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AVER

질문 전주이씨 충녕대군에 대하여
비공개 조회수 4,961 작성일2018.08.02

제가 충녕대군쪽이라는 것만 아는데 파조와 대손이 궁금합니다.


아버님은 돌림자가 "희(喜)"  할아버님은 "용(容)"자입니다.


저는 "석(錫)"자이고 아들은 순(淳)자이고 손자는 근(根)자로 알고 있습니다.


어렵게 말고 쉽고 간단하게 부탁드립니다.


충녕대군  00대손??

프로필 사진

답변자님,

정보를 공유해 주세요.

2 개 답변
1번째 답변
프로필 사진
ryul****
수호신
전통 예절, 의식 1위, 사회문화 1위, 폭행 15위 분야에서 활동
본인 입력 포함 정보

님의 질문에 답변을 합니다.

 

제가 충녕대군쪽이라는 것만 아는데 파조와 대손이 궁금합니다.


아버님은 돌림자가 "희(喜)"  할아버님은 "용(容)"자입니다.

저는 "석(錫)"자이고 아들은 순(淳)자이고 손자는 근(根)자로 알고 있습니다.


어렵게 말고 쉽고 간단하게 부탁드립니다.

충녕대군  00대손??

 

답변 : 님이 말씀하신 전주 이씨 충녕대군파는 세종대왕이신 분으로 항렬표는 그 다음 세대에서 나옵니다. 세종대왕을 제왕으로 본 결과 영응대군파에 욱(旭)자 돌림자가 시조 40세 / 파조 17세에 나옵니다. 항렬표에는 파조는 대로 나오니 즉 전주 이씨 16대 욱(旭)자는 17세손이됩니다. 하나 정확도를 기하기 위하여 웃대 어른들의 항렬도 한번 대조해 보시기 바랍니다. 28대손은 전혀 맞지 않습니다. 누가 물어보더라도 제대로 알고 대답하시기 바랍니다.

 

님은 전주 이씨 뼈대 있는 왕가의 후손이시니 자긍심을 가지시기 바랍니다.

 

한글과 한문을 병용합니다. 이유는 한문에는 그 만큼 깊은 뜻이 있기 때문이지요. 이점 양해가 있으시길 바랍니다. 그리고 해당 자료와 항렬표에는 녹색 글씨로 표기합니다.

 

아래는 전주 이씨에 대한 정보입니다.

 

 

전주이씨(全州李氏)에 대()하여

 

1. 전주 이씨(全州 李氏) 시조(始祖) : 이한(李翰)

2. 전주 이씨(全州 李氏) 유래(由來) :

 

전주 이씨(全州 李氏) 始祖(시조) 이한(李翰) 德望(덕망)이 높고 文章(문장) 卓越(탁월)하여 新羅(신라) 文聖王(문성왕)때 사공(司空) 벼슬을 지냈으며 그후 代代(대대) 新羅(신라)時代(시대)에 벼슬을 해왔다.

18世孫(세손)되는 이안사(李安社) 代代(대대) 全州(전주)에 살아온 戶族(호족)이었는데 새로 부임한 지주의 탐학을 규탄하자 지주가 군사를 휘둘러 보복하려하여 그를 피해 江原道(강원도) 삼척으로 피했다가 다시 咸鏡道(함경도)를 거처 원나라 간동으로가 그곳에서 다루가치 벼슬을 지냈고 曾孫(증손)자 되는 이자춘(李子春) 高麗時代(고려시대)에 공을 세워 사복경(司僕卿)에 이르렀다.

이자춘의 아들, () 시조(始祖) 22세손 이성계(李成桂)에 이르러 어지러운 국정(國政)을 바로잡고 배극렴(裵克廉) 52명의 추대로 왕위에 오르게 됨으로 조선왕조(朝鮮王朝)를 창건, 전주 이씨(全州 李氏)의 종시조가 되었다.

 

 

3. 전주 이씨(全州 李氏) 가문(家門)의 번영(繁榮)

 

전주 이씨(全州 李氏) 는 조선 500년을 이끌어온 왕가(王家)이므로 가문(家門)의 번성기(繁盛期)를 따로 기술할 필요가 없다.

전주 이씨(全州 李氏) 1백여 파중(派中) 으뜸가는 명가는 밀성군(密城君. =세종의 아들)파로써 6명의 정승(政丞) 3대 대제학(大提學)을 배출했으며,

덕천군(德泉君. 후생(厚生)=정종의 아들)파가 부자 대제학등 3명의 대제학(大提學)과 영의정(領議政) 1명을 내어 밀성군파에 버금간다.

덕천군파 다음으로는 3명의 정승을 배출(輩出)한 광평대군파(廣平大君派), 정승 2명을 배출한 선성군파(宣城君派), 정승 1명과 숱한 문신과 무신을 배출(輩出)한 효령대군파(孝寧大君派) 등이 빼어나다.

 

전주 이씨(全州 李氏) 는 오리정승(梧里政丞)으로 많은 일화를 남긴 인조(仁祖)때 영의정 이원익(李元翼), 흥선대원군(興宣大元君) 이하응, 대한민국(大韓民國) 초대(初代) 대통령(大統領) 이승만(李承晩), 철기(鐵驥) 이범석(李範奭) 장군(將軍) () 역사(歷史)의 한획을 그었던 거목들을 배출하였다. 1585(선조 18) 이수광은 별시문과(別詩文科)에 급제, 1627년에 이조판서가 되었다. 임진왜란(壬辰倭亂)을 전후(前後)하여 여러 차례 사신(使臣)으로 명()나라에 왕래(往來), 당시(當時) ()나라에 와있던 이탈리아 신부에게서 "천주실의(天主實義)" "중우론(重友論)"을 얻어와 1614(광해군 6) "지봉유설(芝峰類說)"을 간행하여 우리나라 최초로 천주교와 서양 문물을 소개함으로써 실학발전의 선구자가 되었고 시문에도 능했으며 영의정에 추증되었다.

 

 

4. 전주 이씨(全州 李氏) 제왕(帝王) 각파(各派)와 파조(派祖)

 

궁진(宮進)

시중공파(侍中公派) 이단신(李端信)

용부(勇夫)

평장사공파(平章事公派) 이거(李琚)

양무(陽茂)

주부공파(主簿公派) 이영습(李英襲)

 

목조

안천대군파(安川大君派) 이어선(李於仙)

안원대군파(安原大君派) 이진(李珍)

안풍대군파(安豊大君派) 이정(李精)

안창대군파(安昌大君派) 이매불(李梅拂)

안흥대군파(安興大君派) 이구수(李球壽)

 

익조

함녕대군파(咸寧大君派) 이안(李安)

함창대군파(咸昌大君派) 이장(李長)

함원대군파(咸原大君派) 이송(李松)

함천대군파(咸川大君派) 이원(李源)

함릉대군파(咸陵大君派) 이고태(李古泰)

함양대군파(咸陽大君派) 이전(李腆)

함성대군파(咸城大君派) 이응거(李應巨)

 

도조

완창대군파(完昌大君派) 이자흥(李子興)

완원대군파(完原大君派) 이자선(李子宣)

완천대군파(完川大君派) 이평(李平)

완성대군파(完城大君派) 이종(李宗)

 

환조

완풍대군파(完豊大君派) 이원계(李元桂)

의안대군파(義安大君派) 이화(李和)

 

태조

진안대군파(鎭安大君派) 이방우(李芳雨)

익안대군파(益安大君派) 이방의(李芳毅)

회안대군파(懷安大君派) 이방간(李芳幹)

의안대군파(宜安大君派) 이방석(李芳碩)

 

정종

의평군파(義平君派) 이원생(李元生)

순평군파(順平君派) 이군생(李群生)

선성군파(宣城君派) 이무생(李茂生)

종의군파(從義君派) 이귀생(李貴生)

진남군파(鎭南君派) 이종생(李終生)

수도군파(守道君派) 이덕생(李德生)

임언군파(林堰君派) 이녹생(李祿生)

석보군파(石保君派) 이복생(李福生)

덕천군파(德泉君派) 이후생(李厚生)

임성군파(任城君派) 이호생(李好生)

도평군파(桃平君派) 이말생(李末生)

장천군파(長川君派) 이보생(李普生)

정석군파(貞石君派) 이융생(李隆生)

무림군파(茂林君派) 이선생(李善生)

 

태종

양녕대군파(讓寧大君派) 이제(李禔)

효령대군파(孝寧大君派) 이보(李補)

성녕대군파(誠寧大君派) 이종(李種)

경녕군파(敬寧君派) 이비(李裶)

함녕군파(咸寧君派) 이인(李裀)

온녕군파(溫寧君派) 이정(李裎)

근녕군파(謹寧君派) 이농(李襛)

혜녕군파(惠寧君派) 이지(李祉)

희녕군파(熙寧君派) 이타(李袉)

후녕군파(厚寧君派) 이간(李衦)

익녕군파(益寧君派) 이치(李袳)

 

세종대왕 : 충녕대군파

임영대군파(臨瀛大君派) 이구(李璆)

광평대군파(廣平大君派) 이여(李璵)

금성대군파(錦城大君派) 이유(李瑜)

영응대군파(永膺大君派) 이염(李琰)

화의군파(和義君派) 이영(李瓔)

계양군파(桂陽君派) 이증(李璔)

의창군파(義昌君派) 이공(李玒)

한남군파(漢南君派) 이어()

밀성군파(密城君派) 이침(李琛)

수춘군파(壽春君派) 이현(李玹)

익현군파(翼峴君派) 이연(李璭)

영풍군파(永豊君派) 이전(李瑔)

영해군파(寧海君派) 이당(李瑭)

담양군파(潭陽君派) 이거(李璖)

 

세조

덕원군파(德源君派) 이서(李曙)

창원군파(昌原君派) 이성(李晟)

 

덕종

월산대군파(月山大君派) 이정(李婷)

 

예종

인성대군파(仁城大君派) 이분(李糞)

제안대군파(齊安大君派) 이현(李琄)

 

성종

계성군파(桂城君派) 이순(李恂)

안양군파(安陽君派) 이항(李行)

완원군파(完原君派) 이수()

회산군파(檜山君派) 이념(李恬)

봉안군파(鳳安君派) 이봉(李逢)

견성군파(甄城君派) 이돈(李惇)

익양군파(益陽君派) 이회(李懷)

이성군파(利城君派) 이관(李慣)

경명군파(景明君派) 이침(李忱)

전성군파(全城君派) 이변(李忭)

무산군파(茂山君派) 이종(李悰)

영산군파(寧山君派) 이전(李恮)

운천군파(雲川君派) 이인(李寅)

양원군파(楊原君派) 이희(李憘)

 

중종

복성군파(福城君派) 이미(李嵋)

해안군파(海安君派) 이희(李晞)

금원군파(錦原君派) 이영(李岭)

영양군파(永陽君派) 이거(李岠)

덕양군파(德陽君派) 이기(李岐)

봉성군파(鳳城君派) 이완(李岏)

덕흥대원군파(德興大院君派) 이초(李岹)

 

선조

영창대군파(永昌大君派) 이의(李口)

임해군파(臨海君派) 이진(李珒)

신성군파(信城君派) 이후(李珝)

순화군파(順和君派) 이보()

인성군파(仁城君派) 이공(李珙)

경창군파(慶昌君派) 이주(李珘)

흥안군파(興安君派) 이제(李瑅)

경평군파(慶平君派) 이늑(李玏)

인흥군파(仁興君派) 이영(李瑛)

영성군파(寧城君派) 이계(李㻑)

 

원종

능원대군파(綾原大君派) 이보(李俌)

 

인조

인조는 차남 봉림대군을 효종(봉림대군)으로 왕위를 계승함.

소현세자파(昭顯世子派) 이왕()

인평대군파(麟坪大君派) 이요(李㴭)

용성대군파(龍城大君派) 이곤(李滾)

숭선군파(崇善君派) 이징(李澂)

낙선군파(樂善君派) 이숙(李潚)

 

숙종

연령군파(延齡君派) 이훤(李昍)

 

장조

은언군파(恩彦君派) 이인(李裀)

은전군파(恩全君派) 이찬(李禶)

 

고종

의친왕파(義親王派) 이강(李堈)

 

 

5. 세종대왕의 자식과 아내

 

가족 관계

1부인 2부인 3부인 4부인 5부인 6부인 7부인 8부인 9부인

소헌왕후 심씨

 

(昭憲王后)

영빈 강씨

 

(令嬪)

신빈 김씨

 

(愼嬪)

혜빈 양씨

 

(惠嬪)

숙원 이씨

상침 송씨

장의궁주 박씨

의정궁주 조씨

혜순궁주 이씨

문종

 

수양대군 : 세조

안평대군

임영대군

광평대군

금성대군

평원대군

영응대군

정소공주

정의공주

화의군

계양군

 

의창군

밀성군

익현군

영해군

담양군

 

한남군

 

수춘군

영풍군

 

정안옹주

정현옹주

참고로 상침 송씨는 정식 후궁이 아닌 궁녀의 신분이고 궁주는

고려를 뒤엎고 새로운 나라를 세운 조선 초기에 고려의 제도를 따라서 내명부(內命婦)는 고려조의 영향을 받아 궁주(宮主). 옹주(翁主) 등으로 봉해졌다. 이렇게 시행하다보니 왕의 딸도 궁주, 왕과 잠자리를 같이한 왕의 여자도 궁주라는 혼란이 왔다. 실례로 태종과 원경왕후 사이에서 태어난 세종의 누이가 정선궁주, 경선궁주, 경안궁주, 정선궁주라 실록에 기록되어 있다. 세종의 여자도 궁주라 불리는 웃지 못 할 일이 벌어졌다.

 

 

6. 세종 대왕

 

소헌왕후 심씨

 

- 문종 : (이름), 1414 ~ 1452(생년월일)

- 세조(수양대군) : , 1417 ~ 1468

- 안평대군 : , 1418 ~ 1453

- 임영대군 : , 1419 ~ 1469

- 광평대군 : , 1425 ~ 1444

- 금성대군 : , 1426 ~ 1457

- 평원대군 : , 1427 ~ 1445

- 영응대군 : , 1434 ~ 1467

 

- 정소공주 : 1412 ~ 1424

- 정의공주 : 1415 ~ 1477, 연창위 안맹담(부마)

 

영빈 강씨

- 화의군 :

 

신빈 김씨

- 계양군 : , 1427 1464 8 15

- 의창군 : (or ),1428~1460 2 27

- 밀성군 : , 1430 1479 1 1

- 익현군 : (or ), 1431 ~ 1463 5 4

- 영해군 : , 1435 ~ 1477 5 5

- 담양군 : , 1439 1 8 ~ 1450 3 10

 

혜빈 양씨

- 한남군 : , 1429 ~ 1459 5 29

- 수춘군 : , 1431 ~ 1455

- 영풍군 : 1434 ~ 1456

 

숙원 이씨

 

- 정안옹주 : 1438 ~ 1461, 청성위 심안의

상침 송씨

- 정현옹주 : 1423 ~ 1480, 연창위 윤사로

 

- 정소공주 : 1412~1424 - 소헌왕후 소생

문종 : , 1414~1452 - 소헌왕후 소생

정의공주 : 1415~1477 - 소헌왕후 소생

세조(수양대군) : , 1417~1468 - 소헌왕후 소생

안평대군 : , 1418~1453 - 소헌왕후 소생

임영대군 : , 1419~1469 - 소헌왕후 소생

정현옹주 : 1423~1480 - 상침 송씨 소생

광평대군 : , 1425~1444 - 소헌왕후 소생

화의군 : , 1425 ~1460 - 영빈 강씨 소생

 

금성대군 : , 1426~1457 - 소헌왕후 소생

계양군 : , 1427~1464 - 신빈 김씨 소생

평원대군 : , 1427~1445 - 소헌왕후 소생

의창군 : , 1428~1460 - 신빈 김씨 소생

한남군 : , 1429~1459 - 혜빈 양씨 소생

밀성군 : , 1430~1479 - 신빈 김씨 소생

수춘군 : , 1431~1455 - 혜빈 양씨 소생

 

익현군 : , 1431~1463 - 신빈 김씨 소생

영응대군 : , 1434~1467 - 소헌왕후 소생

영풍군 : , 1434~1456 - 혜빈 양씨 소생

영해군 : , 1435~1477 - 신빈 김씨 소생

정안옹주 : 1438~1461 - 숙원 이씨 소생

담양군 : , 1439~1450 - 신빈 김씨 소생

 

 

전주 이씨 밀성군(密城君)

 

1430 (세종12)~ 1479(성종10) 조선 초기의 종실, 본관은 전주, 이르름은 침() , 자는 문지(文之), 세종의 다섯째 서자이며 어머니는 신빈김씨(愼嬪金氏)이다

 

총명과 지혜가 뛰어나 다른 아들들보다 부왕의 남다른 사랑을 받았다.

 

7세에 밀성군에 봉하여졌고, 세조가 잠저에 있을 때 우애도 남달이 돈독하였다. 세조가 왕위에 오르자 큰 일들은 반드시 그의 자문을 받았다.

 

오위도총부도총관, 갇 시의 도제조, 의금부도우, 등을 두루 역임하였으며 1468 (예종 즉위) 익대공신2, 1471 (성종2) 좌리공신2등에 각 각 책록되었다.

 

시호는 장효(章孝)이며 뒤에 효희(孝僖)로 고쳤다.

 

*잠저 : 왕세자와 같이 정상법통이 아닌 다른 방법이나 사정으로 임금으로 추대된 사람이 왕위에 오르기 전에 살던집, 또 그가 살던기간, 새로 나라를 세우거나 반정으로 임금에 오른 오른 뒤에는 대개 궁으로 승격하여 보호하였다. 조선시대의 대표적인 잠저로는 태조의 함흥본궁과 개성의 경덕궁, 인조의 저경궁과 어의궁, 철종의 용흥궁 과 영조의 창으궁등이 있었다.

 

진안대군(진안대군) 1354~1393)

 

조선왕족(태조의 맏아들)

전주이씨 진안대군파의 시조

 

본관 : 전주

본명 : 이방우(李芳雨)

시호 : 경효(敬孝), 진한정효공(辰韓定孝公), 정의(靖懿)

 

 

가족사항

 

: 조선 제1대 태조

: 승인순성신의고황후 한씨

외조부 : 한경

장인 : 문하찬성사(門下贊成事) 지윤(池奫)

부인 : 삼한국부인(三韓國夫人) 지씨(池氏)

동생(동복(동복) : 2대 정종, 익안대군 안양공 이방의, 회안대군 양희공 이방간, 3대 태종, 덕안대군 이방연, 경신공주, 경선공주,

 

全州李氏 전주 이씨  꽃다울 방 열매 과

 

정종대왕(定宗大王)

 

생물년도 : 1357~1419

즉위년도 : 1398~1400

본명 : 이방과(李芳果)

초명 : 이경(李曔

본적 : 서울시 종로구

본관 : 전주(全州)

: ()

 :  광원(光遠)

활동분야 : 조선 제2대 왕

활동분야 임금()

가족관계 전주이씨 태조대왕(太朝大王) 이성계(李成桂)  안변 한씨 신의왕후 한씨의 아들이며

 

형제(兄弟) : 전주 이씨 진안대군(진안대군) 이방우

        전주이씨 태종대왕(太宗大王) 이방원

        전주이씨 회안대군(懷安大君) 이방간

        전주이씨 익안대군(益安大君) 이방의

        전주이씨 덕안대군(德安大君) 이방연

        전주이씨 무안대군(무안대군) 이방번

        전주이씨 의안대군(의안대군) 이방석

 

이성계(태조) 8명의 아들들을 두었는데 신의왕후 강씨의 6명의 아들은,

 

첫째 이방우(李芳), 둘째 이방간(李芳幹)(정종), 셋째 이방의(李芳毅), 넷째 이방간, 다섯째 이방원(李芳遠)(태종), 여섯째 이방연(李芳衍) 경신공주, 경선공주. 등이 그들입니다.

 

신덕왕후 강씨(神德王后 康氏) : 무안대군(이방번),의안대군(이강석),경순공주

 

? : 의령, 숙신옹주.

 

2 : 정 종(定 宗-이방과,1357 ~ 1419).재위 1398 ~ 1400.

 

정안왕후 김씨(定安王后 金氏).

 

성빈 지씨(誠嬪 池氏)-덕천군(후생),도평군(말생).

숙의 지씨(淑儀 池氏)-의평군(원생),선성군(무생),임성군(호생),함양옹주.

숙의 기씨(淑儀 奇氏)-순평군(군생),금평군(의생),정석군(융생),무림군(선생),

 

숙신옹주.

 

숙의 문씨(淑儀 文氏) : 종의군(귀생).

숙의 윤씨(淑儀 尹氏) : 수도군(덕생),임언군(녹생),석보군(복생),장천군(보생),

 

인천옹주.

 

숙의 이씨(淑儀 李氏) : 진남군(종생).

 

? : 덕천, 고성, 상원, 전산, 함안옹주.

 

3 : 태 종(太 宗 : 이방원,1367 ~ 1432),재위 1400 ~ 1418.

 

원경왕후 민씨(元敬王后 閔氏) : 양녕대군(이제),효령대군(이보),

 

세종(충녕대군,이도),성녕대군(이종),정순,경정,경안,정선공주.

 

효빈 김씨(孝嬪 金氏) : 경녕군(이비).

 

신빈 신씨(信嬪 辛氏) : 성녕군(이인), 온녕군(이정), 근녕군(이표), 숙정, 숙녕, 숙경, 숙근옹주.

 

선빈 안씨(善嬪 安氏) : 익녕군(이갱).

의빈 권씨(懿嬪 權氏) : 정혜옹주.

소빈 노씨(昭嬪 盧氏) : 숙혜옹주.

숙의 최씨(淑儀 崔氏) : 희녕군(이타).

 

안씨(安氏) : 혜녕군(이지), 소숙, 경신옹주.

최씨(崔氏) : 후령군(이간).

김씨(金氏) : 숙안옹주.

이씨(李氏) : 숙순, 소선옹주.

4 : 세 종(世宗 : 이 도,1397 ~ 1450),재위 1418 ~ 1450.

 

소헌왕후 심씨(昭憲王后 沈氏) : 문종(이향),세조(수양대군, 이유),

안평대군(이용), 임영대군(이구), 광평대군(이여), 금성대군(이유). 평원대군(이임), 영응대군(이염),정소, 정의공주.

 

영빈 강씨(令嬪 姜氏) : 화의군(이영).

신빈 김씨(愼嬪 金氏) : 계양군(이증), 의창군(이공), 밀성군(이침), 익현군(이연), 영해군(이당),담양군(이거).

 

혜빈 양씨(惠嬪 楊氏) : 한남군(이어), 수춘군(이현), 영풍군(이전).

숙원 이씨(淑媛 李氏) : 정안옹주.

상침 송씨(尙寢 宋氏) : 정현옹주.

 

5 : 문 종(文 宗 : 이 향,1414 ~ 1452), 재위 1450 ~ 1452.

현덕왕후 권씨(顯德王后 權氏) : 단종(이홍위). 경혜공주.

사칙 양씨(司則 楊氏) : 경숙옹주.

 

6 : 단 종(端 宗 : 이홍위 1441 ~ 1457), 재위 1452 ~ 1455.

정순왕후 송씨(定順王后 宋氏).

 

7 : 세 조(世 祖 : 이 유,1417 ~ 1468),재위 1455 ~ 1468.

정희왕후 윤씨(貞熹王后 尹氏) : 덕종(의경세자,이숭=성종(자산대군)의 부친),

 

예종(해양대군, 이황). 의숙공주.

근빈 박씨(謹嬪 朴氏) : 덕원군(이서), 창원군(이성).

 

8 : 예 종(睿 宗 : 이 황 1450 ~ 1469),재위 1468 ~ 1469.

장순왕후 한씨(章順王后 韓氏) : 인성대군(이기).

 

안순왕후 한씨(安順王后 韓氏) : 제안대군(이현), 현숙공주.

 

9 : 성 종(成 宗 : 이 혈 1457 ~ 1494),재위 1469 ~ 1494.

 

공혜왕후 한씨(恭惠王后 韓氏).

 

정현왕후 윤씨(貞顯王后 尹氏) : 중종(진성대군, 이역),신숙공주.

 

폐비 윤씨(廢妃 尹氏) : 연산군(이융).

 

명빈 김시(明嬪 金氏) : 무산군(이종).

 

귀인 정씨(貴人 鄭氏) : 안양군(이항), 봉안군(이봉), 정혜옹주.

 

귀인 권씨(貴人 權氏) : 전성군(이변).

 

귀인 엄씨(貴人 嚴氏) : 공신옹주.

 

숙의 하씨(淑儀 河氏) : 계성군(이순).

 

숙의 홍씨(淑儀 洪氏) : 완원군(이수), 회산군(이염), 견성군(이돈), 익양군(이회)

 

경명군(이침),운천군(이인),양원군(이희),혜숙,정순,정숙옹주.

 

숙의 김씨(淑儀 金氏) : 휘숙, 경숙, 휘정옹주.

 

숙용 심씨(淑容 沈氏) : 이성군(이관), 영산군(이전), 경순, 숙혜옹주.

 

숙용 권씨(淑容 權氏) : 경휘옹주.

 

10 -연산군(燕山君;-이 융,1476 ~ 1506),재위 1494 ~ 1506.

 

폐비 신씨(廢妃 愼氏)-폐세자(이황),창녕대군(이인),공주.

숙의 윤씨(淑儀 尹氏)-양평군(이성),이돈수,옹주.

 

11 -중 종(中 宗-이 역,1458 ~ 1544),재위 1506 ~ 1544.

 

단경왕후 신씨(端敬王后 愼氏).

장경왕후 윤씨(章敬王后 尹氏)-인종(이호),효혜공주.

문정왕후 윤씨(文定王后 尹氏)-명종(경원대군,이환),의혜,효순,경현,

인순공주.

 

경빈 박씨(敬嬪 朴氏)-복성군(이미),혜순,혜정옹주.

희빈 홍씨(熙嬪 洪氏)-금원군(이영),봉성군(이완).

창빈 안씨(昌嬪 安氏)-영양군(이거),덕흥대원군(이초,선조의 부친),정신옹주.

숙의 홍씨(淑儀 洪氏)-해안군(이희).

숙의 이씨(淑儀 李氏)-덕양군(이기).

숙원 이씨(淑媛 李氏)-정순,효정옹주.

숙원 김씨(淑媛 金氏)-숙정옹주.

 

12 -인 종(仁 宗;-이 호,1515 ~ 1545),재위 1544 ~ 1545.

인성왕후 박씨(仁聖王后 朴氏).

   

13 -명 종(明 宗-이 환,1534 ~ 1568),재위 1545 ~ 1567.

인순왕후 심씨(仁順王后 沈氏)-순회세자.

   

14 -선 조(宣 祖-이 균,1552 ~ 1608),재위 1567 ~ 1608.

의인왕후 박씨(懿仁王后 朴氏).

인목왕후 김씨(仁穆王后 金氏)-영창대군(이의),정명공주.

공빈 김씨(恭嬪 金氏)-임해군(이진),광해군(이혼).

인빈 김씨(仁嬪 金氏)-의안군(이성),신성군(이후),원종(이부,인조의 부친),

의창군(이광),정신,정혜,정숙,정안,정휘옹주.

순빈 김씨(順嬪 金氏)-순화군(이보).

정빈 김씨(靜嬪 金氏)-인성군(이공),인흥군(이영),정인,정선,정근옹주.

정빈 홍씨(貞嬪 洪氏)-경찬군(이주),정정옹주.

온빈 한씨(溫嬪 韓氏)-흥안군(이제),경평군(이늑),영성군(이계),정화옹주.

 

15 -광해군(光海君-이 혼,1575 ~ 1641),재위 1608 ~ 1623.

문성군 부인 유씨(文城君 夫人 柳氏)-폐세자(이지),

숙의 윤씨(淑儀 尹氏)-옹주.

 

16 -인 조(仁 祖-이천윤,1595 ~ 1649),재위 1623 ~ 1649.

인열왕후 한씨(仁烈王后 韓氏)-소현세자(이왕),효종(이호,봉림대군),

인평대군(이요),용성대군(이곤).

장열왕후 조씨(莊烈王后 趙氏).

귀인 조씨(貴人 趙氏)-숭선군(이징),낙선군(이숙),효명옹주.

 

17 -효 종(孝 宗-이 호,1595 ~ 1649),재위 1649 ~ 1659.

인선왕후 장씨(仁宣王后 張氏)-현종(이연),숙신,숙안,숙명,숙휘,숙정,

숙경공주.

안빈 이씨(安嬪 李氏)-숙녕옹주.

 

18 -현 종(顯 宗-이 연,1641 ~ 1674),재위 1659 ~ 1674.

명성왕후 김씨(明聖王后 金氏)-숙종(이순),명선,명혜,명안공주.

 

19 -숙 종(肅 宗-이 순,1661 ~ 1720),재위 1674 ~ 1720.

인경왕후 김씨(仁敬王后 金氏)-공주 2.

인현왕후 민씨(仁顯王后 閔氏).

인원왕후 김씨(仁元王后 金氏).

희빈 장씨(禧嬪 張氏)-경종(이윤).

숙빈 최씨(淑嬪 崔氏)-영조(이금,연잉군).

명빈 박씨(瞑嬪 朴氏)-연령군(이훤).

 

20 -경 종(景 宗-이 윤,1688 ~ 1724),재위 1720 ~ 1724.

단의왕후 심씨(端懿王后 沈氏).

선의왕후 어씨(宣懿王后 魚氏).

 

21 -영 조(英 祖;-이 금,1694 ~ 1776),재위 1724 ~ 1776.

정성왕후 서씨(貞聖王后 徐氏).

정순왕후 김씨(貞純王后 金氏).

정빈 이씨(靖嬪 李氏)-진종(이행,효장세자).

영빈 이씨(暎嬪 李氏)-장조(이선,사도세자,정조의 부친),화평,화협,화완옹주

귀인 조씨(貴人 趙氏)-화유옹주.

숙의 문씨(淑儀 文氏)-화령,화길옹주.

 

22 -정 조(正 祖-이 산,1752 ~ 1800),재위 1776 ~ 1800.

효의왕후 김씨(孝懿王后 金氏).

의빈 성씨(宜嬪 成氏)-문효세자(이돈).

수빈 박씨(綏嬪 朴氏)-순조(이공),숙선옹주.

 

23 -순 조(純 祖-이 공,1790 ~ 1834),재위 1800 ~ 1834.

순원왕후 김씨(純元王后 金氏)-익종(이호,효명세자),명온,복온,덕온공주.

숙의 박씨(淑儀 朴氏)-영온옹주.

 

24 -헌 종(憲 宗-이 환,1827 ~ 1849),1834 ~ 1849.

효현왕후 김씨(孝顯王后 金氏).

명헌왕후 홍씨(明憲王后 洪氏).

궁인 김씨(宮人 金氏).

 

25 -철 종(哲 宗-이원범,1831 ~ 1863),재위 1849 ~ 1863.

철인왕후 김씨(哲仁王后 金氏).

귀인 박씨(貴人 朴氏).

귀인 조씨(貴人 趙氏).

숙의 방씨(淑儀 方氏).

숙의 범씨(淑儀 范氏)-영혜옹주.

궁인 이씨,궁인 김씨,궁인 박씨.

 

26 -고 종(高 宗;-이재황,1852 ~ 1919)재위 1863 ~ 1907.

명성황후 민씨(明成皇后 閔氏)-순종(이척).

귀인 이씨.

귀비 엄씨(貴妃 嚴氏)-영친왕(이은).

귀인 이씨-완왕(이선).

귀인 장씨-의왕(이강).

소의 이씨.

귀인 정시.귀인 양씨-덕혜옹주.

 

27 -순 종(純 宗-이 척,1874 ~ 1926),재위 1907 ~ 1910.

순명효황후 민씨(純明孝皇后 閔氏).

순정효황후 윤씨(純貞孝皇后 尹氏).

 

 

☞ 세종대왕(世宗大王)에 대()하여

 

세종(世宗)은 태종(太宗)의아들이다. 어머니는 원경황후 민씨이다.

1408(태종8)충녕군(忠寧君)으로 봉()해졌고 1412년 충녕대군(忠寧大君)으로 진봉(進封)되었으며

14186월 왕() 세자(世子)로 책봉(冊封)되었다가 태종(太宗)의 양위(讓位)를 받아 왕()으로 즉위(卽位)하였다.

세종(世宗) ()에는 우리민족 역사상(歷史上) 가장 훌륭한 유교정치 찬란한 문화(文化)가 기록(記錄)된 시대(時代)였다. 또 집현전(集賢殿)을 통()해 많은 인재(人才)가 배출(輩出)되었다.

세종(世宗) ()의 전개(展開)된다. 양하고방대한 편찬(編纂)사업(事業)은 이 시대(時代)의 문화수준(文化水準)을 높이는데 기본(基本)이 되었다.

이사업을 통()하여 문화적(文化的)으로 사상적(思想的) 정리(整理)가 이루어졌고 정치(政治) 제도의 기틀이 잡혀갔다.

훈민정음(訓民正音)의 창제는 세종(世宗)이 남긴 문화유산(文化遺産)가운데 그 중()에서 가장 빛나는 것 일뿐만이 아니라 우리 민족문화유산(民族文化遺産) ()에서도 가장 훌륭한 것임에 틀림없다. 또 세종(世宗) 시기(時期)에는 과학기술(科學技術)도 큰 발전(發展)을 보았다.

혼천의 간의 해시게(앙부일구) 물시계(자격루) ()을 만들었다.

세종(世宗)의 자녀(子女) 18 4녀를 두었다.

세종(世宗)은 많은 업적(業績)을 남기고 간 위대(偉大)한 조선(朝鮮) 4() ()이다.

 

옛 사람이 말하기를, ‘나라에 훌륭한 임금이 있으면 사직의 복이 된다.’고 하였다. 효령대군(忠寧大君)은 자질이 미약하고, 또 성질이 심히 곧아서 개좌 하는 것이 없다. 내 말을 들으면 그저 빙긋이 웃기만 할 뿐이므로, 나와 중궁은 효령이 항상 웃는 것만을 보았다. 충녕대군은 천성이 총명하고 민첩하고 자못 학문을 좋아하여, 비록 몹시 추운 때나 몹시 더운 때를 당하더라도 밤이 새도록 글을 읽으므로, 나는 그가 병이 날까봐 두려워하여 항상 밤에 글 읽는 것을 금지하였다. 그러나, 나의 큰 책은 모두 청하여 가져갔다. 또 치체를 알아서 매양 큰일에 헌의하는 것이 진실로 합당하고, 또 생각 밖에서 나왔다. 만약 중국의 사신을 접대할 적이면 신채와 언어 동작이 두루 예에 부합하였고, 술을 마시는 것이 비록 무익하나, 그러나, 중국의 사신을 대하여 주인으로서 한 모금도 능히 마실 수 없다면 어찌 손님을 권하여서 그 마음을 즐겁게 할 수 있겠느냐? 충녕은 비록 술을 잘 마시지 못하나 적당히 마시고 그친다. 또 그 아들 가운데 장대한 놈이 있다. 효령대군은 한 모금도 마시지 못하니, 이것도 또한 불가(不可)하다. 충녕대군이 대위를 맡을 만하니, 나는 충녕으로서 세자를 정하겠다.” 태종실록 18 6 13

 

 

7. 전주이씨(全州李氏) 세종대왕에서 분파한 지파 항렬표(行列表)

시조()

선계

시조: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제왕

파조: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3

태종太宗

후령군

厚寧君

길배

吉培

익녕군

益寧君

24

세종世宗

세(世)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임영대군

瀛大君

종한

宗漢

광평대군

廣平大君

금성대군

錦城大君

정규

약원

시엽

貞奎

若元

始燁

영응대군

永膺大君

재용

경도

인배

성수

상용

명열

지영

載龍

景道

仁培

聖洙

相龍

明烈

址英

화의군

和義君

태규

상준

泰奎

商俊

계양군

桂陽君

경천

복성

홍건

석화

敬天

復誠

弘健

碩和



8. 전주 이씨(全州 李氏) 집성촌(集成村)

 

- 경기도 연천군 중면 도연리

- 충청남도 부여군 초천면 추양리

- 전라북도 부안군 부안읍 서외리

- 전라남도 나주시 금천면 완곡리

- 경상북도 문경군 가은읍 왕릉리

- 평안북도 정주군 신안면 연봉리

- 평안북도 정주군 고덕면 관해리

- 함경남도 북청군 평산면 용전리

- 함경북도 길주군 동해면 석성동

 

 

9. 전주 이씨(全州 李氏) 인구수(人口數)

 

1985년 인구조사에서는 2,379,537명이 있었다.

2000년 통계청이 발표한 결과에 의하면 전주 이씨는 808,511가구 총 2,609,890명이 있는 것으로 되어 있다.

 

 

끝으로 님의 건강과 행복이 충만 하시기를 빌겠습니다.

2018.08.02.

도움이 되었다면 UP 눌러주세요!
UP이 많은 답변일수록 사용자들에게 더 많이 노출됩니다.
2번째 답변
프로필 사진
Beoul
달신
축구 선수, 감독 7위, 전통 예절, 의식 52위, 피파시리즈 분야에서 활동
본인 입력 포함 정보

"○용(○容) → 희○(喜○) → ○석(○錫) → 순○(淳○) → ○근(○根)" 순서로 항렬자(돌림자)가 이어지는 파는 "성녕대군파"입니다. 아래 첨부드린 항렬자 일람표와 같이 질문자님의 '○석(○錫)' 항렬은 성녕대군의 16대손(17세손)이자 전주이씨의 시조 이한으로부터는 40세손에 해당합니다. 




성녕대군은 태종의 막내아들로서 세종(충녕대군)의 동생입니다. 성녕대군은 후사가 없이 14살의 어린 나이에 홍역으로 인해 생을 마감하였습니다. 이에 세종의 셋째 아들인 '안평대군'이 성녕대군의 계자(양자)로 뒤를 이어 봉사손(조상의 제사를 맡아 받드는 자손)으로서 성녕대군의 제사를 모시도록 했습니다. 그러나 안평대군은 형인 세조(수양대군)과 정치적 갈등관계에 있었고 계유정난 때 김종서, 황보인 등과 역모를 꾀했다는 명목으로 유배를 받고 결국 사사(임금이 내린 독약으로 죽음)됩니다. 안평대군의 아들들도 이 때 모두 연좌제로 주멸되어 직계자손의 대가 완전히 끊어져 버립니다(안평대군의 후손임을 숨기고 은거한 후손이 있다고 하지만 확실치는 않음). 이렇게 안평대군 가문이 멸족되어 다시 성녕대군의 대가 끊기게 되자 성녕대군의 둘째 형 효령대군의 여섯째 아들 '원천군'이 성녕대군의 양자로 들어가 대를 잇게 됩니다. 원천군으로부터 비롯된 성녕대군파 후손들은 이후로도 종손의 대가 끊기거나 임진왜란, 병자호란 등으로 화를 입어 후손이 크게 번창하지는 못하였습니다. 따라서 족보상으로는 성녕대군파이지만 성녕대군의 직계가 아닌 양자가 후사를 이었으므로 혈통으로 따져보면 효령대군(원천군), 세종(안평대군 - 은거한 후손이 사실일 경우)과 관련이 있습니다.


그리고 덧붙여 지식인에서 세종을 굳이 충녕대군이라 표현하는 분들이 많아 여러 번 말씀드렸지만, 임금으로서 세종이란 묘호로 널리 알려지고 대왕이라는 수식어까지 붙는 분을 왕자 때의 군호인 충녕대군으로 격하시켜 부르는 것은 조상을 욕보이는 표현이니 삼가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2018.08.04.

  • 채택

    질문자가 채택한 답변입니다.

도움이 되었다면 UP 눌러주세요!
UP이 많은 답변일수록 사용자들에게 더 많이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