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49.214.32
3.149.214.32
close menu
KCI 등재 SCOPUS
갑상샘안병증에서 건성안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
Risk Factors for Dry Eye in Thyroid-Associated Ophthalmopathy
김재련 ( Jae Ryun Kim ) , 임혜빈 ( Hye Bin Yim ) , 정성근 ( Sung Kun Chung )
UCI I410-ECN-0102-2012-320-002151319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구매가 불가능한 자료입니다.

목적: 갑상샘안병증 환자에서 건성안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2004년 1월부터 2009년 5월까지 갑상샘안병증으로 진단된 78안을 대상으로 각 환자들에서 안구표면자극증상, 눈물막파괴시간, 쉬르머 검사를 비롯해 성별, 나이, 갑상샘 호르몬 상태, 눈꺼풀틈새폭, 토안, 눈꺼풀후퇴, 안구돌출을 측정하여 건성안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을 다중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해 알아보았다. 결과: 눈꺼풀틈새(OR=3.422 p=0.022)와 토안(OR=13.068 p=0.049)이 건성안에 대한 유의한 위험인자였다. 그 외 성별, 나이, 갑상샘 호르몬상태, 눈꺼풀후퇴, 안구돌출은 건성안과 의미 있는 연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눈물막파괴시간이 10초 미만일 때의 위험인자로는 눈꺼풀틈새가 유일한 연관된 인자였고(OR=2.787 p=0.045), 쉬르머검사가 10 mm 미만일 때의 유의한 위험인자는 없었다. 결론: 갑상샘안병증 환자에서 건성안에 대한 위험인자로는 눈꺼풀틈새폭과 토안이다. <대한안과학회지 2011;52(7):771-776>

Purpose: To investigate the risk factors for dry eye in thyroid-associated ophthalmopathy patients. Methods: The present retrospective study was conducted on 78 eyes in 39 patients diagnosed with thyroid-associated ophthalmopathy. The risk factors for dry eye in thyroid-associated ophthalmopathy patients were examined by analyzing data including tear break-up time, Schirmer`s test, age, gender, thyroid function status, palpebral fissure width, lagophthalmos, eyelid retraction, and exophthalmos through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Results: The risk factors for dry eye disease were palpebral fissure width (OR = 3.422, p = 0.022) and lagophthalmos (OR = 13.068, p = 0.049). Age, gender, thyroid hormone status, eyelid retraction and exophthalmos did not show significant association with dry eye in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he only risk factor for tear film break-up time less than 10 seconds was palpebral fissure width (OR = 2.787, p = 0.045), and none of the risk factors for Schirmer`s test less than 10 mm at 5 minute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Conclusions: Risk factors for dry eye in thyroid ophthalmopathy patients were palpebral fissure width and lagophthalmos. J Korean Ophthalmol Soc 2011;52(7):771-776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