과저는 동자돌림입니다
프로필 사진

답변자님,

정보를 공유해 주세요.

1 개 답변
1번째 답변
프로필 사진
ryul****
수호신
전통 예절, 의식 1위, 사회문화 1위, 폭행 15위 분야에서 활동
본인 입력 포함 정보

님의 같은 질문에 답변을 합니다.

  

용인이씨인데 무슨파 몇대손 인가요?
아버님은 경자돌림이고 형과저는 동자돌림입니다.

 

답변 : 님은 용인 이씨이시군요.

 

용인 이씨 순천파(順天派)에 님의 동자가 존재합니다.

 

조부님 : 32세 ⊙현(鉉)자 돌림이시고,

부친님 : 33세 원(源)⊙자 돌림이시나, 경자를 쓰셨으며,

님은 : 34세손 ⊙동(東)자 돌림입니다.  

 

님은 용인 이씨 뼈대 있는 가문의 후손이시니 자긍심을 가지시기 바랍니다.

 

한글과 한문을 병용합니다. 한문을 같이 쓰는 이유는 한문은 각기 다른 한자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아래는 용인 이씨에 대한 정보입니다.

 

 

용인 이씨(龍仁 李氏)에 대()하여

 

1. 용인 이씨(龍仁 李氏) 시조(始祖) : 이길권(李吉卷)

2. 용인 이씨(龍仁 李氏) 유래(由來) :

 

용인 이씨(龍仁 李氏)의 시조(始祖) 이길권(李吉卷)은 고려(高麗) 태조(太祖)를 도와 후백제(後百濟)의 견훤(甄萱)과 태봉국의 궁예(弓裔)를 치고 동예(東濊)의 고부이오환(古扶伊梧桓) 등을 정복하는 등() 삼한통일(三韓統一)에 공을 세웠다. 그 훈공(勳功)으로 삼한벽상공신(三韓壁上功臣) 삼중대광(三重大匡) 태사(太師)에 책록(冊錄)되었고, 구성백(駒城伯)에 봉()해졌다. 만력년간고적(萬曆年間古蹟)을 보면, 고려왕(高麗王)의 사위가 되었다고 하였다. 그는 일찍이 용구(龍駒 : 용인(龍仁)의 옛 이름)의 토호(土豪)로서, ()을 세운 후() 구성백에 봉()해짐으로써 용구로 계적(繼籍)하였고, 이후 후손(後孫)들이 이곳을 관향(貫鄕)으로 삼게 되었다.

이후(以後) 용인 이씨(龍仁 李氏) 14세손 이중인 선대(先代) 산소(山所)들이 모두 실전(失傳)되고 그의 후손(後孫)들이 가장 번성(繁盛)하게 되자 그를 중시조(中始祖)로 삼게 되었다. 이중인은 고려조 구성부원군(駒城俯院君)을 지낸 인물로 용인 이씨(龍仁 李氏)의 굳은 절개를 보여준 장본인이다. 그는 이성계 일파의 역성혁명으로 정국이 혼란에 들자 벼슬을 버렸고 조선 개국 후에는 머리를 풀고 산속에 들어가 은둔했던 절신이다. 또한 자손들에게 이씨왕조 밑에서는 벼슬하는 일이 없도록 하라며 굳은 절개의 유언을 남겼다.

 

 

3. 용인 이씨(龍仁 李氏) 본관(本貫) 연혁(沿革)

 

용인(龍仁)은 경기도(京畿道) 중앙(中央)에 위치(位置)하는 지명(地名)으로 용구현(龍句縣)과 처인현(處仁縣)의 합()쳐진 지명(地名)이다. 용구현(龍駒縣)은 삼국시대(三國時代)에 백제(百濟)의 멸오현(滅烏縣)이었다가 475(고구려 장수왕 63)에 구성현(駒城縣)이라 불렸다. 757(신라 경덕왕 16)에 거칠현(巨漆縣 : 巨黍)으로 이름을 바꾸고 한주(漢州 : 廣州)의 관할(管轄)에 들었다. 940(고려 태조 23)에 용구현(龍駒縣)으로 개칭(改稱)했으며, 1018(현종 9)에 광주(廣州)의 속현(屬縣)으로 병합(倂合)되었으나 1172(명종 2)에 감무(監務)를 둠으로써 독립(獨立)하였다가 뒤에 현()으로 승격(昇格)하였다. 처인현(處仁縣)은 수원부(水原府)의 처인부곡(處仁部曲)으로 1397(태조 6)에 현()으로 개편(改編)되었다.

 

1413(태종 13) 용구 · 처인(處仁)의 두 현()을 합()하여 용인(龍仁)으로 고치고 1896(고종 32) 지방제도(地方制度) 개정(改定)으로 경기도(京畿道) 용인군(龍仁郡)이 되었다가 1914년 군면(郡面) 폐합(廢合)으로 양지군(陽智郡) 일원(一圓)과 죽산군(竹山郡)의 일부(一部)를 편입(編入)하여 내사면(內四面) · 외사면(外四面) · 원삼면(遠三面) 3개 면()을 증설(增設)하였다. 1938년 관할(管轄) 수여면(水餘面)이 용인면(龍仁面)으로 개칭(改稱)되었고 1963년 고삼면(古三面)을 안성군(安城郡)에 편입(編入)시켰다. 1979년 용인면(龍仁面)이 읍()으로 승격(昇格)했고 1996년 용인군(龍仁郡)이 용인시(龍仁市)로 승격(昇格)되면서 용인읍(龍仁邑) 4개의 행정동으로 분할(分割)되어 폐지(廢地)되었다.

 

 

4. 용인 이씨(龍仁 李氏) 계파(系派) 및 분파(分派)

 

부사공파(府使公派)

부사공계종파(府使公繼宗派)

부정공파(副正公派)

사용공파(司勇公派)

사직공파(司直公派)

소경공파(少卿公派)

순위공파(巡衛公派)

승랑장공파(勝郞將公派)

주부공파(主簿公派)

참판공파(參判公派)

초산파(楚山派)

판관공파(判官公派)

현감공파(縣監公派)

 

 

5. 용인 이문(龍仁 李門) 가문(家門)의 번성(繁盛)

 

중시조(中始祖)로 받드는 것은 시조(始祖)로부터의 선대(先代) 산소(山所)들이 모두 실전(失傳)된데다 그의 후손(後孫)이 가장 번성(繁盛)한 때문이다. 고려말(高麗末) 형조전서(刑曹典書)를 지낸 그의 장남 이사영(李士穎)은 이성계(李成桂)일파에 몰려 목은(牧隱) 이색(李穡) 등이 유배될 때 남원(南原)으로 유배되어 그곳에서 숨졌다. 그의 아들까지 이중인(李中仁)의 직계로 3()가 벼슬에 나가지 않았다.

그러나 이중인(李中仁)의 둘째아들 이사위(李士渭)는 아버지의 유언과는 달리 고려조(高麗朝)에 관찰사(觀察使) 등 벼슬을 하고 조선조(朝鮮朝)에도 벼슬에 나가 개성유수(開城留守)를 지냈다. 왕조가 바뀌는 역사의 전환기에 형제가 걷는 길은 서로 달랐다.

 

이사위(李士渭)가 아버지 이중인(李中仁)의 뜻(불사이군(不事二君))을 어길 수밖에 없었던 시대적 배경을 용인 이씨(龍仁 李氏) 족보는 다음과 같이 적고 있다.

 

조선개국 후 이성계(李成桂)는 민심수습과 정국안정을 위해 인재를 필요로 했다. 그러나 대부분의 유신들은 불사이군(不事二君)의 충절을 지켜 등을 돌렸다. 때문에 유신들에 대한 회유와 탄압은 날로 심했다. 탄압에 견디지 못한 유신들은 자신들의 보신(保身)을 걱정하다가 공()(사위(李士渭))을 대표로 내세워 벼슬길에 나가도록 종용했다. 그는 선친의 뜻을 따르지 못한 것을 못내 한스럽게 여기면서도 이같은 동료들의 처지와 개성백성(開城百姓)들의 신망을 저버릴 수 없어 벼슬길에 나가 오래도록 그 자리를 맡았다

 

용인 이씨(龍仁 李氏)는 조선조(朝鮮朝)에 상신(相臣) 3, 대제학(大提學) 3, 청백리(淸白吏) 1, 판서(判書) 15명 그리고 문과급제자 85명을 냈다. 3품 이상의 직을 맡은 사람만도 2 50명에 달한다.

 

또한 한 집안에서 부자(父子) 정승(세백(李世白)이의현(李宜顯))과 삼상사판(三相四判)(삼상(三相)=이세백(李世白)이의현(李宜顯)이재협(李在協) 사판(四判)=이보혁(李普赫)이경호(李景祜)이중호(李重祜)이재간(李在簡))등을 배출했는가 하면, 육판서(六判書) (숭호(李崇祜)이재학(李在學)이규현(李奎鉉)이삼현(李參鉉)이원명(李源命)이돈상(李敦相)) 8대에 걸쳐 14명이 정경부인(貞敬夫人)(후연(李後淵)이정악(李挺岳)이세응(李世膺)이의진(李宜振)이보혁(李普赫)이경호(李景祜)이중호(李重祜)이재협(李在協)이재간(李在簡)의 부인)이 된 집도 있다. 이들 모두가 대사간(大司諫)을 지낸 이사경(李士慶)의 후손들이다.

 

용인 이씨(龍仁 李氏) 여러 파중에서 가장 수가 많고 융성을 누리기는 16세 이백지(李伯持)의 아들 5형제 중 큰 아들인 이수강(李守綱)의 후손인 부사공파(府使公派)로 자손의 수나, 벼슬한 수가 용인 이씨(龍仁李 氏) 60퍼센트에 달한다.

 

이백지(李伯持)(태종(太宗)관찰사(觀察使)청백리(淸白吏) 이행검(李行儉)(단종(端宗)병마절도사(兵馬節度使)) 이담(李湛)(선조(宣祖)관찰사(觀察使) 이덕회(李德恢)(선조(宣祖)남원판관(南原判官) 이일(李鎰)(선조(宣祖)무용대장(武勇大將) 이사경(李士慶)(광해군(光海君)대사간(大司諫) ()은 조선(朝鮮) 초기(初期)의 용인 이씨(龍仁 李氏) 인물(人物)들이다.

 

그중 이행검(李行儉)은 이징옥(李澄玉)의 난()(단종(端宗) 원년(元年)1453) 당시 함경도(咸鏡道) 진무(鎭撫)로 있으면서 그를 계략으로 종성(鐘城)에 머물게 한 뒤 붙잡아 진압한 공으로 1등 공신에 책록 되기도 했다.

 

이담(李湛)은 의학천문산수에 능했던 성리학자(性理學者) 12살 때 아버지를 여의고 편모슬하에서 자라난 그는 소학(小學)을 배울 때 과부의 아들에게 특이한 행실이 없거든 사귀지 말라는 구절에 크게 충격을 받아 그때부터 밤낮없이 면학에 힘썼다고 전한다.

그는 정미사화(丁未士禍)(명종(明宗)31547)에 화를 입어 양산(梁山)으로 귀양갔다. 풀려나기도 했는데 귀양가면서도 어찌나 태연한지 금부도사(禁府都事)조차 감탄했으며 유배(流配)에서 풀려나 많은 하객들이 찾아와 축하하는데도 조금도 기쁜 기색을 드러내지 않아 도리어 하객이 문안했을 만큼 성품이 신중 침착했다 한다.

 

이일(李鎰)은 임진왜란(壬辰倭亂) 당시 순변사(巡邊使)로 개전초(開戰初) 상주(尙州)에서 왜군(倭軍)에 중과부적으로 패했으나 뒷날 평안병사(平安兵使)로 평양(平壤)수복전에 선봉으로 공()을 세운 명장(名將)이었다. 일찍이 이충무공(李忠武公)이 함경도(咸鏡道) 조산만호(造山萬戶)로 있을 때 자칫 누명을 쓰고 중벌을 받게 된 것을 나서서 벌을 면하게 한 인연도 있다. 뒷날 이충무공(李忠武公)이 수군절제사(水軍節制使)가 되어 나라를 구할 수 있었던 것도 그의 역할이 있었던 셈이다.

 

광해군(光海君) 때 대사간이었던 이사경(李士慶)은 당시 세력을 장악했던 대북파(大北派)에 아부하지 않고 직간(直諫)을 계속하다 대북(大北)의 탄핵으로 사임하기도 했던 강직한 인물이다. 그는 당시 대북파(大北派)의 영수 이이첨(李爾瞻)과 척분간이었으나 조금도 아부하거나 굴하는 일이 없이 정도(正道)와 청렴으로 일관, 난세의 완인(完人)이란 칭송과 존경을 받았다.

 

이세백(李世白)(숙종(肅宗)좌의정(左議政))은 조선조(朝鮮朝)에서 용인 이씨(龍仁 李氏)가 배출한 최초의 정승이었다. 영조(英祖) 때 영의정(領議政)을 지낸 이의현(李宜顯)은 그의 아들이다.

숙종(肅宗)말년에 예조판서(禮曹判書)가 되었다가 신임사화(申壬士禍)(경종(景宗) 11721)로 노론사대신(老論四大臣)(영의정 김창집(金昌集)좌의정(左議政) 이건명(李健命)이이명(李頤命)조태채(趙泰采))이 숙청될 때 운산(雲山) 3년간 유배되었으며 후일 영조(英祖)즉위 후 양관 대제학(大提學)을 거쳐 우의정(右議政)에 올랐으나 정미환국(丁未換局)(영조(英祖) 31727)으로 다시 추방되는 시련을 겪었다. 영조(英祖) 8년 사은사(謝恩使)가 되어 청()나라에 다녀왔고 3년 뒤에 영의정(領議政)에 오르니 바로 부자정승(父子政丞)이다. 이세백(李世白)의 증손 이보혁(李普赫)은 영조(英祖) 때 성주목사(星州牧使)로 있으면서 이인좌난(李麟佐亂)(영조(英祖) 41728)토평에 공을 세워 분무공신(奮武功臣)3()과 인평군(仁平君)에 봉군되었다가 영조(英祖) 24년 부총관, () 29년 한성판윤(漢城判尹)에 이어 공조판서(工曹判書)를 지냈다. 이경호(李景祜)(영조(英祖), ()()병판(兵判))와 이중호(李重祜)(정조(正祖)이판(吏判))등 형제는 그의 아들들이고 정조(正祖) 때 영의정(領議政)을 지낸 이재협(李在協)은 이보혁(李普赫)의 손자요, 이중호(李重祜)의 아들이 된다.

 

이밖에 조선조(朝鮮朝)의 인물(人物)로는 이의철(李宜哲)(영조(英祖)대제학(大提學)) 이보천(李普天)(()이판(吏判)) 이숭호(李崇祜)(정조(正祖)예판(禮判)) 이재간(李在簡)(정조(正祖)이판(吏判)) 이재학(李在學)(순조(純祖), ()형판(刑判)) 이원명(李源命)(헌종(憲宗), ()이판(이판(吏判)) 이참현(李參鉉)(고종(高宗)대제학(大提學)형판(刑判)) 이돈상(李敦相)(()공판(公判)) 등이 있다. 이재간(李在簡)은 이중호(李重祜)의 아들로 이보혁(李普赫)의 손자다. 이재학(李在學)은 이숭호(李崇祜)의 아들로 명판관(名判官)으로 유명했다.

헌종(憲宗) 때의 화가(畵家) 이재관(李在寬)은 구름초목(草木)비조(飛鳥)의 그림과 인물화에 뛰어났으며 작품(作品)으로 송하인물도(松下人物圖)’ ‘약산초상(若山肖像)’ ‘전가독서도(田家讀書圖)’ ‘월하선인도(月下仙人圖)’ ‘취적도(吹笛圖)’ 등을 남겼다. 현재 국립중앙박물관에 일부가 소장되어 있다.

 

일제하(日帝下)의 인물(人物)로는 독립운동(獨立運動) ()였던 이원선(李源善)이월로(李月老) 등이 있는데, ()히 이월로(李月老)는 한말(韓末)부터 독립운동(獨立運動)에 투신, 1927년 정의부(正義府) 지역(地域) 책임자(責任者)로 활동(活動)하며 군자금 모금 등에 종사했으며 1930년 일경에 체포되어 옥고를 겪는 등 활약이 컸다.

 

 

6. 용인 이씨(龍仁 李氏) 항렬표(行列表)

 

순천파(順天派)

()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

()

()

()

()

()

()

()

()

()

()

()

()

()

()

()

()

()

()

()

()

()

()

()

()


함흥파(咸興派)

()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

()

()

()

()

()

()

()

()

()

()

()

()

()

()

()

()

()

()

()

()

()

()

()

()

()

()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

()

()

()

()

()

()

()

()

()

()

http://cafe.naver.com/yonginlee/40

 

 

7. 용인 이씨(龍仁 李氏) 주요(主要)세거지(世居地)

 

- 경기도 이천군 동면 정동리

- 경기도 이천군 낙양면 구봉리

- 강원도 양구군 방산면 금악리

- 강원도 철원군 원동면 용연리

- 충청남도 보령군 주포면 신대리

- 황해도 재령군 삼강면 광탄리

- 평안남도 순천군 후탄면 양포리

- 평안남도 순천군 자산면 용암리

- 평안북도 초산군 서면 용상동

 

 

8. 용인 이씨(龍仁 李氏) 인구수(人口數)

 

2000년 통계청이 발표한 결과에 의하면 용인 이씨는 9,796가구 총 32,050명이 있는 것으로 되어 있다.

 

 

끝으로 님의 건강과 행복이 충만 하시기를 빌겠습니다.

2018.10.19.

도움이 되었다면 UP 눌러주세요!
UP이 많은 답변일수록 사용자들에게 더 많이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