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 메뉴로 바로가기 주제분류 메뉴로 바로가기 본문으로 바로가기

시사상식사전

2차 북미정상회담(2019)

요약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2019년 2월 27~28일 베트남 하노이에서 가진 두 번째 정상회담이다. 2차 북미정상회담은 2018년 6·12 북미정상회담(1차)이 싱가포르 센토사섬에서 열린 지 8개월여 만에 성사된 것이다. 당초 2차 회담을 앞두고 북한의 비핵화 조치와 미국의 상응조치를 담은 합의가 이뤄질 것이라는 전망이 일었지만, 이틀째 회담에서 '제재 완화' 등을 둘러싼 양측의 합의 실패로 결렬에 이르렀다.

외국어 표기

北美頂上會談(한자)
2019 North Korea–United States summit(영어)

날짜

2019년 2월 27일 ~ 2월 28일

장소

베트남 하노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2월 27일 베트남 하노이 메트로폴 호텔에서 첫 만남을 가진 뒤 악수를 나누고 있다. (출처: 게티이미지 코리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2019년 2월 27~28일 베트남 하노이에서 가진 두 번째 정상회담이다. 2차 북미정상회담은 2018년  6·12 북미정상회담이 싱가포르 센토사섬에서 열린 지 8개월여 만에 성사된 양국 간 정상회담이다.

2018년 싱가포르 정상회담 당시 두 정상은 완전한 비핵화와 평화체제 보장, 북미 관계 정상화 추진, 6·25 전쟁 전사자 유해송환 등 4개항을 담은 포괄적인 공동성명 합의를 이룬 바 있다. 1차 북미정상회담이 70여 년간 적대 관계를 지속한 양국이 역사적인 첫 대면을 이루고 비핵화 협상의 토대를 구축했다면, 2차 정상회담에서는 북한의 비핵화 조치와 미국의 상응조치를 두고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성과물을 도출할 수 있을지가 주목됐다. 

2월 26일 베트남 하노이에 입성한 트럼프 대통령과 김정은 위원장은 2월 27일 오후 6시 30분(한국시간 오후 8시 30분) 첫 만남을 가졌으며, 30분간의 단독회담에 이어 1시간 30분 동안 친교 만찬을 가졌다. 그리고 회담 둘째 날인 2월 28일 북미 양측은 오전 단독회담을 시작으로 일정을 진행했으나, 확대회담 이후 업무오찬과 공동서명식 취소가 발표되면서 회담 무산 추측이 일었다. 이후 양 정상은 합의문 서명 등 추후 일정 없이 각자 숙소로 복귀했으며, 이후 백악관이 합의에 도달하지 못했다는 발표를 내놓으면서 회담 결렬이 공식화됐다.  


2차 북미정상회담 진행 일정

2월 27일: 친교만찬

2월 26일 베트남 하노이에 나란히 입성한 트럼프 대통령과 김정은 위원장은 2월 27일 오후 6시 30분(한국시간 오후 8시 30분) 정상회담 장소인 하노이 소피텔 레전드 메트로폴 호텔에서 첫 만남을 가졌다. 두 정상은 기자들 앞에서 잠시 환담한 뒤 30분간 단독회담을 했으며, 이후 1시간 30분 동안 친교 만찬을 가졌다. 특히 두 정상은 사각형 테이블에 앉았던 1차회담의 업무오찬 때와는 달리 이날은 원탁 테이블에 옆으로 나란히 앉아 주목을 받았다. 만찬에는 북측에서 김영철 노동당 부위원장과 리용호 외무상이, 미국측에서 마이크 폼페이오 국무장관과 밀 멀베이니 대통령 비서실장 대행이 배석했다.  

한편 두 정상은 정상회담 하루 전인 2월 26일 하노이에 입국했는데, 특히 김 위원장의 경우 비행기가 아닌 육로를 택하면서 정상회담 전부터 주목을 받았다. 김 위원장은 2월 23일 오후 5시 평양을 출발해 단둥(丹東), 선양(瀋陽), 톈진(天津), 스자좡(石家莊), 우한(武漢), 창사(長沙), 헝양(衡阳), 구이린(桂林), 류저우(州), 난닝(南寧)을 거치며 중국 내륙을 종단했다. 김 위원장의 전용열차는 4500여km에 달하는 거리를 65시간 40분 동안 달려 베트남 랑선성 동당역에 진입했다. 김 위원장은 동당역에서 베트남 정부 관계자 등의 영접을 받은 뒤 다시 하노이로 향했고, 2월 26일 오전 11시경 숙소인 하노이 멜리아 호텔에 도착했다.

또 트럼프 대통령은 2월 26일 오후 8시 57분(한국시간 오후 10시 57분) 하노이 노이바이 국제공항에 도착했다. 트럼프 대통령을 태운 전용차량은 이후 곧장 숙소인 JW메리어트 호텔로 출발, 오후 9시 47분(현지시간)께 숙소에 진입했다.

2월 28일: 북미 합의 실패, 회담 결렬

트럼프 대통령과 김정은 위원장은 2월 28일 하노이의 메트로폴 호텔에서 제2차 북미정상회담 이틀째 회담을 진행했다. 둘째날 회담은 오전 단독회담으로 시작해 확대회담 - 업무오찬 - 공동성명 서명식 순으로 이어질 예정이었으나, 확대회담 뒤의 업무오찬과 공동성명 서명식 취소가 발표되면서 회담 무산 추측이 일었다.

이후 양 정상은 합의문 서명 등 추후 일정 없이 각자 숙소로 복귀했으며, 백악관은 '건설적인 회담이었지만 합의에 도달하지 못했다. 향후 협상을 기대한다.'는 공식발표를 내놓으면서 회담 결렬을 공식화했다. 그리고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기자회견을 열고 2차 북미정상회담에서 합의가 도출되지 못한 이유에 대해 '제재완화 관련'이라고 밝혔다. 


2차 북미정상회담 장소인 베트남

2차 북미정상회담 개최지로 선정된 베트남은 2018년 1차 북미정상회담이 개최됐던 싱가포르와 마찬가지로 북미 양국과 우호적 관계를 유지하는 중립적인 위치라는 점에서 일찍부터 회담의 최우선 후보지로 꼽혀 왔다. 베트남은 사회주의 체제를 유지하면서도 시장개방과 경제발전에 성공을 거둔 국가로, 한때 미국과 전면전을 벌였다는 점에서 북한과 공통점이 있다.

미국 입장에서 베트남은 베트남전(1964∼1975년)을 거치며 적대적인 관계였다가 1990년대 미국의 경제제재 해제(1994)와 국교 정상화(1995) 등을 통해 동반자 관계로 발전한 국가다. 그리고 북한의 입장에서 베트남은 1950년 수교를 맺은 뒤 70년 가까이 긴밀한 관계를 유지해온 국가다. 특히 김정은 위원장이 국제사회의 오랜 고립에서 벗어나는 동시에 국가 경제 발전에 집중하고 있다는 점에서 베트남은 좋은 롤 모델로 지목되고 있다. 이는 베트남이 공산당 일당체제를 유지하면서도 외국 자본을 유치해 빠른 경제 성장을 이룬 국가이기 때문이다. 

하노이(Hanoi, 河內)는 어떤 곳?

'강(河)의 안쪽(內)에 있다'는 뜻을 지닌 하노이는 베트남 북부에 위치한 베트남의 행정수도다. 탕롱(승천하는 용) 등으로 불리다가 1831년 하노이로 명명됐으며, 1887년에는 프랑스령 인도차이나의 중심지 역할을 했다. 1946~1954년까지는 독립을 위한 1차 인도차이나 전쟁의 중심이었고, 1954년부터 베트남전이 끝날 때까지는 북베트남의 수도였다가 1976년 남베트남이 멸망하면서 통일 베트남의 수도가 됐다. 특히 하노이는 1986년 베트남을 국제사회의 고립에서 벗어나게 한 도이머이 개혁개방 정책의 심장부라는 상징성이 있다.

한편, 북한의 경우 김일성 북한 주석이 1958년 11월과 1964년 10월에 하노이를 방문해 호찌민 당시 주석과 정상회담을 가진 바 있어, 김 위원장에게는 54년여 만에 하노이를 찾은 북한 최고지도자가 됐다는 각별한 의미가 있다. 또 하노이에는 북한 대사관이 있어 경호·회담 준비 등이 용이하다는 장점도 있다.  

하노이
베트남 Hanoi, 호안끼엠 하노이
저장
관심 장소를 MY플레이스에 저장할 수 있어요. 팝업 닫기
'내 장소' 폴더에 저장했습니다.
MY플레이스 가기 팝업 닫기
전화
상세보기

2차 북미정상회담에 이르기까지

트럼프 대통령과 김정은 국무위원장은 2018년 6월 12일 싱가포르 센토사섬에서 사상 첫 북미 정상회담을 갖고 ▷새로운 북미 관계 수립 ▷한반도에서의 항구적인 평화체제 구축을 위한 공동 노력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를 위해 노력 ▷전쟁포로·행방불명자 유해 송환 등 4개항의 공동성명을 발표했다. 그러나 1차 북미정상회담은 미국과 북한의 첫 정상 간 만남이라는 점에서 전 세계의 관심을 끌었지만 포괄적인 합의에 그치면서, 한반도 비핵화의 실질적인 프로세스 진행을 위한 후속 조치는 2차 정상회담에서 논의될 것이라는 전망이 많았다.

하지만 2018년 7월 북미고위급회담에서 서로 입장차를 좁히지 못하면서 양국 관계는 한동안 냉각기가 지속됐다. 그러다 그해 9월 평양에서 남북정상회담이 열리면서 진전이 없던 비핵화 협상의 불씨가 다시 살아났고, 한미워킹그룹이 구성되면서 북미관계가 속도를 내기 시작했다. 그리고 2019년 들어 김 위원장이 육성 신년사를 통해 트럼프 대통령과 언제든 또다시 마주 앉을 준비가 됐다며 2차 정상회담에 직접 공개 호응하고, 트럼프 대통령도 이에 화답하면서 회담 개최가 다시 추진력을 받기 시작했다.

이후 1월 17∼19일 김영철 부위원장이 미국 워싱턴DC를 방문해 마이크 폼페이오 장관과 고위급회담을 가진 데 이어 트럼프 대통령을 면담했다. 당시 김영철 부위원장은 김정은 위원장의 친서를 전달했으며, 트럼프 대통령 역시 김 위원장에게 친서를 보내면서 정상회담 개최에 대한 긍정적 전망을 높였다. 여기에 1월 19~21일 스톡홀름에서 최선희 북한 외무성 부상과 비견 특별대표 간 첫 실무회담이 열렸고 2차로 평양협상, 3차 하노이에서 북미정상회담 직전까지 실무접촉이 계속되면서 비핵화와 상응조치를 둘러싼 의제조율이 이뤄졌다. 그리고 2월 5일 트럼프 대통령은 신년 국정연설(State of thee Union Address)에서 2차 북미정상회담 일정과 장소를 공식화한 데 이어, 2월 8일 트위터를 통해 2차 북미정상회담이 베트남 하노이에서 열릴 것이라고 밝혔다. 


북미정상회담 연혁

· 2018년 6·12 북미 정상회담 (2018년 6월 12일, 싱가포르 센토사섬 카펠라 호텔) 

마지막 수정일

  • 2019. 02. 28.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 등에 따라 법적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외부 저작권자가 제공한 콘텐츠는 네이버의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