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AVER

질문 경주 이씨 돌림자와 강산 노씨 돌림자...
leju**** 조회수 2,358 작성일2018.06.10
경주 이씨 돌림자와 강산 노씨 돌림자 알려주세요
일단 경주 이씨는 아버지대 형제들이 이광ㅇ로 돌림이 되고 저희는 이승기 이정은 으로 이름이 내려 왔습니다

광주 (강산)노씨는 어미니때가 영으로 돌림 됐습니다 노영ㅇ로요
궁금해요 ^^
프로필 사진

답변자님,

정보를 공유해 주세요.

1 개 답변
1번째 답변
프로필 사진
ryul****
수호신
전통 예절, 의식 1위, 사회문화 1위, 폭행 15위 분야에서 활동
본인 입력 포함 정보

님의 질문에 답변을 합니다.

 

경주 이씨 돌림자와 강산 노씨 돌림자 알려주세요
일단 경주 이씨는 아버지대 형제들이 이광ㅇ로 돌림이 되고 저희는 이승기 이정은 으로 이름이 내려 왔습니다

답변 : 님은 경주 이씨이시군요.

 

 경주 이씨는 각파가 통합된 대동 항렬표를 씁니다. 이런 관계로 파는 찾아 드릴 수가 없습니다.

이런 점을 양해가 있으시길 바랍니다.

 

아래에 항렬표를 올려드릴테니 한번 대조해서 찾으시기 바랍니다.

 

대동 항렬표에서 찾아본 결과로는,

 

아버지 광자 → 님은 승자 기자로 이어지는 돌림자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찾으시려면 좀더 윗대로 올라가 대조해 보시기 바랍니다.

 

고조부님 : 시조 ?세 / 중시조 ?자 돌림이라 하셨고, 

증조부님 : 시조 ?세 / 중시조 ?세 ?자 돌림이시며, 

조부님 : 시조 ?세 / 중시조 ?세 ?자 돌림이시고, 

부친님 : 시조 ?세 / 중시조 ?세 광⊙자 돌림이라 하셨으며,

님은 : 시조 ?세 / 중시조 ?세 승자 기자 두자 중에 한자가 돌림이라 하셨습니다.

  

님은 경주 이씨 뼈대 있는 가문의 후손이시니 자긍심을 가지시기 바랍니다.

 

한문과 한글을 병행하오니 참고하시고 한문을 쓰는 이유는 한문에는 그 깊은 뜻이 담겨있기 때문입니다. 이점 양해가 있으시기 바랍니다.

 

아래는 경주 이씨에 대한 정보입니다.

 

 

경주 이씨(慶州 李氏) 에 대()하여

 

1. 경주 이씨(慶州 李氏) 시조(始祖) : 이알평(李謁平)

2. 경주 이씨(慶州 李氏) 유래(由來) :

 

시조(始祖) 표암공(瓢巖公) 이알평(李謁平)은 박혁거세(朴赫居世) 탄생(誕生) 설화(說話)에 나오는 초기(初期) 신라(新羅) 6촌 중 알천 양산촌(閼川 楊山村 : 급량부)의 촌장(村長)이다. 이알평(李謁平)은 신라(新羅)의 좌명공신(左命功臣)으로 <경주이씨대종보>에 의하면 박혁거세(朴赫居世)가 왕()이 된 뒤 아찬(阿粲)에 올라 군사(軍事)업무(業務)를 장악(掌握) 했으며 32(신라 유리왕 9)에 양산촌 이씨(李氏)로 성()을 하사(下賜) 받았다고 한다. 신라(新羅) 법흥왕(法興王) 23년 익호(謚號)를 문선공(文宣公)으로 하였고, 무열왕(武烈王) 3년 은열왕(恩烈王)으로 추봉(追封)되었다고 한다.그러나 그 후()의 후손(後孫)에 대()한 계대(繼代)가 전()해지지 않아 이알평(李謁平) 36세손(世孫)이며 신라(新羅) 때 소판(蘇判) 벼슬을 지낸 진골(眞骨) 출신(出身)인 이거명(李居明) 1세조(世祖)로 하고 있다.

 

 

3. 경주 이씨(慶州 李氏) 세계도(世系圖)

 

시조 : 이알평(李謁平) 표암공(瓢巖公)

2 :

3 :

4 : 중가

5 :

6 : 문상

7 :

8 :

9 :

10 : 기정

11 :

12 : 성립

13 :

14 :

15 :

16 : 선장

17 : 기첨

18 : 인흥

19 :

20 : 선정

21 :

22 : 태휘

23 :

24 :

25 :

26 : 경지

27 :

28 :

29 : 한로

30 : 계탕

31 :

32 : 사언

33 :

34 : 희두

35 :

36 : 거명(居明) 소판공(蘇判公)

 

원대손 : 거명(居明)

2 : 금현(金現)

3 : 금서(金書)

4 : 윤홍(潤弘)

5 : 승훈(承訓)

6 : 주복(周復)

7 : ()

8 : 치연(侈連)

9 : 총섬(寵暹)

10 : 춘정(春貞)

11 : 현복(玄福)

12 : 선용(宣用)

13 : 승고(升高)

14 : 득견(得堅)

15 : 중시조(中始祖) () 열헌공(悅軒公)

16 : 인정(仁挺)

17 : 파조(派祖)

 

이하는 항렬표를 참고하세요.

 

 

4. 경주 이씨(慶州 李氏) 본관(本貫) 연혁(沿革)

 

본관소재지 : 경상북도(慶尙北道) 경주(慶州)

 

경주(慶州)는 경상북도(慶尙北道) 남동부(南東部)에 위치(位置)한 지명(地名)으로 기원전(紀元前) 57년에 6(六村)이 연합하여 고대국가(古代國家)를 형성(形成), 국호(國號)를 서라벌(徐羅伐사로(斯盧사라(斯羅)로 하고, 수도(首都)를 금성(金城)이라 하였다. 65(신라 탈해왕 9) 시림(始林)에서 김씨(金氏) 시조(始祖)가 탄생(誕生)하여 국호(國號)를 계림(鷄林)으로 칭()하기도 하였으나, 별칭(別稱)으로 사용(使用)하였다. 307(기림왕 10)에 최초(最初)로 국호(國號)를 신라(新羅)로 하였다. 935(고려 태조 18) 신라(新羅) 마지막 임금인 경순왕(敬順王)이 왕건(王建)에 항복(降伏)하자 경주(慶州)로 개칭(改稱)하고 식읍(食邑)을 주었고, 그를 사심관으로 삼았다. 비로소 처음으로 경주(慶州)라는 명칭(名稱)이 생겼다. 987(성종 6) 동경(東京)으로 개칭(改稱)하고 유수(留守)를 두어 영동도(嶺東道)에 속()하게 하였다. 1008(목종 11) 때 낙랑군(樂浪郡)이라 별칭(別稱)하다가 1030(현종 21) 삼경(三京)의 제도가 실시(實施)되자 동경(東京)을 설치(設置)하고 충렬왕(忠烈王) 때 계림부(鷄林府)로 개편하였다. 1202(신종 5) 경주(慶州) 야별초의 반란(叛亂)으로 지경주사(知慶州事)로 강등되었다가 1219(고종 6) 동경으로 환원되었다. 1413(태종 13) 계림부를 경주부(慶州府)로 개칭(改稱)한 이후(以後) 1415년 병마절도사(兵馬節度使)영을 두었다가 1417년 울산(蔚山)으로 이전(移轉)하였다. 1637(인조 15)에 속현(屬縣)인 자인현이 분리(分離) 독립(獨立)하였다. 1895(고종 32) 군면 폐합으로 경주군(慶州郡)이 되었고, 1955년 경주읍(慶州邑)과 내동면 전역, 천북면과 내남면 일부가 통합되어 경주시(慶州市)로 승격(昇格)했으며, 경주군(慶州郡)은 월성군(月城郡)으로 개칭(改稱)되었다. 1989년에는 월성군(月城郡)이 경주군(慶州郡)으로 개칭(改稱)되었다. 1955년에는 경주군(慶州郡)과 통합(統合)하여 시()로 승격(昇格)하였다.

 

 

5. 경주 이씨(慶州 李氏) 가문(家門)의 번영(繁榮)

 

경주 이씨(慶州 李氏)는 고려(高麗) ()에 크게 세력(勢力)을 떨쳤고 조선(朝鮮)에 들어와서도 문과(文科) 급제자(及第者) 178, 상신 8, 대제학(大提學) 3명을 비롯하여 10여 명의 공신(功臣)과 많은 학자(學者)와 명신(名臣)을 배출(輩出)하였다.

 

오성대감(鰲城大監)으로 널리 알려진 조선조(朝鮮朝) 4대 명재상(名宰相)의 한 사람인 백사(白沙) 이항복(李恒福)의 묘는 경기도(京畿道) 포천군 가산면 금현리에 있다.

의정부(議政府)에서 포천 가는 43번 도로로 축석령을 넘으면 송우리가 나온다. 하송우리에서 우회전하여 316번 도로를 따라 가산 쪽으로 약 2Km 정도 가다 보면 우측에 "백사 이항복(李恒福) 묘소 입구"라는 표시판이 나온다.

이 표시판을 따라 우측(右側)으로 구불구불한 마을길을 따라 가보면 정면2칸 측면1칸의아담한 사당이 나오는데 사당 뒤 야트막한 동산에 이항복 묘와 부인인 권율 장군 딸 안동권씨(安東權氏) 묘가 나란히 쌍묘로 있다.

8대파 중 상서공파의 백사(白沙) 이항복(李恒福)집안에서 가장 많은 인물을 배출하였고, 세칭 8() 집으로 불리 우는 익재공파와 이완(李浣) 대장을 낳은 국당공파가 그에 버금간다.

경주이씨(慶州李氏)가 조선(朝鮮)에 배출한 상신·문형 가운데 백사집에서 영의정 4, 좌의정(左議政) 2, 대제학(大提學) 2명이 나왔고, 8별집에서 좌의정(左議政)과 대제학(大提學) 1, 국당공파 중의 정순공(靖順公) 이성중(李誠中) 후손(後孫)에서 좌의정 1명이 나와 이들 3파가 사실상 경주이씨(慶州李氏)의 주축을 이루었다.

 

 

6. 경주 이씨(慶州 李氏) 익재공파(益齋公派) 익재공(益齋公)에 이제현(李齊賢) ()하여

 

1287(충렬왕13)부터, 1367(공민왕16)살다 돌아가신 고려(高麗) 때의 문신(文臣), 학자(學者)이며 시인(詩人)이신 이 분은 자는 중사, 호는 익재, 시호는 문충이시다.

검교정승 진의 아들로, 1301(충렬왕 27) 성균시에 장원, 이어 문과에 급제하여, 1303년 권무봉선고판관, 연경궁 녹사 등을 거쳐 1308년 예문춘추관에 등용되어, 제안부 직강을 지낸 후 이듬해 사헌 규정을 지내고, 1310(충서왕 2) 선부산랑, 다음해 전교시승도 지내고, 삼사 판관 등을 역임, 1312년 서해도 안렴사로 나갔다가 성균 악정, 풍저창사를 지냈다.

이듬해 내부 부령, 풍저감 두곡을 역임, 1314(충숙왕 1) 백이정의 문화에서 정주학을 공부, 이해 원나라에 있던 충선왕이 만권당을 세워 그를 불러들이자 연경에 가서 원나라 학자 요수염, 조맹부 등과 함께 고전을 연구했다. 이듬해 선부 의랑, 성균 제주가 되고, 1316년 진현관 제학에 승진, 다음 해 선부 전서로 원나라에 가서 상왕의 생일을 축하했다.

1319년 충선왕을 수행하여 중국 강남지방을 유람, 이듬해 지밀직사에 올라 단성익찬공신이 되고, 이 해 원나라에 갔다가 충선왕이 빠이앤투그스의 모함을 받고 유배되자 그 부당함을 원나라에 밝혀 1323년 풀려나오게 했다. 다음해 광정대부밀직사사에 승진, 1325년 추성양절공신이 되고 정당문학으로 김해군에 봉해지고, 1336년 삼중다광. 영예문관사에 올랐다.

1339년 심왕 고가 모역을 하다 실패하자 원나라에 충숙왕을 모함, 원사, 두린등이 왕을 잡아가자, 이 때 연경에 가서 사실을 해명하고 이듬해 귀국, 시골에 은거했다. 1343 (충혜왕 복위 4) 원나라 사신이 왕을 포박해 가므로 글을 올려 사명을 요청했고, 이듬해 판삼사사에 복직, 서연관이 되었다.

1348(충목왕 4) 충목왕이 죽자 제조경사도감으로 원나라에 가서 풍정왕의 승습을 요청했고,1351년 공민왕이 즉위하여 우정승 권당정동성사로 발탁, 도첨의정승을 지냈다. 이듬해 동덕협의창화공신에 오르고, 1353년 사직했다가 다음해 우정승에 재임, 1365년 문하시중의 관작에 올랐다.

이어 사직하고, 저술과 학문연구에 전심했다. 1362 홍건적의 침입 때 왕을 청주에 호종, 이해 계림부원군에 봉해졌고, 만년에 은퇴한 뒤, 왕명으로 실록을 편찬했다. 당대의 명문장가로 외교문서에 뛰어났고, 정주학의 기초를 확립했고, 원나라 조명부의 서체를 고려에 도입하여 널리 유행시켰다.

원나라의 진감여라는 인물이 그의 초상화를 그리고, 탕병용이 찬을 썼는데, 그 필적과 그림이 국보로 지정되어 현재 국립미술관에 보관되고 있다. 익재난고 소악부에 17수의 고려의 민간 가요를 한시 칠언절구로 번역하여, 이것이 오늘날 고려가요 연구의 귀중한 자료가 되고 있다. 사후에 공민왕 묘정에 배향되었고, 경주의 귀강서원, 금천의 도산서원에 제향되었다

근대(近代) 인물(人物)로는 초대 부통령(副統領)을 지낸 이시영(李始榮)과 삼성그룹의 이건희회장이 있다.

 

이제현 (李齊賢 12871367 (충렬왕 13공민왕 16))

 

설명

고려(高麗) 말기(末期) 문신(文臣학자(學者시인(詩人). ()는 중사(仲思), ()는 익재(益齋실재(實齋역옹. 초명(初名)은 지공(之公). 본관은 경주(慶州). 1301(충렬왕 27) 성균시에 장원(壯元)하고 이어 문과(文科)에 급제(及第)하였다. 1303년 권무봉선고판관·연경궁녹사를 거쳐 예문춘추관·사헌규정에 발탁됨으로써 본격적인 벼슬길에 올랐다. 1314(충숙왕 1) 상왕 충선왕의 부름을 받아 중국 원()나라 연경(燕京)의 만권당에 머물면서 원나라 학자 요수(姚燧원명선(元明善조맹부 등과 교유하여 학문과 식견을 넓혔다. 그 뒤 3번의 중국대륙여행을 통해 문학적인 체험을 넓혀 많은 작품을 남겼다. 아울러 국내에서는 성균좨주(成均祭酒판전교시사(判典校寺事선부전서(選部典書)를 거쳐 1320년 지밀직사사가 되면서 단성익찬공신의 호를 받았고, 1325년 첨의평리·정당문학에 전임됨으로씨 재상의 지위에 올랐다. 그 뒤 충숙왕·충혜왕이 중조(重祚)하는 등 정국혼란이 일어나고 1339(충숙왕 복위 8) 충혜왕이 궁지에 몰리자 원나라에 가서 왕을 변호하여 문제를 해결하고 돌아왔으나 소인들에게 몰려 은퇴했다. 이때 역옹패설을 저술했다. 1351년 공민왕이 즉위한 뒤 우정승·권단정동성사를 거쳐 도첨의정승을 지냈다. 1356년 문하시중(門下侍中)에 오르고 1362년 계림부원군(鷄林府院君)에 봉해졌다. 말년에는 민지(閔漬) 본조편년강목(本朝編年綱目)을 중수하고 충렬왕(忠烈王충선왕(忠宣王충숙왕(忠肅王)의 실록(實錄)을 편찬(編纂)하는데 참여했다. 당대(當代)의 명문장가로, 외교문서에도 뛰어났고, 성리학(性理學)을 수용, 발전시키는 데 큰 역할을 했다. 경주(慶州) 구강서원, 금천(金川) 도산서원에 제향되고 공민왕(恭愍王) 묘정에 배향되었다. 저서에 익재난고(益齋亂藁)가 있는데, 역옹패설과 함께 익재집이라 한다. 시호(諡號)는 문충(文忠).

 

경주 이씨(慶州 李氏) 국당공파(菊堂公派)이고 유명(有名)하신 이유태선생(李惟泰先生)이시지요.

아래 짧게 설명(說明)을 하였으니 참고(參考) 하시기 바랍니다.

 

謁平(알평), 天瑞(천서), 瓢巖(표암), 諡號(시호) 文宣公(문선공). 恩烈王(은열왕)에 추대됨.지금으로부터 약2160여년전 시조(始祖)께서 진한땅 瓢巖逢(표암봉)에 하강 양산 촌장(村長)으로 부족을 다스리다, 신라(新羅) 개국공신(開國功臣)으로 신라(新羅) ()에 임금님을 키우신 아버지이시다.

 

중시조(中始祖)

휘는 居明(거명). 蘇判公(소판공). 신라(新羅) 시대(時代) 좌명공신이시다. 시조(始祖)로 부터는 36세손이시다.신라(新羅) 진골출신인 거명(居明)을 중시조(中始祖)로 하고, 시조(始祖)의 발상지(發祥地)인 경주(慶州)를 본관(本貫)으로 하여 세계(世系)를 이어왔다. 경주이씨(慶州李氏)의 세계(世系)는 거명(居明) 17세손(고려 말기)에서 8파로 대별(大別)되고 다시 아래로 내려오면서 대소(大小) 70여 파()로 분파(分派)된다.  8대파(代派)는 평리공파, 이암공파, 익재공파, 호군공파, 국당공파, 부정공파, 석탄공파 가 그에 버금간다.

 

전통(傳統)의 명문거족(名門巨族)인 경주 이씨(慶州 李氏)는 고려말(高麗末)에 크게 세력(勢力)을 떨쳤고, 조선조(朝鮮朝)에 와서도 수()많은 공신(功臣) 학자(學者) 명신(名臣)을 배출(輩出)하여 명문(名門)의 대()를 이었다.  가문(家門)을 대표(代表)하는 인물(人物) ()에 상서공파의 백사 이항복(李恒福)의 집안에서 가장  많은 인물(人物)을 배출(輩出)하였으며, 익재공파 공린의 집안과 국당파인 매죽헌 완의 집안에서는 훌륭한 상신 및 문형이 배출(輩出)되어 경주이씨(慶州李氏)의 주축(主軸)을 이루었다. 

 

 

7. 경주 이씨(慶州 李氏) 계파(系派)

 

중시조(中始祖)는 소판공(蘇判公) 이거명(李居明)이다.

경주(慶州)이씨는 중시조(中始祖) 이거명의 17~21세손에서 크게 14파로 나뉘고 다시 아래로 내려오면서 크고 작은 70여개 파로 분파(分派)된다.

- 평리공파(評理公派) : 16세손 이인정(李仁珽)을 파조(派祖)로 한다

- 이암공파(怡庵公派) : 17세손 이관(李琯)을 파조(派祖)로 한다.

- 익재공파(益齋公派) : 17세손 이제현(李齊賢)을 파조(派祖)로 한다.

- 호군공파(護軍公派) : 17세손 이지정(李之正)을 파조(派祖)로 한다.

- 국당공파(菊堂公派) : 17세손 이천을 파조(派祖)로 한다.

- 부정공파(副正公派) : 17세손 이매(李邁)를 파조(派祖)로 한다.

- 상서공파(尙書公派) : 17세손 이과를 파조(派祖)로 한다.

- 사인공파(舍人公派) : 17세손 이수(李蓚)를 파조(派祖)로 한다.

- 판전공파(判典公派) : 15세손 이강을 파조(派祖)로 한다.

- 월성군파(月城君派) : 21세손 이지수(李之秀)를 파조(派祖)로 한다.

- 직장공파(直長公派) : 19세손 이양오(李養吾)를 파조(派祖)로 한다.

- 석탄공파(石灘公派) : 19세손 이존오(李存吾)를 파조(派祖)로 한다.

- 진사공파(進士公派) : 19세손 이양중(李養中)를 파조(派祖)로 한다.

- 교감공파(校勘公派) : 19세손 이존사(李存斯)를 파조(派祖)로 한다.

 

평리공파에서 분파한 지파

전서공파

검교공파

어모공파

판서공파

사정공파

승지공파

세촌공파

아산공파

야은공파

이암공파에서 분파한 지파

 

익재공파에서 분파한 지파

운와공파

밀직공파

한림공파

교리공파

군수공파

소경공파

판윤공파

참군공파

직장공파

청호공파

마곡공파

현감공파

 

호군공파에서 분파한 지파

대사헌공파

평시령공파

창평공파

좌랑공파

사미정공파

제사당공파

생원공파

장육당공파

참판공파

진사공파

한당공파

서계공파

벽오공파

화곡공파

호군공파

 

17 : 국당공파(菊堂公派) 이천(李蒨)에서 분파(分派)한 지파(支派)

18 : 문정공파 경중(敬中)

19 : 참판공파 육()

20 : 부령공파 정석(廷碩)

21 : 참의공파 동()

22 : 참판공파 길안(吉安)

23 : 대사간공파 감()

24 : 현감공파 주신(周臣)

25 : 병참공파 윤() 퇴사암공파

로정공파

정순공파

청백리공파

송와공파

충무공파

오제공파

퇴사암공파

일매당공파

삼은공파

양옹공파

찬성공파

정익공파

퇴제공파

사유재공파

지퇴당공파

선무랑공파

세마공파

좌랑공파

석천공파

계공랑공파

은율공파

대사헌공파

현감공파

봉사공파

 

부정공파에서 분파한 지파

충간공파

수찬공파

참의공파

경양군파

심재공파

상서공파에서 분파한 지파

검교공파

양평공파

봉사공파

첨정공파

주부공파

진사공파

찬성공파

선무랑공파

천휴당공파

보덕공파

정익공파

백사공파

행헌공파

사정공파

 

사인공파에서 분파한 지파

판전공파에서 분파한 지파

감찰공파

사정공파

호계공파

월성군공파에서 분파한 지파

오천군파

판서공파

대사헌공파

당재공파

직장공파에서 분파한 지파

석탄공파에서 분파한 지파

진사공파에서 분파한 지파

교감공파에서 분파한 지파

상호군파

도사공파 하나!

 

평리공파 대 전서공파 검교공파 어모공파 판서공파 사정공파 승지공파 세촌공파 모산공파 야은공파

이암공파 대

익재공파 대  

운와공파 밀직공파 한림공파 교리공파 군수공파 소경공파 판윤공파 참군공파 직장공파 청호공파 마곡공파 현감공파

 

호군공파 대 대사헌공파 평시령공파 창평공파 좌랑공파 사미정공파 제사당공파 생원공파 장육당공파 참판공파 진사공파 한당공파 서계공파 벽오공파 화곡공파 호군공파

국당공파 대문정공파 로정공파 정순공파 청백리공파 송와공파 충무공파 오제공파 퇴사암공파 일매당공파 삼은공파 양옹공파 찬성공파 정익공파 퇴제공파 사유재공파 지퇴당공파 선무랑공파 세마공파 좌랑공파 석천공파 계공랑공파 은율공파 대사헌공파 현감공파 봉사공파

제정공파

학사공파

부정공파 대충간공파 수찬공파 참의공파 경양군파 심재공파

상서공파 대검교공파 양평공파 봉사공파 첨정공파 주부공파 진사공파 찬성공파 선무랑공파 천휴당공파 보덕공파 정익공파 백사공파 행헌공파 사정공파

사인공파 대

판전공파 대감찰공파 사정공파 호계공파

월성군공파 대 오천군파 판서공파 대사헌공파 당재공파

직장공파 대

석탄공파 대

진사공파 대

 

  

8. 경주 이씨(慶州 李氏) 주요(主要) 세거지(世居地)

 

- 전라남도 영암군 영암읍 망호리(4백여년 전 세거)

- 전라북도 완주군 봉동면 성덕리

- 경상북도 포항시 일원

- 경상북도 경주시 일원

- 경상북도 영천시 고경면 오룡동

- 경상북도 영천시 화북면 자천동

- 경상북도 경산시 자인면

- 경상북도 경산시 용성면

- 경상북도 경산시 진량면 일원

- 경상북도 청도군 매전면 관하동

- 경상북도 청도군 청도읍 고수동

- 경상북도 상주시 낙동면 일원

- 충청북도 청원군 문의면 소전리

- 충청북도 청원군 부용면 문곡리

- 충청남도 보령시 남포면 월전리

- 충청남도 보령시 미산면 풍계리

- 충청남도 논산시 성동면 원북리

- 충청남도 서산시 남면 달산리

 

 

9. 경주 이씨(慶州 李氏) 대동(大同) 항렬표(行列表)

 

35

36

37

38

39

40

()

()

()

()

()

()

()

 

 

 

 

 

 

41

42

43

44

45

46

()

()

()

()

()

()

()

()

()

()

 

 

 

 

 

 

47

48

49

50

51

52

()

()

()

()

()

()

 

 

 

 

 

 

53

54

55

56

57

58

()

()

()

()

()

()

 

 

 

 

 

 

59

60

61

62

63

64

()

()

()

()

()

()

()

()

 

 

 

 

 

 

65

66

67

68

69

70

()

()

()

()

()

()

()

()

()

()


 

10. 경주 이씨(慶州 李氏) 항렬(行列) 글자의 뜻

 

35 : (영화로울 영),    

36 : (서옥 규),

37 : (술잔 종, 모을 종),

38 : (비 우)

39 : (서로 상

40 : (빛날 희), (빛날 형)

41 : (있을 재

42 : (냄비 호), (자물쇠 건)

43 : (건널 제). (깊을 준

44 : (동녁 동)

45 : (남역 병), (마음 심)

46 : (가르칠 교), (대 세)

47 : (진압할 진

48 : (구할 구)

49 : (뿌리 근

50 : (화할 섭)

51 : (가파를 준

52 : (착할 선)

53 : (클 태

54 : (법 모)

55 : (솥귀 현

56 : (고를 균)

57 : (녹일 용

58 : (순박할 순)

59 : (잡을 병)  

60 : (빛날 경) (뛰어날 걸)

61 : (터 기

62 : (보배 옥)

63 : (물 락). (길 영)

64 : (심을 식)

65 : (큰 덕

66 : (두루 주), (일어날 기)

67 : (큰 쇠북 용)   

68 : (넓을 호), (물이름 수)

69 : (살 주),(비단 채

70:(불길 훈),(빛날 엽)

 

 

11. 경주 이씨(慶州 李氏) 시조(始祖) 중시조(中始祖) 항렬표(行列表)

시조(70세손),

중시조(35세손)

()

71세손,

36세손

()

72세손,

37세손

()

73세손,

38세손

()

74세손,

39세손

()

75세손,

40세손

(

()

76세손,

41세손

()

77세손,

42세손

()

()

78세손,

43세손

()

()

79세손,

44세손

()

80세손,

45세손

()

()

81세손,

46세손

()

()



 12. 경주 이씨(慶州 李氏) 대동(大同) 항렬(行列)을 최초로 만든 시기

 

1865년경 고종(高宗) 황제(皇帝) 초기(初期) 흥선대원군(興宣大院君)께서 섭정(攝政)을 하고 계실 때 전국(全國)에 왕명(王命)으로 () 性氏(성씨) 들은 各己(각기) 行列字(하열자)를 이에 따라 작명(作名)하고 長派(장파)의 항렬자(行列字)를 따라 統一(통일)해서 性名(성명)만보더라도 그貫鄕(관향) 과 항렬(行列)을 단번에 알아보고 서로敦睦(돈목)하고 위  아래  次序(차서) 混同(혼동)해서  망발(妄發)되는 일이 없게 하라고 하셨다.

 

 

13. 경주 이씨(慶州 李氏) 계파(系派)

 

- 평리공파(評理公派)

- 이암공파(怡庵公派)

- 익재공파(益齋公派)

- 호군공파(護軍公派)

- 국당공파(菊堂公派)

- 부정공파(副正公派)

- 상서공파(尙書公派)

- 사인공파(舍人公派) 등이다.

 

 

14. 경주 이씨(慶州 李氏) 지손(支孫) 계통(系統),

 

- 판전공파(判典公派)

- 시랑공파(侍郞公派)

- 석탄공파(石灘公派) 등이 있다.

한편 경주이씨 분파도(分派圖)에는 전술한 10본의 분적종 중 성주이씨와 우계이씨는 거명의 윗대에서 분파되었으며 나머지는 그 아랫대에서 분파된 것으로 나타나 있다. 경주이씨는 고려 말에 크게 세력을 떨쳤고 조선에 들어와서도 문과 급제자 178, 상신 8, 대제학 3명을 비롯하여 10여 명의 공신과 많은 학자, 명신을 배출하였다. 8대파 중 상서공파의 백사(白沙:李恒福)집이 가장 많은 인물을 배출하였고, 익재공파의 세칭 8() 집과 완() 대장을 낳은 국당공파가 그에 버금간다. 경주이씨가 조선에 배출한 상신·문형 가운데 백사집에서 영의정 4, 좌의정 2, 대제학 2명이 나왔고, 8별집에서 좌의정과 대제학 각 1, 국당공파 중의 정순공(靖順公:誠中) 후손에서 좌의정 1명이 나와 이들 3파가 사실상 경주이씨의 주축을 이루었다. 고려말의 대학자이자 외교가, 문장가, 충신이기도 했던 익재(益齊) 이제현(李齊賢. 1287~1367)이 고려 때의 경주 이씨를 대표한다. 이제현은 충선왕부터 공민왕까지 다섯 임금을 섬기며 여러 방면에 공적을 남겼고 문장가였을 뿐만 아니라 탁월한 외교가였다.

 

조선시대에는 8형제가 모두 문장에 뛰어나 8문장으로 꼽히는 박팽년의 사위인 이공인(李公麟)의 아들들과 임진왜란이 터지자 유성룡을 도와 병참 책임을 맡는 등 큰 활약을 한 이시발(李時發)을 비롯하여, 오성과 한음의 일화로 유명한 오성대감 이항복은 임진왜란 때 5차례나 병조판서를 역임하여 국난을 수습, 전후 정승에 올라 당쟁 을 막는데 힘쓴 조선시대 4대 명재상의 한 사람으로 청백리에 올랐다.

 

 

15. 경주 이씨(慶州 李氏) 인구수(人口數)

 

2000년 인구조사에서 446,598가구 총 1,424,866명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

 

광주 (강산)노씨는 어미니때가 영으로 돌림 됐습니다 노영ㅇ로요
궁금해요 ^^

  

답변 : 광주 노씨(光州 盧氏) 시조(始祖) 노해(盧垓)공입니다.

 

파는 아래와 같이 있습니다.

 

님의 어머님 : 32세 영(榮)자 돌림입니다. 만약에 한문이 다를 경우에는 다른 파에도 한번 대조해 보시기 바랍니다. 외가집 친척에게 먼저 여쭤보시고, 외삼촌님 외조부님 외증조부님 외고조부님의 존함도 대조해 보시면 확실히 아실 수 있습니다.

  

님은 광주 노씨 뼈대 있는 가문의 후손이시니 자긍심을 가지시기 바랍니다.

 

한글과 한문을 병용합니다. 한문을 여러가지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이점 양해가 있으시길 바랍니다.

 

아래는 광주 노씨에 대한 정보입니다.

 

 

광주 노씨(光州 盧氏)에 대()하여

 

1. 광주 노씨(光州 盧氏) 시조(始祖) : 노해(盧垓)

2. 광주 노씨(光州 盧氏) 유래(由來) :

 

시조(始祖) 노해(盧垓)는 당()나라에서 한림학사(翰林學士)를 역임(歷任)하고 신라(新羅)로 건너온 도시조(都始祖) 노수(盧穗)의 첫째 아들로서 광산백(光山伯)에 봉()해졌다. 후손(後孫)들이 노해(盧垓)를 시조(始祖)로 하고 광산(光山)을 본관(本貫)으로 삼아 세계(世系)를 이어왔다. 그러나 이후(以後) 계대(繼代)가 실전(失傳)되어 후손(後孫) 중 고려(高麗)시대(時代)에 정승(政丞)을 역임(歷任)하고 광주군(光州君)에 봉()해진 노만(盧蔓)을 일세조(一世祖)로 하는 계통(系統)과 대호군(大護軍)을 역임(歷任)한 노서(盧恕)를 일세조(一世祖)로 하는 계통(系統)으로 갈라졌다. 노만(盧蔓)의 후손(後孫)은 노승조(盧承肇)를 파조(派祖)로 하는 규정공파(糾正公派)와 노승관(盧承綰)을 파조(派祖)로 하는 헌납공파(獻納公派)로 분파(分派)되었다. 노서(盧恕)의 후손(後孫)은 노숭(盧嵩)의 다섯 아들을 파조(派祖)로 하여 분파(分派)되었는데 장남(長男) 노상인(盧尙仁)은 양근공파(楊根公派), 차남(次男) 노상의(盧尙義)는 참의공파(參議公派), 삼남(三男) 노상례(盧尙禮)는 사간공파(司諫公派), 사남(四男) 노상지(盧尙智)는 경력공파(經歷公派), 막내 아들 노상신(盧尙信)은 판관공파(判官公派)의 파조(派祖)가 되었다.

 

 

3. 광주 노씨(光州 盧氏) 본관(本貫) 연혁(沿革)

 

광주(光州)는 전라남도(全羅南道) 북서부(北西部)에 위치(位置)한 지명(地名)으로 본래(本來) 백제시대(百濟時代)에는 무진주(武珍州)이며 신라시대(新羅時代)에 이르러 도독(都督)을 두었으며 757(신라 경덕왕 16) 무주(武州)로 고쳤다. 892(진성여왕 6)에는 견훤(甄萱)이 이곳에 후백제(後百濟)를 세워 도읍(都邑)을 정()하기도 하였으나, 940(고려 태조 23) 태조(太祖)가 후백제(後百濟)를 정벌하고 군현(郡縣)을 정비(整備)하면서 무진주를 광주(光州)로 개편하고 도독부를 두었다. 995(성종 14) 관제개혁 때 해양현(海陽縣)이라 불렀고 1259(고종 46) 기주(冀州: 冀陽州)라 고쳤다가 1275(충렬왕 1) 다시 무주로 개칭(改稱)하였다. 1310(충선왕 2)에 화평부(化平府), 1362(공민왕 11)에는 무진부(武珍府), 1373(공민왕 22)에 이르러 광주목(光州牧)으로 개편되었다. 1430(세종 12) 무진군(武珍郡)으로 강등(降等)되었다가 1451(문종 1)에 다시 광주목(光州牧)이 되고, 1489(성종 20)에는 광주현(光山縣)으로 격하(格下)되었다가 1501(연산군 7) 광주목(光州牧)으로 환원(還元)되었다. 1624(인조 2)에는 광산현(光山縣)으로 편입(編入)되었다가 1634년에 다시 광주목(光州牧)으로 독립(獨立)하였다. 1895(고종 32) 지방제도(地方制度) 개정(改定)으로 나주부(羅州府) 관할(管轄)의 광주군(光州郡)이 되었다가, 1896 13도제 실시로 전라남도(全羅南道)의 도청(道廳)이 위치(位置)하면서 당시(當時)까지 전라도(全羅道) 남부지방(南部地方)의 중심지(中心地)였던 나주(羅州)를 대신하여 전라남도(全羅南道)의 중심지(中心地)로 성장하게 되었다. 1911년 광주면(光州))으로 신설(新設)되었고, 1935년 광주읍(光州邑)은 부()로 승격(昇格)되었고, 광주군(光州郡)은 광산군(光山郡)이 되었다. 1949년 지방자치(地方自治)제 실시(實施)로 광주시(光州市)가 되고 1986년 직할시(直轄市)로 승격(昇格)되었다. 1988년에는 송정시와 광산군(光山郡)을 흡수(吸收)하여 광산구를 신설하였고, 1995년 광주광역시(光州廣域市)로 개편(改編)되었다.

 

 

4. 광주 노씨(光州 盧氏) 가문(家門)의 대표적(代表的)인 인물(人物)

 

가문(家門)의 대표적(代表的)인 인물(人物)을 살펴보면,

 

대호군 서의 증손인 숭()이고려 공민왕(恭愍王)때 문과(文科)에 급제(及第)하여 지신사에 올랐으며 우왕(禑王)때에는 정사는 돌보지 않고 놀기만 좋아하는 왕에게 극간을 하다가 왕에게 미움을 받기도 했으나 여러 관직을 거쳐전라도 관찰사를 지냈다 그후에 이성계를 도와서 조선창업에 공을세워 개국 원등공신에 책록되고 태종때는 우의정에 올랐다.

 

대제학(大提學) 유간의 손자(孫子) 준공은 고려말(高麗末) 단상제가 성행하든때 정몽주(鄭夢周) 등과같이 3년상을 여막에서 시묘살이를 함으로 정려를 하사받았으며 중종과 선조때의 명신인 수신은 1515년에 활인서별제 홍의 아들로 태어나서 장원급제(壯元及第)하고 청환요직을 역임(歷任)했으나 간신들의 모함으로 유배되기도 했다. 그는 유배지에서도 학문을 계속하여 선조때에 다시 등용(登用) 되었을때 그를 못되게 굴었던 홍인록을 다른 사람들이 벼슬에서 쫒아내려 했으나 그가 강하게 만류해서 그를 풍천부사에 임명하게 한일은 후세에서도 훌륭한 일로 치부받았다.

 

또한 생원 대성의 아들 극복은 정경세의 문하에서 성리학을 배워학행으로 이조 정랑에 천거 되었으나 사임하고 정묘호란때는 고성에서 의병을 모아서 군량조달에 앞장서서 공을 세웠으며 수신의 증손 준명은 병자호란때 남한산성으로 왕을 호종하여 홍원목사를 역임했다.숙종때 계원은 관직에 천거되었으나 사임하고 학문에만 열중하여 후진양성에 힘썼으며 오행설과 정성서의 등의 많은 서적을 남겼다.1985년의 통계에 의하면 광주노씨는 17,682호에 72,354명이 살고 있는것으로 보고 되었다.

노씨는 조선조에서 상신 3, 대제학 1, 호당 2, 청백리 2, 장신 1, 공신 2, 문과 급제자 87명을 배출하였다. 본관별로는 광주가 41, 풍천이 14, 교하가 11, 장연이 7, 안강이 5, 만경이 3, 곡산이 1, 본관 미상이 5명이다.

 

 

역대(歷代) 중요(重要) 인물(人物).

 

노준경 : 고려, 지평.

노 단 : 고려, 상호군.

노천유 : 고려, 병부상서.

노아조 : 고려, 문하시랑.

노유간 : 고려, 대제학.

노준공 : 고려, 시호 절효, 효자.

노영국 : 조선, 병조참판.

노광리 : 조선, 대사성.

노영방 : 조선, 우찬성.

노수신 : 조선, 시호 문간, 영의정.

노자형 : 조선, 대사성.

 

 

5. 광주 노씨(光州 盧氏) 계파(系派) 및 분파(分派)

 

규정공파(糾正公派) - 광주군

헌납공파(獻納公派) - 광주군

 

항렬표(行列表) (광주군계)

38세손 : () 39세손:() 40세손 : () 41세손:() 42세손 : ()

43세손 : () 44세손:() 45세손 : () 46세손:() 47세손 : ()

 

양근공파(楊根公派) - 대호군

참의공파(參議公派) - 대호군

사간공파(司諫公派) - 대호군

경력공파(經歷公派) - 대호군

판관공파(判官公派) - 대호군

 

항렬표(行列表) 대호군계)

30세손 : ,,,(,,,) 31세손 : ,,,(,,鉉鐘)

32세손 : ,,,,(,,,,) 33세손 : ,,,(,,彩 根)

 

삼사공파 등 기타

 

항렬표(行列表) (삼사공계)

31세손 : (), 32세손 : () 33세손:() 34세손 : () 35세손 : ()

 

  

6. 광주 노씨(光州 盧氏):(光山 盧氏) 항렬표(行列表)

 

광주군계(光州君系)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

()

()

()

()

()

()

()

()

()

()

()

()

47

 

 

 

 

 

 

 

 

 

()

 

 

 

 

 

 

 

 

 

 

대호군계(大護軍系)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4

 

 

 

 

 

 

 

 

 

()()()()()

 

 

 

 

 

 

 

 

 


삼사공계(三司公派)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

()

()

()

()

()

()

()

()

()

31

32

33

34

35

36

37

 

 

 

()

 

 

 

 

 

 

 

 

 


  

7. 광주 노씨(光州 盧氏) 주요(主要) 세거지(世居地)

 

- 광주광역시 광산구 북구 우치동

- 경상남도 창녕군

- 함경남도 갑산군

- 평안북도 정주군 마산면 동창동

- 전라남도 함평군

 

 

8. 광주 노씨(光州 盧氏) 인구수(人口數)

 

2000년 통계청이 발표한 결과에 의하면 광주 노씨는 15,265가구 총 48,574명이 있는 것으로 되어 있다.

 

 

9. 노씨(盧氏) 인터넷 사이트

http://www.rohs.or.kr/roots.htm

 

 

끝으로 님의 건강과 행복이 충만 하시기를 빌겠습니다.

2018.06.11.

  • 채택

    질문자가 채택한 답변입니다.

이 답변의 추가 Q&A
질문자와 답변자가 추가로 묻고 답하며 지식을 공유할 수 있습니다.
도움이 되었다면 UP 눌러주세요!
UP이 많은 답변일수록 사용자들에게 더 많이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