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AVER

질문 평택 유적지에 대해서 최대한 빨리 알려주세요!
dave**** 조회수 4,144 작성일2017.05.03
평택 유적지의 위치를 최대한 많이 알려주세요!!!
프로필 사진

답변자님,

정보를 공유해 주세요.

1 개 답변
1번째 답변
프로필 사진
lt****
절대신
2019 지역&플레이스 분야 지식인
본인 입력 포함 정보

평택의 유적지입니다. 그런데 조금 늦었습니다.그래도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평택의 유적지)

 

1.팽성읍 객사

 

종 목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137호

지 정 일 1989.06.01

소 재 지 경기 평택시 팽성읍 동서촌로 101-3 (객사리 117)

시 대 조선시대

 

팽성객사는 조선 성종 19년(1488)에 크게 지었으며, 그 후로 2번의 수리를 거쳤다. 일제시대에는 양조장으로 바뀌었다가 주택으로 사용되었는데, 1994년 해체·수리하면서 옛 모습을 되찾게 되었다. 현재는 대문간채와 본채가 남아 있다.

 

본채는 전체 9칸으로 가운데 3칸은 중대청이고 양 옆에 동·서헌이 각각 3칸씩 있다. 중대청은 안에 왕을 상징하는 전패를 모시고 관리들이 한달에 두번 절을 하던 곳이다. 이곳은 지붕도 동·서헌보다 높여 건물의 격식을 높였다. 동·서헌은 다른 지방에서 온 관리들이 머물던 숙소로 사용되었다. 중대청과 대문의 지붕 꼭대기 양끝에는 용머리조각을 놓아 관리청으로서의 위엄을 나타냈다.

 

팽성읍 객사는 규모가 그리 크지 않지만, 조선 후기의 전형적인 객사의 모습을 잘 간직하고 있다.

 

2.이대원장군 묘 및 신도비

 

종 목 경기도 기념물 제56호

지 정 일 1980.06.02

소 재 지 경기 평택시 포승면 희곡리 산83-6

시 대 조선시대

 

조선 중기의 무신 이대원(1556∼1587)의 묘지이다.

 

그는 선조 16년(1583)에 무과에 급제한 후 선전관을 거쳐 전라도 녹도에서 종4품 무관직인 만호가 되었다. 선조 20년(1587)에 남해안에 출몰한 왜구를 토벌하는데 큰 공을 세웠으며, 다시 왜구가 흥양에 침입하자 군사 100여 명을 이끌고 출병하여 손죽도 해상에서 적과 싸우다 포로가 되었으나 끝까지 항거하다 전사하였다.

 

묘지는 봉분이 3기인데, 가운데 장군의 묘가 있고 좌우에 부인의 묘가 있다. 가운데 봉분 앞에는 묘비, 향로석, 제물을 차려 놓기 위한 상석이 있다. 좌우에는 문인석과 멀리서도 무덤이 있음을 알려주는 망주석이 각각 1쌍 있다.

 

묘역 아래에는 숙종 25년(1699)에 건립한 신도비(왕이나 고관 등의 평생업적을 기리기 위해 무덤 근처 길가에 세운 비)가 있는데, 비문은 남구만이 짓고 조상우가 글씨를 쓴 것이다. 비문에는 왜구를 물리친 장군의 공적이 잘 기록되어 있다.

 

3.원균장군 묘

 

종 목 경기도 기념물 제57호

지 정 일 1980.06.02

소 재 지 경기 평택시 도일동 산82

시 대 조선시대

 

경기도 평택에 있는 조선 중기의 무신 원균(1540∼1597)장군의 묘이다. 그의 자는 평중으로 무과에 급제한 후 선전관을 거쳐 여러 관직에 올랐다.

 

선조 25년(1592)에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수군을 통솔하는 절도사로서 옥포해전에서 이순신 장군에게 구원을 요청하여 적을 물리쳤다. 그 후 선조 25년(1592)의 합포해전, 적진포해전 등 여러 차례에 걸친 크고 작은 해전에서 큰 승리를 거두었다. 선조 30년(1597)에 칠천량해전에서 전사하였으며, 선조 36년(1604)에 권율, 이순신과 함께 선무 1등공신으로 벼슬이 높여졌다.

 

묘역 안에는 돌로 만든 등이 있고, 멀리서도 무덤이 있음을 알려주는 망주석과 무인석이 배치되어 있다. 국한문 혼용체로 쓴 비문에는 왕이 내린 교서와 장군의 행적을 기록하고 있다.

 

4.농성

 

종 목 경기도 기념물 제74호

지 정 일 1981.07.16

소 재 지 경기 평택시 팽성읍 안정리 산41-5

시 대 삼국시대

 

경기도 평택시 팽성읍 안정리 마을의 북쪽 논 가운데 있는 성으로, 흙으로 쌓았다.

 

전체 모습은 타원형으로 둘레는 약 300m이고 높이는 4m 내·외이며, 동쪽과 서쪽에 문터가 있다. 무너진 곳의 단면을 보면 붉은색의 고운 찰흙을 층층이 다져 쌓은 흔적이 있다.

 

성을 쌓은 이유는 삼국시대에 도적 때문에 쌓았다는 이야기를 비롯하여 신라 말기 중국에서 건너온 평택임씨의 시조인 임팔급이 축조하여 생활 근거지로 삼았다는 설이 있다. 그리고 고려시대에 서해안으로 침입하는 왜구를 막기 위해 쌓았다는 설과 임진왜란 때 왜적을 막기 위해 쌓았다는 설이 전한다. 성 바로 옆에는 겨울철에는 따뜻한 물이, 여름철에는 찬물이 나오는 우물이 있었다고 한다.

 

이 성은 평지에 만든 소규모의 성으로 이런 흙으로 쌓은 성곽들은 대부분 초기 국가의 형성단계에서 나타나는 형태인데, 이 지역의 토착 세력 집단들이 그들의 근거지로 축성한 것으로 추정된다.

 

5.안재홍 생가

 

종 목 경기도 기념물 제135호

지 정 일 1992.12.31

소 재 지 경기 평택시 고덕면 계루지1길 7 (두릉리 646)

시 대 조선시대

 

정치가이며 사회학자인 안재홍(1891∼1965)선생이 태어나 살던 집이다.

 

선생은 경기도 평택 출신으로 일본 동경 유학시절에 학우회를 조직하여 독립운동에 가담하였고, 귀국 후에도 언론과 교육활동을 통한 민족계몽과 독립사상 고취에 헌신하였다. 저서로는『조선상고사감』,『한민족의 기본노선』등이 있다.

 

가옥은 계루지 마을 야산 기슭에 남향으로 자리잡고 있다. 원래는 대문간채까지 남아 있던 큰 집이었으나, 현재는 1914년에 지은 안채와 1932년에 지은 사랑채만 남아 있다. 안채와 사랑채가 안마당을 중심으로 ㄷ자형의 배치를 이루고 있으며, 사랑채 동쪽에 대문과 뒷간이 있다.

 

안채는 10칸 반 규모의 ㄱ자형 평면을 갖춘 집이다. 건넌방과 대청·안방이 일렬로 있고, 안방 앞에서 꺾여 부엌과 광이 있다. 양쪽 맨 끝칸을 적절히 이용하여 공간을 효율적으로 나누고 있는데, 특히 부엌과 대청 사이에 있는 연결 통로는 이 집만의 특색이다.

 

사랑채는 8칸 규모로 一자형이며 지붕은 옆면에서 볼 때 여덟 팔(八)자 모양의 팔작지붕이다. 가운데 대청을 중심으로 동쪽에 툇마루가 있는 온돌방이 있고 서쪽에는 대청보다 한 단 높은 누마루가 있다.

 

최근 생활의 편의를 수용하여 변화된 경기지역 살림집의 모습을 잘 보여 주고 있다.

 

6.평택 무성산성지

 

종 목 경기도 기념물 제202호

지 정 일 2005.10.17

소 재 지 경기 평택시 청북면 옥길리 산17-8번지 외 12필지

시 대 삼국시대

 

1999년 경기도박물관 지표조사 및 2004년 단국대학교 매장문화재 연구소의 발굴결과 테뫼식산성으로 성벽은 토축, 내부 시설로 문지 등의 시설이 확인되었으며, 출토유물로는 백제 토기부터 고려시대 토기, 기와 등이 출토되었다.

 

고대부터 중세에 이르기까지 아산만 일대의 방어 및 통치와 관련하여 유용한 자료를 제공하여 줄뿐만아니라 토성축조 방식과 활용문제에 있어 직접적인 자료로서 역사적 가치가 크다.

 

7.평택 자미산성지

 

종 목 경기도 기념물 제203호

지 정 일 2005.10.17

소 재 지 경기 평택시 안중읍 용성리 산68번지 외 14필지

시 대 삼국시대

 

학술조사 결과 자미산 정상부 주위를 둘러싼 내성과 능선을 따라 이루어진 외성으로 이루어졌으며 성내에는 문지 등의 각종 시설물이 확인되었고, 청동기시대 부터 조선시대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유물이 출토되었다.

 

방조제 공사로 석재들이 유출되어 석축을 찾아 보기 힘드나 성벽하부는 매몰되어 확인되고 삼국의 격전지였던 아산만에 위치하여 역사적, 고고학적으로 중요하다.

 

8.평택 비파산성지

 

종 목 경기도 기념물 제204호

지 정 일 2005.10.17

소 재 지 경기 평택시 안중읍 용성리 산6-1번지 외24필지

시 대 삼국시대

 

안중면 용성리와 덕우리 사이의 비파산(해발 102.2m)에 있는 흙으로 쌓은 산성이다. 1998~1999년 경기도박물관 조사팀에 의해 확인되었다.

 

비파산 정상부와 여기에서 남쪽으로 뻗은 봉우리를 지나 남동쪽으로 용성리 뒷골까지 내려왔다가 다시 비파산 정상부로 올라가는 포곡식 산성이다. 성벽의 전체 길이는 1,622m이며 남북 길이 375m, 동서 길이 499m이다. 시설물로는 문지 5개소, 치성 4개소, 건물지 14개소, 음료 유구 5개소 등이다.

 

이곳은 동쪽에 차령산맥이 지나고 사방으로 잘 조망되는 지역으로 고려말 왜구의 침입이 빈번해지자 군사적 중요성이 커졌다. 이에 이 산성을 쌓기 시작해서 고려 말에 크게 중수되어 주변의 무성산성, 자미산성, 용성리성, 장길마을성과 함께 연계하여 군사적 방어체계를 구축하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9.평택 용성리성지

 

종 목 경기도 기념물 제205호

지 정 일 2005.10.17

소 재 지 경기 평택시 안중읍 용성리 455번지 외 28필지

시 대 삼국시대

 

학술조사 결과 비파산성으로부터 남쪽으로 1km 떨어진 토축형의 방형 성지이다.

 

문지, 치성이 있고 경작지 등의 조성으로 삭평된 일부 구간을 제외하고 성벽이 비교적 잘 남아 있고 고려시대 이후의 유물이 출토된다. 규모가 작고 능선으로 연결되어 있어 비파산성과 연계된 방어시설로 추정된다.

 

10.평택 덕목리성지


종 목 경기도 기념물 제206호
지 정 일 2005.10.17
소 재 지 경기 평택시 현덕면 덕목리 647-1 일원
시 대 고려시대


원덕목 마을의 진입로를 사이에 두고 동,서로 나뉘어진 장방형의 성으로 동성은 마을이 들어서 완전히 파괴되었고, 서성은 경지정리로 반파되어 성내부와 성벽일부가 잔존하고 있다.


학술조사 결과 잔존부분에서 원래 형태는 물론 이후 이후 보수된 흔적과 성 외부에 둘렀던 해자되 확인되어 고대적인 축성법에서 중세적인 축성법으로 넘어가는 과도기적인 단계의 평지토성으로 중요성이 인정된다.

 

11.평택향교

 

종 목 경기도 문화재자료 제4호

지 정 일 1983.09.19

소 재 지 경기 평택시 팽성읍 부용로17번길 40 (객사리 185)

시 대 조선시대

 

향교는 공자와 여러 성현께 제사를 지내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해 나라에서 세운 국립교육기관이다.

 

평택향교는 조선 태종 13년(1413)에 처음 지었는데, 병자호란으로 불타 없어진 것을 여러 차례 고쳤으며 1986년에는 명륜당을 세웠다.

 

지대가 높은 언덕쪽에 제사 공간인 대성전이 있고 그 앞쪽에 공부하는 공간으로 명륜당과 동재·서재가 있어 전형적인 전학후묘의 배치를 따르고 있다.

 

대성전은 앞면 5칸·옆면 3칸 규모로, 지붕은 옆면에서 볼 때 사람 인(人)자 모양인 맞배지붕이다. 지붕 처마를 받치기 위해 장식하여 만든 만든 공포는 새 날개 모양으로 꾸민 익공 양식이다. 이곳에는 공자를 비롯한 성현의 위패를 모시고 봄·가을에 제사를 지내고 있다.

 

명륜당은 앞면 5칸·옆면 2칸의 규모이며, 지붕은 옆면에서 볼 때 여덟 팔(八)자 모양인 팔작지붕이다. 좌우에는 학생들의 기숙사인 동재·서재가 있다.

 

조선시대에는 나라에서 토지와 노비·책 등을 지원받아 학생을 가르쳤으나 지금은 교육 기능은 없어지고 제사 기능만 남아 있다.

 

12.진위향교 대성전

 

종 목 경기도 문화재자료 제40호

지 정 일 1983.09.19

소 재 지 경기 평택시 진위면 진위로 49 (봉남리 167)

시 대 조선시대

 

향교는 공자와 여러 성현께 제사를 지내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해 나라에서 세운 교육기관이다.

 

진위향교는 조선 전기에 처음 지었다고 전하나 확실하지 않으며, 1923년과 1934년 두 차례 보수를 하였다.

 

현재는 대성전, 명륜당, 동재·서재, 외삼문, 내삼문 등이 남아 있다.

 

대성전은 공자를 비롯하여 중국과 우리나라 유학자의 위패를 모시고 제사를 지내는 곳이다. 규모는 앞면

3칸  옆면 3칸이며,지붕은 옆면에서 볼 때 사람 인자 모양인 맞배지붕이다.

 

조선시대에는 나라에서 토지와 노비·책 등을 지원받아 학생을 가르쳤으나, 지금은 교육 기능은 없어지고 제사 기능만 남아 있다.

 

진위향교 대성전은 큰 건물은 아니지만 18세기 건축기법을 잘 보여주고 있다.

2017.05.03.

  • 채택

    질문자⋅지식인이 채택한 답변입니다.

  • 출처

    문화재청 외

도움이 되었다면 UP 눌러주세요!
UP이 많은 답변일수록 사용자들에게 더 많이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