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 메뉴로 바로가기 주제분류 메뉴로 바로가기 본문으로 바로가기

  • [ 1. 인도-파키스탄의 전쟁] 파키스탄과 인도는 오래 전부터 이슬람교와 힌두교 간의 종교적 대립이 있었다. 그리고 영국의 식민통치로부터 분리 독립하면서 그때 당시 양국의 갈등은 더욱 심해졌다. 특히 카시미르(Kashmir) 지역 영유권을 둘러싸고 양국은 두 차례의 전쟁을 치렀으며, 방글라데시의 독립과 관련해서 다시 한 차례의 전쟁을 치름으로써 양국 간 적대 관계가 계속되고 있다. 카시미르(Kashimir) 지역을 둘러싼 영유권 분쟁은 1947년 영국 식민지 하에서 인도가 신생국인 인도와 파키스탄으로 분리 독립될 당시부터 시작되었다. 카시미르 지역 인구의 절대다수(77%)를 차지하는 이슬람 측은 파키스탄에 귀속되고자 파키스탄 정부군의 지원 아래 반란을 일으켰다. 이에 카시미르 지역의 힌두교 영주인 마하라자(Maharaja)가 인도에 군사 지원을 요청하였다. 그에 따라 1947년 10월 제1차 인도-파키스탄 전쟁이 발발하였으며, 국제연합(UN, United Nations)의

  • 정식 국가 명칭은 파키스탄 이슬람공화국(Islamic Republic of Pakistan)이며, 우르두어로는 اسلامی جمہوریہ پاکِستان로 표기한다. 면적은 796,095 ㎢로 한반도의 약 3.5배이다. 인더스 강을 축으로 남북의 길이는 1600㎞이며, 동서의 길이는 885㎞이다. 인구는 2013년 9월 기준으로 1억 8,435만 명이다. 수도는 이슬라마바드(Islamabad)이며, 이슬라마바드 인구는 170만 명이다. 파키스탄 최대의 도시 카라치(Karachi) 인구는 2,000만 명이다. 민족은 아리안족(서북부와 펀자브주), 드라비다족(남부), 터키아리안족 외에 터키인, 페르시아인, 아랍인들의 혼혈족으로 구성되어 있다. 파키스탄의 국교는 이슬람교이며 국민의 96.28%가 이슬람교도(수니파 80%, 시아파 20%)이다. 그 외의 종교로는 힌두교와 기독교가 있다. 언어는 우르두어로, 우르두어는 전국적으로 통용되는 공용어이다. 파키스탄은 모든 공공문서에 영어

  • [ 1. 파키스탄의 지리] 파키스탄은 북위 23°30′~36°45′와 동경 60°55′~75°31′에 있다. 남서쪽은 이란, 서쪽과 북서쪽은 아프가니스탄, 동북쪽 일부는 중국, 동북쪽 대부분과 동쪽은 잠무·카슈미르(Jammu and Kashmir), 남동쪽은 인도와 접경한다. 남쪽은 아라비아 해와 가깝다. 파키스탄의 동북과 서북 방면은 산악지대이며, 인더스 강 유역 주변은 평원지대이다. 아프가니스탄으로 통하는 카이버 패스(Khyber Pass)는 인도아대륙(인도 반도)과 중앙아시아를 연결하는 통로이다. [ 2. 파키스탄의 기후] 파키스탄은 고온 건조한 아열대 기후이다. 기온은 영하에서 50℃까지 분포한다. 파키스탄의 계절은 3개로 구분할 수 있다. 1월부터 3월은 비교적 건조하다. 최저기온이 4℃이며, 최고 기온이 18℃로 서늘하다. 4월부터 9월은 혹서기로 낮 기온이 30℃에서 50℃까지 상승하며, 자코바바드(Jacobabad)의 경우 최고 52℃까지 올라간다(7월에서

  • [국가개황] [국가명] 파키스탄 이슬람공화국(Islamic Republic of Pakistan) [면적] 803,940㎢ (자료원: 파키스탄 외교부) [수도] 이슬라마바드(Islamabad) [인구] 241,490,000명 (자료원: 파키스탄 통계청(2023 기준)) [민족(인종)] 아리안족, 드라비다족, 희랍족, 터키족, 페르시아족, 아프간족, 아랍족, 모갈족 등 다양한 종족으로 구성되어 있으나, 인도 아리안계가 대부분을 이루고 있다. 종족 간 대립은 심각하지 않으나 경쟁의식과 자아의식이 강하고 지방별 언어 및 풍습이 상이하다. [언어] 국어는 우르두어(Urdu)이며, 영어는 상용·공용어이다. 지역별로 펀잡어, 신드어, 푸쉬트어, 발루치어 등 24개 지방 언어가 있다. [종교] 이슬람(96.5%), 개신교 및 힌두교 등(3.5%) / 이슬람 수니파(85%~90%), 시아파(10%~15%) [기후] 파키스탄은 넓은 면적 때문에 지역별로 다양한 기후를 보이고 있으나 일반적

  • 파키스탄의 사회·문화는 다음과 같이 나누어 살펴볼 수 있다. 1. 파키스탄의 주민   1) 파키스탄의 민족   2) 파키스탄의 인구   3) 파키스탄의 언어   4) 파키스탄의 종교 2. 파키스탄의 교육 3. 파키스탄의 보건 4. 파키스탄의 언론   1) 언론의 역사   2) 대언론 정책   3) 통신과 방송   4) 일간지와 잡지 5. 파키스탄의 문화 6. 파키스탄의 관광 7. 파키스탄의 공휴일

  • 파키스탄은 2010년~2011년 회계연도 기준으로 국내총생산(GDP, Gross Domestic Product)이 2,041억 달러이며, 1인당 소득은 1,254달러인 개발도상국이다. 농업이 국내총생산의 22%를 차지하며, 전체 노동력의 45%가 농업에 종사하는 농업중심국가이다. 또한 섬유, 화학, 스포츠용품, 통신산업이 발전한 준산업국가이다. 파키스탄은 2004년~2008년간 평균 6.6%의 경제성장을 이루었다. 그러나 2008년부터는 세계금융위기 및 악화된 치안 상황으로 외국인 투자가 급감하였다. 그리고 2010년~2011년간 2년에 걸쳐 발생한 홍수와 만성적인 전력부족 사태가 계속되면서 2009년~2010년도에 3.8%, 2010년~2011년도에는 2.4%의 매우 낮은 경제성장률을 기록하였다. 파키스탄의 국내총생산 구성 비중(2010/2011년도 기준)을 보면 서비스업이 53%, 제조업이 25%, 농업이 22%를 차지한다. 서비스업은 금융, 통신, 경비, 용역산업을

  • [ 가. 상거래 유의사항] [상거래 시 유의사항] 파키스탄 비즈니스맨들은 가격 협상 초기에 대폭의 가격 인하를 요구하는 경향이 많으며, 협상이 순조롭게 진행되더라도 수입 물품의 하자, 혹은 자국 경제 불안 등을 이유로 지속적으로 결제 대금 인하를 요구하는 경우가 있어 주의를 요한다. 제시한 가격에 대해 바이어가 동의 의사를 밝히고 비즈니스를 진행할 경우, 이메일 등을 통해 바이어가 가격을 수용한 기록을 남겨두는 것이 좋다. 파키스탄 비즈니스맨들은 한국 업체들과 상담 시 처음부터 독점 에이전트를 제의하는 경우가 많다. 또한 본인이 취급할 수 있는 물품이 아니더라도 일단 수용 가능하다고 주장하는 경향이 있으므로 주의를 요한다. 더 나아가 상담 초기에 바로 합작을 제의하는 경우도 매우 흔하다. 바이어들이 이와 같은 말을 할 때는 대개 그냥 던져보는 식의 언사가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이를 심각하게 받아들여서는 곤란하다. 특히 독점 에이전트 임명의 경우 매우 신중하게...

  • 파키스탄의 독립초기 역사는 1947년 8월부터 1958년 10월까지로 볼 수 있다. 파키스탄의 국부로 추앙 받던 무함마드 알리 진나가 초대 총독(Governor General)으로 선출되었다. 초대 총리에는 리아콰트 알리 칸(Liaquat)이 취임하였다. 신생 파키스탄은 법률 및 제도를 정비하고 국제연합(UN, United Nations)에 가입하는 등 독립국가로서의 기틀을 다져나갔다. 그러나 1948년 5월 인도와의 분쟁 지역인 카시미르에서 이슬람교도들의 무장봉기 사건이 발생하였다. 이 사건으로 인도, 파키스탄 양국이 군대를 파견하고 충돌함으로써 제1차 인도·파키스탄 전쟁이 발발하였다. 1949년 1월 국제연합의 중재 아래 휴전이 성립되었으나 파키스탄은 막대한 피해를 입었다.

  • [ 가. 비자] [종류 및 발급절차] 한국-파키스탄 정부 간에는 비자 면제 협정이 체결되어 있으나, 2000년대 초 미국의 아프가니스탄 공격 이후 출입국 보안 조치를 강화되며 비자 면제 협정이 한시적으로 유보된 상황이다. 그로 인해 2001년 9월 26일 이후부터 파키스탄에 입국하는 외국인은 모두 재외 공관에서 발행하는 유효한 비자를 취득해야 입국할 수 있으며, 이는 2023년 4월 기준 여전히 유효한 상황이다. 따라서 파키스탄 입국을 원하는 한국인들은 반드시 주한 파키스탄대사관 또는 영사관에서 입국 사증(비자)를 취득해야 파키스탄으로 입국할 수 있다. 관용여권 보유자의 경우 예외적으로 무비자 입국 후 3개월 체류할 수 있다. 2019년 5월부터는 파키스탄 e비자 신청 홈페이지(visa.nadra.gov.pk)를 통해 대사관을 직접 방문하지 않고 비자를 신청할 수 있다. 홈페이지 회원 가입 후 메인 화면 하단의 Apply Now 메뉴를 클릭하면 신청서 작성이 가능하며, 여

  • [ 가. 주요 경제지표] || 경제지표 || 2019 || 2020 || 2021 || 2022 || 2023 || | 경제성장률 (%) | 3.12 | -1.0 | 5.6 | 6.0 | -0.2 | | 명목GDP (십억$) | 318.48 | 299.3 | 347.74 | 348.3 | 338.9 | | 1인당 GDP (PPP, $) | 5,412 | 5,278 | 5,748 | 6,207 | 6,630 | | 1인당 명목 GDP($) | 1,488 | 1,371 | 1,555.4 | 1,550 | 1,295 | | 정부부채 (% of GDP) | 77.5 | 79.58 | 73.96 | 73.5 | 77.1 | | 물가상승률 (%) | 6.8 | 10.74 | 8.9 | 12.2 | 21.3 | | 실업률 (%) | 6.9 | 7.6 | 6.3 | 9.3 | 9.6 | | 수출액 (백만$) | 24,800 | 22,536 | 25,630 | 31,400 | 27,870

  • 파키스탄은 1947년 8월 영국으로부터 독립하였다. 독립 이전의 파키스탄 역사는 바로 인도 역사이기도 한다. 파키스탄의 역사는 고대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다음과 같이 나누어 볼 수 있다. 1. 파키스탄의 고대와 중세 2. 영국 식민통치(1858~1947.8)와 파키스탄의 독립 3. 파키스탄의 독립초기(1947.8~1958.10) 4. 무함마드 아유브 칸 정권(1958.10~1969.3) 5. 아그하 무함마드 야히아 칸 정권(1969.3~1971.12) 6. 줄피카르 알리 부토 정권(1971.12~1977.7) 7. 무함마드 지아 울 하크 정권(1977.7~1988.8) 8. 1차 베나지르 부토 정권(1988.11~1990.8) 9. 1차 무함마드 나와즈 샤리프 정권(1990.10~1993.7) 10. 2차 베나지르 부토 정권(1993.10~1996.11) 11. 2차 나와즈 샤리프 정권(1997.2~1999.10) 12. 페르베즈 무샤라프 정권(1999.10~2008.3)

  • 파키스탄의 정치는 다음과 같이 나누어 살펴볼 수 있다. 1. 파키스탄의 정치제도   1) 파키스탄의 행정부   2) 파키스탄의 의회     ① 파키스탄의 상원     ② 파키스탄의 하원   3) 파키스탄의 주의회   [참조] 파키스탄 민간정부와 군부와의 관계 2. 파키스탄의 헌법 3. 파키스탄의 정세와 향후 전망   1) 파키스탄의 2007년 정세 동향   2) 파키스탄의 2008년 정세 동향   3) 파키스탄의 2009년 정세 동향     ① 파키스탄 자르다리 정부의 불안정 속 현상유지     ② 파키스탄의 테러와의 전쟁, 신국면 진입     ③ 협력과 견제가 혼조된 파키스탄과 미국의 관계     ④ 인도-파키스탄의 관계 개선 노력 성과   4) 파키스탄의 2010년 정세 동향   5) 파키스탄의 2011년 정세 동향 4. 파키스탄의 주요 인사   1) 아시프 알리 자르다리(Asif Ali Zardari)   2) 유사프 라자 길라니(Yousaf Raza Gillani)

  • [ 1. 파키스탄의 민족] 파키스탄 인종의 대부분은 인도 아리안계이다. 이외에도 드라비다족, 희랍족, 터키족, 페르시아족, 아랍족, 무갈족이 있다. 파키스탄 독립 당시 인도에서 피난 온 무하지르족(Muhajirs)은 인종으로 분류되기도 하며 우르두(Urdu)어를 사용한다. 지방별 원주민은 펀자브인(Punjabi), 신드인(Sindhi), 발루치인(Baluchi), 파탄인(Pathans)으로 구분된다. 그리고 각 지방의 원주민들의 특성은 모두 다르다. 펀자브인은 인구의 56%를 차지하고 있으며 체격이 건장하고 활동적이어서 군과 관료사회를 지배하고 있다. 무함마드 지아 울 하크(Muhammad Zia ul-Haq) 전 대통령과 무함마드 나와즈 샤리프(Muhammad Nawaz Sharif) 총리는 펀자브주 출신이다. 과거에 지아 대통령은 펀자브주를 우선주로 통치하였다. 이는 다른 지방과의 갈등을 일으키는 원인이 되었으며 지역자치권 확대에도 장애가 되었다. 특히 이슬람 국가 최

  • 한국과 파키스탄의 관계는 다음과 같이 나누어 살펴볼 수 있다. 1. 파키스탄의 대(對)한반도 정책 2. 한국과 파키스탄의 경제·통상 관계   1) 한국과 파키스탄의 교역현황   2) 한국의 대(對)파키스탄 투자현황   3) 한국기업의 파키스탄 진출 현황 및 건설 진출 실적   4) 한국의 대(對)파키스탄 개발원조 지원 현황   5) 한국과 파키스탄의 항공협력   6) 한국과 파키스탄의 과학기술협력 3. 한국과 파키스탄의 교류 현황   1) 협정체결 현황   2) 파키스탄 내 한인 현황   3) 주요 인사 교류   4) 한국과 파키스탄 간 친선 단체   5) 한국 기업체의 파키스탄 진출 현황

  • [ 1. 농업] 파키스탄은 국토를 종단하며 흐르는 인더스 강(Indus River)을 수원으로 펀자브(Punjab) 평야를 비롯한 비옥한 곡창지대가 펼쳐져 있어 전통적으로 농산물이 풍부한 지역이다. 농업은 국내총생산(GDP, Gross Domestic Product)의 22%를 차지할 정도로 중요한 산업 비중을 차지한다. 주요 농산물은 면화, 소맥, 쌀, 옥수수, 사탕수수 등이며, 수출 주종 상품은 쌀, 면화 등이다. 특히 면화는 제조업의 선두 부분인 섬유공업의 주원료이다. 파키스탄은 농업의 생산성 향상을 위해 관개 시설을 확충하고 농지개량 및 농업기술을 보급하고 있다. 한편으로는 농업 설비 공급, 농산물 가격 보조, 농업금융 확대 정책을 실시하고 있다. 그러나 기술력이 낮고, 정보력이 약하며, 전문 농업 인력이 부족하여 생산성이 낮은 편이다. 단위: 천 톤 [파키스탄의 주요 농산물 생산현황] || 구분 || 2006년/2007년 || 2007년/2008년 || 2008년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