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AVER

질문 함안 조씨 돌림자
whdk**** 조회수 1,830 작성일2018.08.13
저희 아버지가 조영식인데 머가 돌림자인가요 지금 70년 생 49세 이세요
프로필 사진

답변자님,

정보를 공유해 주세요.

1 개 답변
1번째 답변
프로필 사진
ryul****
수호신
전통 예절, 의식 1위, 사회문화 1위, 폭행 15위 분야에서 활동
본인 입력 포함 정보

님의 질문에 답변을 합니다.

 

함안 조씨 돌림자  

저희 아버지가 조영식인데 머가 돌림자인가요 지금 70년 생 49세 이세요.

 

답변 : 함안 조씨는 각파가 통합된, 대동 항렬표를 쓰는 관계로 파는 찾아 드릴 수 없습니다. 이점 양해가 있으시길 바랍니다. 그리고 항렬표 돌림자를 보아서는 영자가 아닌 식(植)자가 돌림자입니다.

 

저가 이렇게 올려는 드리지만 님이 좀더 상세히 대조해 보실 것을 권합니다.

 

부친님 : 시조 25세 / 중시조 14세 ⊙식(植)자 돌림이시고,

님은 : 시조 26세 / 중시조 15세 성(性)⊙자 돌림입니다.

 

님은 함안 조씨 뼈대있는 가문의 후손이시니 자긍심을 가지시기 바랍니다.

 

한글과 한문을 병용합니다. 한문에는 여러가지 글자가 있기 때문입니다. 이점 양해가 있으시길 바랍니다. 해당 자료에는 녹색 글씨로 표기합니다. 항렬표를 올려드릴테니 님도 한번 대조해 보시기 바랍니다.  

 

아래는 함안 조씨에 대한 정보 입니다.

 

 

함안 조씨(咸安 趙氏)에 대()하여

 

1. 함안 조씨(咸安 趙氏) 시조(始祖) : 조 정(趙 鼎)

2. 함안 조씨(咸安 趙氏) 유래(由來) :

 

시조(始祖) 유래(由來) 고려(高麗) ()에 대장군(大將軍)을 지냈다. ()은 당()나라 출신(出身)으로 신라말(新羅末)에 두 동생 부()와 당()을 대리고 절강(浙江) 사람인 장길(張吉)과 함께 고려(高麗)에 귀화(歸化)하여, 왕건(王建)을 도와 고창성(古昌城)에서 견훤(甄萱)을 대파(大破)하고 고려통일(高麗統一)에 공()을 세웠으므로 개국벽상공신(開國壁上功臣)으로 대장군(大將軍)에 올랐다.

창성 유래(由來) 후손(後孫)들은 함안(咸安)에 정착 세거(定着世居)하며 본관(本貫)을 함안(咸安)으로 삼아 세계(世系)를 이어왔다.

 

 

3. 함안 조씨(咸安 趙氏) 본관(本貫) 연혁(沿革)

 

경상남도(慶尙南道) 함안군(咸安郡)으로 삼한(三韓) 시대(時代)의 변한(弁韓) 땅이었으며, 또 가락국(駕洛國) 6가야 중 아나가야(阿那伽倻)의 영역이었다. 신라(新羅) 경덕왕(景德王) 때 함안군(咸安郡)으로 불리게 되었으며, 고려(高麗) 때의 995(성종 14)에 함주(咸州), 1018(현종 9)에 함안군(咸安郡), 1172(명종 2)에 함안현(咸安縣), 1374(공민왕 22)에 함안군(咸安郡), 조선(朝鮮) 때의 1505(연산군 10)에 함안도호부(咸安都護府), 1506(중종 1)에 함안군(咸安郡)이 되었다.

 

 

4. 함안 조씨(咸安 趙氏) 가문(家門)의 인물(人物)

 

조욱(趙昱) 참지공(參知公)

현감공(縣監公) ()의 아들인 조욱(趙昱) 참지공(參知公)은 단종(1)때 문과(文科) 과거(科擧)시험(試驗)에 합격(合格)하여 벼슬이 병조참지(兵曹參知)에 올랐으므로 참지공(參知公)이라 부른다. 참지공(參知公)은 젊을 때부터 문장(文章)이 뛰어나 대문장가(大文章家)가 되었으며 나이 겨우 22세에 국가고시(國家考試)인 문과(文科)에 급제(及第)하였다.

참지공(參知公)은 어계선생과 종형제(4)간으로 어계선생은 참지공(參知公)의 글재주를 시험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제의를 하였다. 어계선생은 세아들을 두었는데 그 이름이 동호, 금호, 야호이다. 내가 그릇을 세 번 치는 동안에 이 세 아들의 이름을 풀이하라고 하였다. 참지공(參知公)은 형님이 시키는 대로 세번 치는 동안에 380여언을 지었으니 사람마다 탄복하였다.

이글의 끝 부분을 소개하면 이름지은사람은 누구냐? 부호여다. 이름을 해설한사람은 누구냐? 숙욱이다, ! 부호가 없으면 자호가 없고 숙호가 없으면 설호할 사람도 없을 것이다.

! 조호(함안 조씨)의 겨례가 성하고 조호의 가중이 진작할 것인저! 라고 하였으니 참지공(參知公)의 문장력은 짐작하고 남음에 있다.

참지공(參知公)은 말년(末年)에 안동교수직에 있었으므로 후손(後孫)들이 안동에 많이 산다.

 

조승소는 고려(高麗) 우왕(禑王) 때 문과(文科)에 급제(及第)하고, ()나라에 가서 저작랑(著作郞)을 지내다가 귀국(歸國)하여 부여감무(扶餘監務)를 지냈다.

조선(朝鮮) 중종(中宗) 때의 인물(人物)인 조연(趙淵) 1510년 진사시(進士試)에 합격(合格)하고 음보로 등용되어 1529년 선릉삼봉(宣陵參奉)을 거쳐 뒤에 의금부도사(義禁府都事), 유곡도찰방(幽谷道察訪) ()을 역임(歷任)하였으며, 생육신(生六臣)의 한 사람인 조여(趙旅), 조임도(趙任道)는 인조반정(仁祖反正) ()에 공조좌랑(工曺佐郞), 조평(趙平)은 찰방(察訪), 조봉원(趙逢源)은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使)를 지냈다. 또 조영우(趙榮祐) 1713년 진사시(進士試)에 합격(合格)하여 첨지중추(僉知中樞)를 지냈고, 조근(趙根) 1666년 별시문과(別試文科)에 병과(丙科)로 급제(及第) 충청도도사(忠淸道都事)를 지냈으며, 조영복(趙榮福)은 한성부우윤(漢城府右尹)을 역임(歷任)하였다. 영조(英祖) 때의 조중회(趙重晦) 1736년 정시문과(庭試文科)로 급제(及第), 대사헌(大司憲)을 거쳐 이조판서(吏曺判書)를 지냈다.

 

조석진(趙錫晋)은 화가(畵家)로 명성(名聲)을 떨쳤으며, 산수(山水), 인물(人物), 화조(花鳥) ()에 모두 능()했다. 고종(高宗)의 초상화(肖像畵)를 그린 공()으로 영춘군수(永春郡守)가 되고, 품계(品階)가 정3품에 올랐다.

독립운동(獨立運動)가로서 이름을 드높인 조명하(趙明河) 1963년 대한민국(大韓民國) 건국공로훈장(建國功勞勳章)단장을 수여(受與)받았고, 조용은(趙鏞殷)은 임시정부(臨時政府) 의장(議長)을 지내면서 시사촉진회(時事促進會)를 조직(組織)했다. 그는 해방(解放) 후에 국민의회(國民議會)의 상암위원회의장을 지내고, 1948년 남북협상(南北協商)에 찬동(贊同)하여 평양(平壤)에 갔으나 실패(失敗)하고 1950 5월에 있은 국회의원(國會議員) 선거(選擧)에 성북구에서 출마(出馬)하여 전국(全國) 최고득점(最高得點)으로 당선(當選)되었으나 6.25사변 때 납북(拉北)되었다.

조명하 (趙明河)

- 19051928. 독립운동가, 황해도 송화출생

용우(鏞禹)의 아들이다. 1918년 황해도 풍천에서 보통학교를 졸업한 뒤 1926 9월 일본으로 건너갔다. 그곳에서 건전지제작소·메리야스공장·상점 등의 고용원으로 일하면서 대판(大阪)에 있는 상공학교(商工學校)를 마쳤다. 그 뒤 큰일을 계획하고 대만으로 건너가 타이중시(臺中市)에 있는 부귀원(富貴園)에 들어가 점원으로 생계를 유지하면서 중국인으로부터 칼 쓰는 법을 익혔다. 1928 5월 일제침략자들이 중국본토 산둥(山東)출병 등으로 대중국침략전쟁을 계획하면서 일본왕 히로히토(裕仁)의 장인인 구니노미야(久邇宮邦彦王)육군대장을 육군특별검열사로 대만에 파견한다는 소식을 들었다.

이에 5 14일 타이중시 다이쇼정(大正町)도서관 앞으로 나가 환영하는 일본인 인파에 묻혔다가 날쌔게 달려들어 독검(毒劍)으로 구니노미야를 찔렀다. 이때의 부상으로 구니노미야는 이듬해 1월 죽었다. 거사 직후 현장에서 붙잡혀 순국하였다. 1963년 건국훈장 국민장이 추서되었다.

 

조용은(趙鏞殷)은 임시정부의장을 지내면서 시사촉진회(時事促進會)를 조직했다. 그는 해방 후에 국민의회의 상암위원회의장을 지내고, 1948년 남북협상에 찬동하여 평양에 갔으나 실패하고 1950 5월에 있은 국회의원 선거에 성북구에서 출마하여 전국 최고득점으로 당선되었으나 6.25사변 때 납북되었다.

 

조시원 (趙時元)

- 19041982. 광복군. 본명은 용원(鏞元). 호는 호일(胡逸)

경기도 양주출신.1920 2월 일본경찰에 수배되자 상해로 망명하여, 상해남방대학부속중학교(上海南方大學附屬中學校)를 거쳐 상해남방대학역사사회학과(上海南方大學歷史社會學科)에서 수학하는 한편, 1927년 김무정(金武亭윤호(尹浩조한용(趙漢用허열추(許烈秋) 등과 더불어 중국본부한인청년동맹을 조직하여 정치문화부장 겸 선전조직부장으로 항일독립운동을 전개하였다. 같은 해 10월 중국본부한인청년총동맹(中國本部韓人靑年總同盟)을 결성하여 중앙위원장에 취임하여 중앙본부 및 각 지부간부를 총지휘하여 항일독립투쟁을 전개하였고, 1928년 한커우(漢口)에서 동방피압박민족연합회(東方被壓迫民族聯合會)창립에 참여하였다. 그 뒤 만주로 가서 조선혁명당(朝鮮革命黨)군총사령관 양세봉(梁世奉)휘하에서 동만청년동맹(東滿靑年同盟)을 조직하여 무장독립투쟁을 전개하다가, 1929년 북경(北京)으로 가서 다물단(多勿團)에 가담하여 친일분자들에 대한 숙청을 전개하였다. 1930년 상해에서 화랑청년회(花郎靑年會)를 조직하였으며, 그해 겨울 월간잡지 한보 韓報의 편집위원을 거쳐 1931 한국문원 韓國文苑을 발간하는 등 문화사업에 진력하다가 1933년 한국독립당(韓國獨立黨)에 가입하여 특파원으로 시안(西安)에 파견되어 한중군사협력을 협의하였고, 1935년 조소앙(趙素昻홍진(洪震) 등과 같이 월간잡지 진광 震光을 발간하였다. 1938년 한국독립당 중앙상임위원으로 선임되고, 비서부장·조직부장·선전부장 등을 역임하였으며, 그해 10월 임시의정원(臨時議政院)의원으로 피선 되었다. 1940년 한국광복군 조직에 참여하여 총사령부 부관에 임명되었고, 1942년 총사령부 법무처장·정훈처장 등을 역임하며, 일본제국주의와의 투쟁을 전개하던 중 광복을 맞아 1946년 귀국하였다. 1963년 건국훈장 국민장이 수여되었다.

 

조소앙 (趙素昻)

- 1887(고종 24)1959. 독립운동가·정치사상가

본명은 용은(鏞殷), 자는 경중(敬仲), 소앙(素昻)은 호이다. 경기도 파주출신. 아버지는 정규(禎奎)이며, 어머니는 박필양(朴必陽)이다. 6세부터 통정대부인 할아버지 성룡(成龍)으로부터 한문을 수학, 1902년 성균관에 입학하였다. 같은 해 이하영(李夏榮) 등의 매국음모를 막기 위하여 신채호(申采浩) 등과 성토문을 만들어 항의하였다.

1904년 성균관을 수료하고, 황실유학생에 선발되어 일본 동경부립제1중학에 들어갔다. 1906년 동경유학생 친목단체인 공수학회(共修學會)를 조직, 회보를 발간하면서 주필로 활동하였다. 같은 해 메이지대학(明治大學)법학부에 입학하였으며, 1909년 동경에 있는 조선인의 각 단체를 통합한 대한흥학회(大韓興學會)를 창립하여 회지 대한흥학회보의 주필이 되었다. 경술국치 때는 한일합방 성토문을 작성하고 비상대회 소집을 꾀하려다 발각되어 고초를 겪었다. 1911년 조선유학생친목회를 창립하고 회장이 되었다. 1912년 대학을 졸업, 귀국하여 경신학교·양정의숙·대동법률전문학교에서 교편을 잡다가 1913년 중국에 망명하여 신규식(申圭植박은식(朴殷植신채호·정인보(鄭寅普) 등과 동제사(同濟社)를 박달학원(博達學院)으로 개편한 뒤 중국혁명가 천궈푸(陳果夫황줴(黃覺)와 함께 항일단체 대동당(大同黨)을 조직하였다. 30세 전후에는 민족대동단결의 정신적·종교적 통일을 위하여 육성교(六聖敎)를 제창하고, ‘주권불멸론(主權不滅論)’·‘민권민유론(民權民有論)’의 취지를 1917년 스웨덴의 스톡홀름에서 개최된 국제사회당대회에 한국문제의 의제로 제출하여 세계를 놀라게 하였다. 1918년 만주 길림(吉林)에서 무장항쟁노선이 집약된 무오독립선언서를 기초하여, 독립운동 지도급인사 39인의 공동서명으로 발표하여 내외에 그 영향력을 크게 떨쳤다. 1919 3·1민족항쟁에 즈음하여 대한독립의군부(大韓獨立義軍府)를 조직, 부주석으로 선출되고, 한성정부(漢城政府)교통부장에 추대되었다. 4월 상해에서 대한민국임시정부 수립에 참여하여 민주공화제헌법의 기초를 비롯한 임시정부의 국체와 정체의 이론정립 및 임시정부의 대외홍보 전반에 걸쳐 주역으로 활약하였다.

 

 

5. 함안 조씨(咸安 趙氏) 가문(家門)의 유래(由來)

 

- 시조(始祖) 조정(趙鼎)은 후당(後唐) 사람으로 신라(新羅) 말기(末期)에 두 동생 조부(趙釜)와 조당을 데리고 절강사람 장길(張吉)과 함께 우리나라에 들어왔다고 한다. 그는 고려의 개국공신인 신숭겸, 배현경, 복지겸, 김선평, 권행 등과 교분이 두터웠다고 하며 합천에서 의병을 일으켜 931년 고창성(현 안동)에서 왕건을 도와 견훤을 대파하고 동경주현(東京州縣) 대부분을 항복받아 고려통일에 큰공을 세워 개국벽상공신(開國壁上功臣)으로 대장군이 되었다. 그래서 후손들이 함안에 살면서 본관을 함안으로 하고 있다.

 

- 조선시대에 유명한 인물로는 생육신(生六臣)의 한 사람인 여()로 그는 시조의 10대손이다. 여의 후손은 모두 현달하였는데, 현손 종도(宗道)와 임도(任道)가 유명하다. 종도는 선조 때의 정유재란 때 의병을 모아 왜군과 싸우다 전사하였으며, 임도는 전원에 묻혀 학문에만 전념하다가 인조반정 후에 공조좌랑을 지냈다. 영조 때에는 시··화 삼절(三絶)로 이름난 영우(榮祐)가 있고, 조선 후기에는 화가로 산수·인물에 뛰어난 정규(廷奎)와 희룡(熙龍)이 있다.

- 안동의 칠현사(七賢祠), 동주의 충렬사(忠烈祠)에서 제향한다.

 

가문의 번영

- 조승소는 고려 우왕 때 문과에 급제하고, 원나라에 가서 저작랑(著作郞)을 지내다가 귀국하여 부여감무(扶餘監務)를 지냈다.

- 조선 중종 때의 인물(人物)인 조연(趙淵) 1510년 진사시(進士試)에 합격(合格)하고 음보로 등용되어 1529년 선릉삼봉(宣陵參奉)을 거쳐 뒤에 의금부도사(義禁府都事), 유곡도찰방(幽谷道察訪) 등을 역임하였으며, 생육신(生六臣)의 한 사람인 조여(趙旅), 조임도(趙任道)는 인조반정(仁祖反正) ()에 공조좌랑(工曺佐郞), 조평(趙平)은 찰방(察訪), 조봉원(趙逢源)은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使)를 지냈다.

- 또 조영우(趙榮祐) 1713년 진사시(進士試)에 합격(合格)하여 첨지중추(僉知中樞)를 지냈고, 조근(趙根) 1666년 별시문과(別試文科)에 병과(丙科)로 급제 충청도도사(忠淸道都事)를 지냈으며, 조영복(趙榮福)은 한성부우윤(漢城府右尹)을 역임하였다. 영조 때의 조중회(趙重晦) 1736년 정시문과(庭試文科)로 급제, 대사헌(大司憲)을 거쳐 이조판서(吏曺判書)를 지냈다.

- 조석진(趙錫晋)은 화가로 명성을 떨쳤으며, 산수, 인물, 화조 등에 모두 능했다. 고종의 초상화를 그린 공으로 영춘군수(永春郡守)가 되고, 품계가 정3품에 올랐다.

 

 

6. 함안 조씨(咸安 趙氏) 인물(人物)

 

성 명 생. 졸년,

조 거 (趙 据) 고려말(高麗末) 문인(文人)

조계선 (趙繼先) 1570(선조 3)1627(인조 5). 조선 중기의 무신.

조 근 (趙 根) 1631(인조 9)1690(숙종 16). 조선 후기의 문신

조동호 (趙銅虎) 1441(세종23)~ 1517,이조 초기의 문관. 초명은 동호, 자는 정부

조 려 (趙 旅) 1420(세종)1489(성종). 단종을 위하여 수절한 생육신의 한 사람

조명하 (趙明河) 19051928. 독립운동가(獨立運動家), 황해도 송화출생

조민도 (조민도) 1556(명종11)~1592(선조 25)425, 임진왜란전사

조 방 ( ) 1557(명종 12)1638(인조16). 조선 중기의 학자

조봉원 (趙逢源) 1608(선조 41)1691(숙종 17). 조선 중기의 문신·학자.

조 붕 ( ) 1534(중종29.갑오년~1598(선조31.무술년) 정유재란시 전사

조 삼 (趙 參) 1473년 성종4~ 집의공, 휘는 삼, 자는 노숙, 호는 무진정

조석진 (趙錫晉) 1853(철종 4)1920. 조선시대 도화서(圖畵署)의 마지막 화원

조선도 (趙善道) 1580(선조 13)1640(인조 18). 조선 중기의 무신

조성가 (趙性家) 1824(순조 24)1904. 한말의 유학자

조소앙 (趙素) 1887(고종 24)1959. 독립운동가·정치사상가

조 순 (趙 舜) 1465(세조11.을유년)~1527(중종22.정해년) 참판공파 파조

조승숙 (趙承肅) 1357(공민왕 6)1417(태종 17). 고려말의 문신·학자 , 덕곡선생

조시원 (趙時元) 19041982. 광복군. 본명은 용원(鏞元). 호는 호일(胡逸)

조신도 (신도) 1554~1595 자는 중유, 어계선생의 6세손, 임진왜란 전사

조안경 (趙安卿) 고려말 학자,호는 고죽재, (이름)는 안경(安卿)

조연현 (趙演鉉) 19201981. 문학평론가

조 열 (趙 悅) 생몰년 미상. 고려말 조선초의 문신·학자

조영복 (趙榮福) 1672(현종 13)1728(영조 4). 조선 후기의 문신. 호는 二知堂

조영석 (趙榮) 1686(숙종 12)1761(영조 37). 조선 후기의 문인화가.자는 宗甫

조용숙 (趙鏞肅) 1867(고종 4)1929. 한말의 학자. 자는 士欽, 호는 復齋

조 욱 (趙 昱) 단종때 문인 참지공

조윤제 (趙潤濟) 19041976. 국문학자·문학박사. 호는 도남(陶南).

조응도 (趙凝道) ?1597(선조 30). 조선 중기의 무신

조 이 ( ) 생몰년 미상. 고려의 문신. 본관은 함안(咸安). 초명은 인여(藺如).

조 익 ( ) 1584(선조 17)1635(인조13). 조선 중기의 문신. 자는 계중(季中)

조익도 (조익도) 조선 인조, 무인 참의공파 파조

조임도 (趙任道) 1585(선조 18)1664(현종 5). 조선후기의 학자. 자는 덕용(德勇)

조 적 (趙 績) 1477(성종 8)? 조선 중기의 문신. 자는 공기(公紀)

조 정 (趙 鼎) 후 당 희종 12년 정사생, 함안 조씨 시조

조정규 (趙廷奎) 1791(정조 15)? 조선 후기의 화가. 자 성서(聖瑞), 호 임전(琳田)

조종도 (趙宗道) 1537(중종 32)1597(선조 30). 조선 중기의 문신. 자는 伯由

조종현 (趙宗玄) 19061989. 시조시인·승려. 본명은 용제(龍濟), 종현은 법명. 호는 철운(鐵雲벽로(碧路예암산인(猊巖山人), 당호(堂號)는 여시산방(如是山房)

조준남 (趙俊男) 1547~1597 자는 사언이요 어계선생의 6세손. 승지공파 파조

조준도 (趙遵道) 1576(선조 9)1665(현종 6). 조선 후기의 학자. 호는 방호(方壺)

조중회 (趙重晦) 1711(숙종 37)1782(정조 6). 조선 후기의 문신. 자는 익장(益章)

조 평 (趙 平) 1569(선조 2)1647(인조 25). 조선 중기의 문신·학자. 호는 雲壑

조 해 (趙 楷) 1639(인조 17)1699(숙종25). 조선 후기의 문신. 자는 군범(君範)

조형도 (趙亨道) 1567(명종 22)1637(인조 15). 조선 중기의 문신·무신. 자는 대이(大而경달(景達) 호는 동계(東溪). 자칭 청계도사(淸溪道士)

조홍제 (趙洪濟) 19061984. 기업인. 아호는 만우(晩愚), 효성그룹회장

조희문 (趙希文) 1527(중종 22)1578(선조 11). 조선 중기의 문신·학자. 호는 月溪

조희제 (趙熙濟) 1873(고종 10)1938. 한말의 학자·순국지사. 자는 운경(雲卿), 호는 염재(念齋)

 

  

7. 함안 조씨(咸安 趙氏) 집성촌(集成村)

 

- 경상북도 청송군 현동면 창양리

- 경상북도 청송군 현동면 인지리

- 경상북도 청송군 안덕면 명당리

- 경상북도 청도군 풍각면 안산리

- 경상남도 함안군 가야면 도항리

- 경상남도 함안군 군북면 하림리

- 경상남도 남해군 남해읍 입현리

- 전라남도 완도군 금일면 화목리

- 전라북도 임실군 덕치면 회문리

- 충청남도 보령시 웅천면 구룡리

 

 

8. 함안 조씨(咸安 趙氏) 계파(系派)

 

- 통판공파(通判公派)

- 충순공파(忠順公派)

- 사인공파(舍人公派)

- 고죽재공파(孤竹齋公派)

- 산원공파(散員公派)

- 참지공파(參知公派)

- 참판공파(參判公派)

- 어해공파(禦海公派)

- 집의공파(執義公派)

- 판결공파(判決公派)

- 사과공파(司果公派)

- 우후공파(虞侯公派)

- 내헌공파(耐軒公派)

- 남계공파(南溪公派)

- 절도공파(節度公派)

- 현감공파(縣監公派)

- 참봉공파(參奉公派)

- 소윤공파(少尹公派)

- 제학공파(提學公派)

- 덕곡공파(德谷公派)

- 전서공파(典書公派)

- 함경공파(咸鏡公派)

- 충의공파(忠毅公派)로 나뉘어졌다.

 

 

9. 함안 조씨(咸安 趙氏)의 계파(系派)와 지파(支派)의 분류(分類)를 살펴보면,

 

- 원파 : 1. 통판공파(通判公派) 파조: 13대 휘() ()

* 지파 : 1) 통판공파(通判公派) 파조: 17대 휘() 영도(榮道)

 

- 원파 : 2. 충순공파(忠順公派) 파조: 13대 휘() 세생(世生)

* 지파 : 1) 충순공파(忠順公派) 파조:

 

- 원파 : 3. 사인공파(舍人公派) 파조: 11대 휘() 성길(成吉)

* 지파 : 1) 사온령공파(令公派) 파조: 13: () 숙분(菽芬)

2) 암정공파(巖汀公派) 파조: 17: () 가동(嘉東)

3) 가선공파(嘉善公派) 파조: 19: ()

 

- 원파 : 4. 고죽제공파(孤竹齊公派) 파조: 10: () 안경(安卿)

* 지파 : 1)고죽제공파(孤竹齊公派) 파조:

 

- 원파 : 5. 산원공파(散員公派) 파조: 11: () ()

* 지파 : 1) 율원공파(栗園公派) 파조: 17: () 덕면(德勉)

2) 농포공파(農浦公派) 파조: 17: () 수도(壽道)

 

- 원파 : 6. 참지공파(參知公派) 파조: 12: () ()

* 지파 : 1) 장령공파(掌令公派) 파조: 17; 효도(孝道)

2) 주부공파(主簿公派) 파조: 17: 병도(丙道)

3) 동추공파(同樞公派) 파조: 17: 휴도(休道)

4) 봉사공파(奉事公派) 파조: 17: 계도(繼道)

5) 처사공파(處士公派) 파조: 17: 경도(敬道)

6) 별제공파(別提公派) 파조: 17: () 성도(成道)

7) 직장공파(直長公派) 파조: 17: () 건도(建道)

8) 학생공파(學生公派) 파조: 17: () 세도(世道)

9) 참의공파(參議公派) 파조: 17: () 천도(天道)

 

- 원파 : 7. 참판공파(參判公派) 파조: 14: () ()

* 지파 : 1) 참판공파(參判公派) 파조:

 

- 원파 : 8. 어모공파(禦侮公派) 파조: 14: () ()

* 지파 : 1) 어모공파(禦侮公派) 파조: 17: () 진도(振道)

2) 영천공파(永川公派) 파조: 17: () 춘도(春道)

3) 삼송공파(三松公派) 파조: 17: () 하도(夏道)

 

- 원파 : 9. 집의공파(執義公派) 파조: 14: () ()

* 지파 : 1) 승지공파(承旨公派) 파조: 17: () 준남(俊男)

2) 낙천공파(樂川公派) 파조: 17: () 영남(英男)

3) 통덕랑공파(通德郞公派) 파조: 17; () 귀상(貴祥)

4) 방호공파(方壺公派) 파조: 17: () 준도(遵道)

5) 무과공파(武科公派) 파조: 17: () 검개(儉凱)

 

- 원파 : 10. 판결공파(判決公派) 파조: 14: () ()

* 지파 : 1) 처사공파(處士公派) 파조: 17: () 난수(蘭秀)

2) 통정공파(통정공파) 파조: 17: () 일도(逸道)

3) 참봉공파(參奉公派) 파조: 17: () 득도(得道)

4) 봉사공파(奉事公派) 파조: 17: () 입도()

 

- 원파 : 11. 사과공파(司果公派) 파조: 14: () ()

* 지파 : 1) 송헌공파(松軒公派) 파조: 17: () 완벽(完璧)

2) 가선공파(嘉善公派) 파조: 17: () 응도(應道)

* 원파 : 12. 우후공파(虞侯公派) 파조 : 14: () ()

* 지파 : 1) 통정공파(通政公派) 파조: 17: () 서도(瑞道)

2) 고성공파(固城公派) 파조: 17: () 응도(凝道)

3) 통훈공파(通訓公派) 파조: 17: () 정도(靜道)

4) 부사공파(府使公派) 파조: 17; () ()

5) 참의공파(參議公派) 파조: 17: () 익도(益道)

 

- 원파 : 13. 내헌공파(耐軒公派) 파조: 14: () ()

* 지파 : 1) 동계공파(東溪公派) 파조: 17: () 형도(亨道)

2) 송포공파(松浦公派) 파조: 17: () 종악(宗岳)

3) 신당공파(新堂公派) 파조: 17: () 수도(守道)

4) 남포공파(南浦公派) 파조: 17: () 순도(純道)

5) 지악공파(芝嶽公派) 파조: 17: () 동도(東道)

6) 처사공파(處士公派) 파조: 17: () 희도(熙道)

7) 동지공파(同知公派) 파조: 17: () 면도(勉道)

8) 간송당공파(澗松堂公派) 파조: 17: () 임도(任道)

9) 덕천공파(德川公派) 파조: 17: () 유도(由道)

* 16대 파조: () 도암공파/통칭

10)우제공파(愚齊公派) 파조: 17: () 위도(衛道)

*16대파조: () 두암공파/통칭

11)동추공파(同樞公派) 파조: 17: () 미도(味道)

 

- 원파 : 14. 남계공파(南溪公派) 파조: 14: () 수만(壽萬)

* 지파 : 1) 대소헌공파(大笑軒公派) 파조: 17: () 종도(宗道)

2) 함경공파(咸鏡公派) 파조: 17: () 기년(己年)

3) 호암공파(巖公派) 파조: 18: () ㅇㅇ(ㅇㅇ)

4) 판서공파(判書公派) 파조: 17: () 신도(信道)

5) 감찰공파(監察公派) 파조: 17: () 민도(敏道)

6) 동은공파(東隱公派) 파조: 17: () 원도(元道)

7) 어모공파(禦侮公派) 파조: 17: () 사도(思道)

 

- 원파 : 15. 절도공파(節度公派) 파조: 14: () 수천(壽千)

* 지파 : 1) 도사공파(都事公派) 파조: 17: () 현도(顯道)

2) 통정공파(通政公派) 파조: 17; () 천도(川道)

3) 충절공파(忠節公派) 파조: 17: () 산도(山道)

4) 첨정공파(僉正公派) 파조: 17: () 영도(詠道)

5) 사미당공파(四味堂公派) 파조: 17: () 중립(中立)

6) 부윤공파(府尹公派) 파조: 17: () 의탁(義卓)

7) 도정공파(都正公派) 파조: 17: () 영도(英道)

8) 승의공파(承義公派) 파조: 17: () 석문(碩文)

9) 인계공파(仁溪公派) 파조: 17: () 광벽(光璧)

 

- 원파 : 16. 현감공파(縣監公派) 파조: 14: () 수억(壽億)

* 지파 : 1) 현감공파(縣監公派) 파조:

 

- 원파 : 17. 참봉공파(參奉公派) 파조: 13: () 야호(野虎)

* 지파 : 1) 참봉공파(參奉公派) 파조:

* 원파 : 18. 소윤공파(少尹公派) 파조: 10: () ()

* 지파 : 1) 통덕랑공파(通德郞公派) 파조: 17: () ()

2) 동지공파(同知公派) 파조: 17: () 웅도(雄道)

3) 천계공파(泉溪公派) 파조: 17: () 근도(根道)

 

- 원파 : 19. 제학공파(提學公派) 파조: 11: () ()

* 지파 : 1) 제학공파(提學公派) 파조:

2) 교위공파(校尉公派) 파조: 17: () 택도(澤道)

3) 참봉공파(參奉公派) 파조: 17: () 충도()

 

- 원파 : 20. 덕공공파(德谷公派) 파조: 11: () 승숙(承肅)

* 지파 : 1) 현감공파(縣監公派) 파조: 12: () 종의(從義)

2) 제학공파(提學公派) 파조: 12: () 종례(從禮)

 

- 원파 : 21. 전서공파(典書公派) 파조: 10: () ()

* 지파 : 1) 전서공파(典書公派) 파조

 

 

10. 함안 조씨(咸安 趙氏) 대동(大同) 항렬표(行列表)

시조(始祖)

()

24

25

26

27

28

29

30

중시조(中始祖)

()

13

14

15

16

17

18

19

세손

(世孫)

13

14

15

16

17

18

19

항렬자

(行列字)

 

()

()

()

()

()

()

()

시조(始祖)

()

31

32

33

34

35

36

37

중시조

(中始祖)

()

20

21

22

23

24

25

26

세손

(世孫)

20

21

22

23

23

25

26

항렬자

(行列字)

 

()

()

()

()

()

()

()

시조(始祖)

()

38

39

40

41

42

43

44

중시조

(中始祖)

()

27

28

29

30

31

32

33

세손

(世孫)

27

28

29

30

31

32

33

항렬자

(行列字)

 

()

()

()

()

()

()

()

시조(始祖)

()

45

46

47

48

49

50

51

중시조

(中始祖)

()

34

35

36

37

38

39

40

세손

(世孫)

34

35

36

37

38

39

40

항렬자

(行列字)

 

()

()

()

()

()

()

()



11. 시조(始祖) 중시조(中始祖) : 항렬자(行列字)

 

24(13) : ()

25(14) : ()

26(15) : ()

27(16) : (), ()

28(17) : ()

29(18) : ()

30(19) : ()

31(20) : ()

32(21) : (), ()

33(22) : (), ()

34(23) : ()

35(24) : ()

36(25) : ()

37(26) : ()

38(27) : ()

39(28) : ()

40(29) : ()

41(30) : ()

42(31) : ()

43(32) : ()

44(33) : ()

45(34) : ()

46(35) : ()

47(36) : ()

48(37) : ()

49(38) : ()

50(39) : ()

51(40) : ()

52(41) : ()

 

 

12. 함안 조씨(咸安 趙氏) 인구수(人口數)

 

1985년 인구조사에서는 231,728명이 있었다.

 

 

끝으로 님의 건강과 행복이 충만 하시기를 빌겠습니다. 

2018.08.13.

  • 채택

    질문자가 채택한 답변입니다.

도움이 되었다면 UP 눌러주세요!
UP이 많은 답변일수록 사용자들에게 더 많이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