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AVER

질문 여의도에 대하여..내공50
ui**** 조회수 6,861 작성일2003.06.22
1 조선시대 여의도는 어떤 곳이었나?
2 일제시대 여의도의 모습은 어떠한가?
3 여의도 종합개발사업으로 변화된 여의도의 모습을 설명하시오
프로필 사진

답변자님,

정보를 공유해 주세요.

1 개 답변
1번째 답변
프로필 사진
magi****
영웅
수학 97위, 사회학, 지구과학 분야에서 활동
본인 입력 포함 정보

안녕하세요... 마쌤입니다.

 

  여의도(汝矣島)의 지명은 지금부터 450여년 전 중중(中宗) 25년(1530)에 편찬된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에서부터 보이는데 거기에는「잉화도(仍火島)」로 되어 있다.  그 후 330여년을 지나 고종(高宗) 원년(1864)에 이루어 진 것으로 추정되는 고산자 김정호의 「대동지지(大東地志)」권(卷)1 한성부(漢城府) 도서조(島嶼條)에는 다시 저자도(楮子島), 율도(栗島)와 함께 잉화도 대신 여의도(汝矣島)의 이름이 보인다. 이 여의도에는 또 다른 「나의주(羅衣洲)」라는 명칭이 있기도 하였다.

  여의도, 나의주의 유래는 여의도가 홍수로 인하여 휩쓸릴 때에도 제일 높은 곳인 지금 국회의사당이 자리잡은 「양말산」만은 물 속에 잠기지 않고 나타나 있어 부근 사람들이 그것을 「나의섬」,「너의섬」하고 지칭하던 데에서 얻어진 이름이라 하기도 한다.

  여의도의 「양말산」은 옛날부터 말이나 양을 기르던 중심지가 되었기 때문에 「양마산(養馬山)」또는 「양마산(羊馬山)」의 의미로 그렇게 불리어 온 것이라고도 한다.

  조선조 후기 영조시대에 와서는 여의도가 한 민간마을로 인정을 받게 되었다. 영조(英祖) 27년(1751)에 도성수비를 위하여 작성, 발간된 수성책자(守城冊子)인「도성삼군문분계총록(都城三軍門分界總錄)」에 의하면, 훈련도감 우정(右停)에 속한 북부(北部) 연희방(延禧坊)의 여러 동계(洞契)중 여의도계(汝矣島契)가 있음을 볼 수 있다. 1911년에 여의도는 연희면(延禧面)에 속했으며, 1914년에는 여의도는 건너편의 율도와 함께 용산면(龍山面)과 서강면(西江面)을 합한 고양군(高陽郡) 용강면(龍江面)의 여율리(汝栗里)로 개편되어 서울에서 떨어져 나갔다. 1936년에는 고양군으로 편입되었던 지역을 대부분 서울로 편입하고 동리명을 아예 일제식의 정(町)으로 바꾸었는데, 이 때 고양군 용강면 여율리로 되어 있던 여의도와 율도는 여의도정(汝矣島町)으로 되었다. 1943년 율도는 마포구의 율도정(栗島町)으로 되고, 남은 여의도정은 영등포구의 여의도정이 되었다. 1946년 여의도정은 여의도동(汝矣島洞)으로 되었다.

 조선시대에 목축장이나 척박한 농지로 사용되던 여의도는 일제때 황정이라는 일본인이 이곳에 목장을 설치하기도 했고, 경마장으로 쓰이기도 했으나 세태변화와 함께 세상에 널리 알려지게 된 것은 1916년 비행장을 만들면서부터 였다.

 

즉 1920년 5월 25일 이탈리아의 비행기 두대가 동경으로 가는 길에 여의도에 착륙함으로써 신기하게 여긴 10여만명의 시민이 모여들어 대대적인 환영속에 이착륙을 지켜보았다.
이로부터 2년뒤인 1922년 12월 10일, 우리나라 최초의 비행사인 안창남이 고국방문비행을 시도하여 여의도에서 시범비행을 보이자 인산인해를 이룬 시민들로부터 환호와 박수갈채를 받았다.
1929년 4월에는 여의도비행장이 일본-한국-만주를 잇는 항공수송의 요지로 되어 크게 넓혀졌다. 일제때는 이 비행장을 경성항공사 가 이용했고, 광복후에는 KNA항공사가 한때 이용했으며 1953년 부터는 국제공항으로 사용되었다. 그러나 이 비행장은 여름철 장마때면 침수로 사용이 불가능해지자 1958년에 김포공항으로 국제공항을 이전했다. 따라서 여의도비행장은 공군기지로만 사용되다가 1971년 2월에 폐쇄되었다.

여의도비행장에는 광복 직후인 8월 18일에 광복군 지휘관과 미군사절단 일행이 중국의 서안을 떠나 C-47수송기를 타고 착륙했다. 이들은 일본군에 징집된 한국군인을 인수하고 일본군의 무기접수를 지휘하고자 하였으나 일본군의 철수 요구에 응하고 말았다.

 

여의도에는 없다. 제주도에는 있고 보길도에도 있다. 울릉도에도
있지만 독도에는 없다. 답은 전신주. 여의도에서는 전선, 상하수도,
가스관을 모두 땅속으로 묻었기 때문이다.

이름 그대로 너나 가지라던 섬, 여의도(汝矣島)는
여의도종합개발사업으로 화려한 변신을 시작했다. 섬 주위로는
윤중제(輪中堤)를 쌓고 그 안에는 모래를 부어 넣었다.
경부고속도로를 놓은 그 열정과 의욕으로 반듯한 섬이 하나
완성되었다. 화려한 도시의 꿈이 무르익었다. 제대로 된 도로 체계도
제시되었다.

그러나 건축가의 계획을 이루기에 우리의 주머니는 너무 가벼웠다.
계획은 ‘현실적’인 방향으로 수정되었다. 크렘린광장이나
천안문광장에 버금가는 광장을 만들라는 대통령의 지시도 떨어졌다.
백성 앞에 관리가, 관리 앞에 군인이 오는 ‘군관민’의 시대였다.
보무도 당당한 군인들의 퍼레이드는 얼마나 중요한 연례행사였던가.
공영개발은 중지되고 토지매각이 시작되었다.

그러나 아무도 여의도로 움직이려고 하지 않았다. 얼마나 살기 좋은
곳인지를 보여주어야 하니 엘리베이터도 설치된 ‘첨단 고층’
시범아파트가 세워졌다. 여의도의 아파트 가격은 한동안 전국
최고치였다.

계획대로 아파트들은 하나 둘 들어섰는데 상업시설들은 시큰둥했다.
점심 사먹을 곳도 변변치 않은데 누가 사무소를 지으랴. 사무소
건물을 지으면 지하는 무조건 식당가가 되는 것이 여의도의 규칙이
되었다. 안 팔리는 상업용지는 구석구석을 떼내 아파트 지으라고
팔았다. 여의도에서는 아파트와 사무소 건물들이 이곳 저곳에서
섞이기 시작했다.

여의도도 이제 나이를 먹었다. 가로수의 키도 제법 커져 여름이면
매미 소리에 잠을 잘 수가 없다는 원성도 들린다. 가을이면 낙엽이
눈발처럼 날려 방송국에서 카메라를 들고 나서기도 한다. 올림픽도로
아래의 어두운 동굴을 통하지 않고 한강시민공원으로 연결되는
유일한 구간이니 인기도 좋다. 방송사도 증권사도 제대로 대접을
받으려면 사옥은 당연히 여의도에 자리잡고 있어야 한다.

여의도를 미국 뉴욕의 맨해튼처럼 만들자는 이야기도 나온다. 100층
높이의 건물들을 짓자는 제안이 수시로 등장하는 상황이니 맨해튼을
비교하는 건 무리도 아니었다. 그러나 높은 건물만으로 맨해튼을
이야기하면 당신이 본 건 그림엽서 속의 도시. 맨해튼의 증권가
월스트리트는 높은 건물들이 벽처럼 서 있어서 붙여진 이름이 아니다.
처음 뉴욕에 정착한 네덜란드인들이 원주민들의 공격을 막기 위해
방책을 쳐두었던 곳이 바로 월스트리트. 맨해튼은 고층건물만으로는
설명되지 않는다. 카네기홀과 링컨센터가 자리잡은 곳이 바로 맨해튼.
뉴욕 근대미술관, 메트로폴리탄 미술관, 구겐하임 미술관, 휘트니
미술관 등이 즐비하게 자리잡은 곳도 맨해튼. 여의도에 고층건물 말고
미술관이 들어설 예정이라는 이야기는 언제쯤이나 들려올까.

여의도광장이 공원으로 새 단장을 했다. 아스팔트를 들어내고 잔디와
나무를 심었다. 닮겠다고 하더니 정말 맨해튼의 센트럴파크를 염두에
두었는지도 모를 일이다. 방향은 옳았다. 공원은 광장보다 아름답다.
그러나 방법은 옳지 않았다. 사업기간 2년에 서둘러 만든 결과물은
거짓말을 하지 않는다. 완성된 여의도 공원은 과히 아름답지 않다. 이
공원의 가로등, 공중전화부스, 놀이터는 동네 아파트단지의 수준이다.

여의도 공원에는 자연생태의 숲, 문화의 마당도 있고 자전거도로,
산책로도 있다. 산책은 어슬렁거림이다. 그러나 두 사람이 걸으면
빠듯할만한 폭으로 이어진 퍼런 아스콘 길 2.4㎞는 지루하기만 한
산책로. 고향의 정취를 느끼라는 한국 전통의 숲도 있다.

갑자기 전통은 왜 여기서도 끼어 드는가. 소나무 옮겨 심고 정자를
지어놓는다고 고향의 정취가 생기던가. 팔각정이 있는 고향의 유년을
보낸 이는 지금 대한민국에 얼마나 되나. 당신의 할아버지는 더운
여름날 팔각정에서 합죽선 부치면서 낮잠 청하던 선비였는지 모른다.
어쩌면 그 시간에 허리가 새카맣게 타도록 밭에서 일하던
농부였는지도 모른다. 팔각정은 아직도 고향의 정취인가. 이 사회는
언제나 전통의 도식에서 벗어날 것인지. 센트럴파크를 설계한 이가
붙잡은 화두는 ‘민주’였다. 여의도 공원의 화두는 ‘낮잠’인가.

아닌 밤중에 홍두깨처럼 세종대왕도 출연하셨다. 말도 안 되는 한글
문장이 전국에 가득한데 동상만 만든다고 세종대왕의 업적이
기려지는가. 혼천의, 측우기, 자격루, 앙부일귀를 만들 때
세종대왕께서 하루를 재촉해 서둘렀다는 이야기는 들리지 않는다.
고려시대의 전통을 재현했다는 이야기도 들리지 않는다. 게다가
‘…나라를 위해 있는 힘을 다할 것을 이 동상 앞에 머리 숙여 엄숙히
맹세하자’고 하니 여의도는 아직도 전체주의 시대인가.

일제시대 안창남이 ‘날틀’을 타고 이륙한 곳이 여의도. ‘하늘에는
안창남, 땅 위에는 엄복동’이라고 우리 할머니, 할아버지들은 얼마나
기뻐하였던가. 국군의 날에는 안창남의 후예들이 팬텀기를 타고
여의도 상공에 나타났다. 오늘도 엄복동의 후예들은 여의도에서
자전거 바퀴를 굴린다.

센트럴파크에서 폴 사이먼이 100만 관중 앞에서 공연할 때,
여의도에서는 대통령 후보들이 그만큼의 군중을 모아놓고 사자후를
토했다. 당장 내일 아침이면 세상의 종말이 올지도 모른다고 또 다른
시민 100만명은 아스팔트 바닥에서 밤새 기도를 했다. 이것들이 모두
여의도의 역사다. 이런 과거는 묻어두고 세종대왕 동상과 팔각정을
옮겨놓는 것이 무슨 의미가 있는가.

세종대왕은 아무데서나 모실 분이 아니다. 비록 짧은 역사지만 오늘의
여의도를 만들면서 동상으로 남을 만큼 떳떳한 사람이 이리도 없는가.
없다면 차라리 자리라도 비워두자. 그 자리는 지금 공원에서
뛰어다니는 어린이들이 채워갈 몫이다.

 

http://seoulstory.netian.com/block/19Yeongdeung.htm#여의도동(汝矣島洞)

http://www.yeouido.com/local_info/YOIDO-info3.htm

http://rogi.home.uos.ac.kr/shinbiro/city/sh/%BF%A9%C0%C7%B5%B5%B0%F8%BF%F8.html

2003.06.22.

  • 채택

    질문자가 채택한 답변입니다.

도움이 되었다면 UP 눌러주세요!
UP이 많은 답변일수록 사용자들에게 더 많이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