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로규제

European emission standards

600px
유로화를 규제한다는 말이 아니다
규제가 절대 아니다

1 개요

유로규제란 디젤차의 배기가스 배출을 줄이기 위해 유럽연합에서 시행하고 있는 규제이다. 현재는 유로 6이 적용되고 있다.

규제내역EURO 1EURO 2EURO 3EURO 4EURO 5EURO 6
주요처리방식연료 전자제어 분사[1] + EGR전자식 CRDi[2] + EGRDPF/DOC + EGR[3]SCR + 요소수[4]SCR + 요소수 엔진 직분사[5]
도입기간(유럽)1992년1996년2001년2005년2008년2014년
도입기간(한국)1994년2000년[6]2005년2008년2011년2015년
질소산화물(NOx) 배출량9.0 이하7.0 이하5.0 이하3.5 이하2.0 이하0.4 이하
일산화탄소(CO) 배출량4.5 이하4 이하2.1 이하1.5 이하1.5 이하
미세먼지(PM) 배출량0.4 이하0.25 이하0.1 이하0.02 이하0.01 이하
탄화수소(HC) 배출랑1.1 이하0.66 이하0.46 이하0.13 이하
비고노란색 란이 현재 적용되고 있는 규정임. 배출량 단위기준은 g/kWh 에 따름.

2 규제 목록

2.1 유로 1

1992년에 시행한 최초의 유로규제. 한국에서는 1994년부터 적용했다. 상용차는 연료를 전자제어로 분사함으로써 불필요한 연료소모를 막아 배기가스를 줄여주고, 공통적으로는 질소산화물을 태워주는 EGR[7][8] 밸브를 개발하여 장착했다. 기계식 플런저 엔진인 무쏘의 부품 중에서 유일하게 전자제어 부품이기도 했다. 정부차원에서 DPF 개조를 권장해서 DPF가 장착된 차량들이 많다.

2.2 유로 2

유로 1에서 배출규제가 강화된 버전. 규제만 강화됐을뿐 처리방식은 별반 차이가 없었다. 정부차원에서 DPF 개조를 권장해서 DPF가 장착된 차량들이 많다.

2.3 유로 3

이때부터 불완전 연소를 해결하기 위한 전자식 제어 CRDi(Common Rail Direct Injection) 엔진을 채택했다. DPF 장착이 그냥 배기가스 라인에 필터 하나만 달아주면 되므로, 기존에 안달린 유로 1~유로 3 차량들도 달수있게 정부차원에서 개조하라고 했었다. 근데 애프터 마켓으로 상용차에 붙인 DPF는 관리를 안해서 제기능을 못하는게 십중팔구다.

2.4 유로 4

DPF+EGR 방식을 주로 사용했다. 대우버스는 이때부터 SCR(요소수) 방식을 이용하기 시작했다.(한마디로 '자동차도 목 마르니까 요소수라는 물 좀 달라'는 얘기) 이때 현대, 기아차를 포함해서(현대, 기아는 승용차 한정. 상용차는 이때부터 DPF를 달고 나왔다.) 외계인 고문을 시도하는 몇몇 제조사가 DPF도 없이 유로 4 기준을 충족하기도 했다.(...)

잘 알려져 있지는 않지만 DOC(Diesel Oxidation Catalyst)라는 물건도 있는데 미세먼지를 태워버린다는건 DPF와 같지만, 고온에서 일산화탄소와 탄화수소를 촉매반응으로 저감 시켜주고, 배기가스의 NO2 함량을 높여주는 DPF의 경쟁 물건이였다. 이것은 DPF+DOC 조합이나 DPF+DOC+EGR 3중 콤보로 사용되기도 했다.

2.5 유로 5

이때부터 상용차들은 SCR을 주구장창 달고 나온다. 그러나 현대, 기아차는 이때도 승용차건 상용차건 DPF+EGR[9]을 사용한다. 그리고 유로 5부터 디젤엔진이 오히려 가솔린 엔진보다 유해물질을 덜 내뿜는(...) 사태가 벌어져 요즘은 가솔린 엔진에도 EGR과 DPF가 달려나온다. 이러다 가솔린 엔진에도 SCR 적용할 판

2.6 유로 6

2014년부터 시행되고 있는 규제. 한국에서는 2015년부터 시행됐으며, 유로 5의 기존 기준부터 초미세먼지 규격을 빡세게 강화한 버전. 2017년 9월 부터는 RDE(Real Driving Emission, 실험실 기준 배출량이 아닌 실주행 기준 배출량) 기준이 적용된 6c 규제가 시행된다. 이때부터 요소수(오줌)를 배기가스에 직접 분사하는 방식이 적용되었다. 현대, 기아차는 이때부터 2.5리터 이상 디젤엔진에 SCR을 사용하고 그보다 배기량이 작은 R엔진U엔진은 DPF/DOC + EGR + LNT로 기준에 만족하게 했다.[10] 근데 미국의 BIN 규정(어차피 현대, 기아차는 북미에 디젤차 수출을 안하니...)이나 유로 6c에서는 과연 요소수 안쓰고 배길련지는... 그리고 왜인지는 모르겠지만 자일대우버스의 CNG 차량에도 유로 6이 적용되어 SCR과 요소수 정화방식이 적용된다.[11]

여태까지 자일대우버스에 들어가던 엔진을 잘 생산하고 있던 두산이 유로 6 엔진 개발과 출시를 지연시켰다. 그 덕에 현재 자일대우버스에 유로 6 엔진은 커민스 or 피아트(이베코) 엔진이 들어가게 된다. 두산이 유로 6 엔진 개발과 출시를 지연시켜서 타사 엔진을 도입했지만... 차값이 천만원 더 늘어버렸다. 그래도 잠정적으로 잔고장 엄청 나서 고쳐대는 비용보단 차라리 천만원 더주고 안정성이 좋은 엔진을 쓰는게 낫다. 그런데 CNG차량은 여전히 두산엔진이잖아?[12][13]

사실 SCR을 쓴다고 SCR 하나만 쓰지는 않는다. 배기가스를 더 줄이기 위해 EGR+SCR 세트로 사용하기도 한다. 그리고 커민스의 유로 6 엔진은 외계인 고문에 실패했거나, 기술력이 딸렸는지 DPF+EGR+SCR+DOC+LNT 5단콤보[14]로 시전하여 충공깽 충족하기도 했으며,(...) 피아트의 커서엔진 같은 경우 순수 SCR만으로 대응하는 패기를 내뿜기도... EGR 조까

아무래도 점점 괴물같은 기술력을 요구하다보니 위처럼 여러 부품과 장비들이 덕지덕지 붙거나 기술 개발비용이 많이 들어가서, 예전 유로규제 시행때에 비해 유난히 차값 상승폭이 커서 논란이 일고 있다.[15]

한편 유로 6과 미국의 BIN5규제를 만족한다는 VW의 1.6 2.0리터 4기통 디젤엔진의 일부국가사양에서 상황에 다라 질소 산화물 흡장 촉매의 기능을 무력화시키는 로직을 ECU에 심어놓았다가 적발되면서 큰 논란이 일어나고 있다. 자세한 것은 디젤게이트 사건 항목을 참조.
  1. 상용차 한정.
  2. Common Rail Direct Injection. 불완전 연소 해결을 위해 도입.
  3. 자일대우버스는 이때부터 SCR + 요소수를 사용하였다.
  4. 현대, 기아 차량들의 경우 DPF/DOC + EGR을 사용.
  5. 현대, 기아 차량들중 2.5리터 디젤 미만인 경우 DPF/DOC + EGR + LNT를 사용.
  6. 도입텀이 약 2~4년 주기이므로 추정중.
  7. 배기가스 재순환 밸브. 연소온도를 낮춤으로써 질소산화물 발생량을 줄여 공해를 줄여준다.
  8. 이 EGR 밸브는 요즘 가솔린 차량에도 부착된다. 유로 5부터 오히려 디젤보다 유해물질을 더 뿡뿡해서(...) 다는것.
  9. 다만 460마력 이상의 고마력 파워텍엔진에는 극소수나마 SCR을 적용했다.
  10. 참고로 베라크루즈는 한물간 인기에 가격인상으로 인해 단종되었고, 모하비는 SCR을 사용한다.
  11. 반면에 현대 CNG 버스 모델들은 EGR+MPI 대응으로 요소수 없이 유로6 규정을 통과했다.
  12. 그런데, 대우뿐만 아니라, 현대 역시 유로 6이 되면서 차값이 껑충 뛰었다.(...) 이건, 대우만의 문제가 아닌듯 하다.
  13. 이전 버전에서는 두산이 무작정 엔진개발을 포기했다고 쓰여져 있었는데, 지난 2015 ADEX때 두산인프라코어 직원과 대화를 나눈 용감한 위키러가 입수한 정보에 의하면, 유로 6 규격을 맞춘 디젤엔진이 개발 및 출시가 제 시기에 이뤄지지 않은거지, 엔진 개발을 포기한 것이 아니며, 빠른 시일내에 유로 6 규정을 충족하는 디젤엔진을 출시할 것이라고 두산인프라코어 직원이 인증(...)했다.
  14. 현대차의 대형 상용차용 디젤엔진들도 이와 유사하게 마구잡이로 때워서 유로 6 규정을 통과했다.
  15. 시내버스 기준으로 대당 1천만원 인상은 양반이고 대우버스의 디젤엔진은 여기에 미제 커민스 엔진 교체로 인해 1500만원 이상 올라버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