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AVER

질문 지학, 약관, 이립과 관련된 고사 좀 한문과 함께 알려 주세요
비공개 조회수 51,104 작성일2013.06.10
지학: 학문에 뜻을 두는 나이, 15세
약관: 관례를 치르는 나이, 20세
이립: 경제적으로나 사회적으로 독립하는 나이, 30세

공자가 한 말이라는데 어느 구절애 있는 말인지 몹시 궁금합니다. 꼭좀 알려주세요
프로필 사진

답변자님,

정보를 공유해 주세요.

1 개 답변
1번째 답변
프로필 사진
song****
초인
번역, 통역, 이슬람교 31위, 전세 분야에서 활동
본인 입력 포함 정보
 

이 말은 ≪論語(논어)≫ 爲政篇(위정편)에 있는 孔子(공자)의 말씀에서 나온 말이다. 공자는 일생을 회고하며 자신의 학문 수양의 발전 과정에 대해 ≪논어≫ 爲政篇(위정편)에서 이렇게 말했다. 나는 열다섯 살에 학문에 뜻을 두었고 [吾十有五而志于學(오십유오이지우학)-志學] 서른 살에(학문상) 자립했다. [三十而立(삼십이립)-而立] 마흔 살에는 미혹하지 않게 되었고 [四十而不惑(사십이불혹)-不惑] 쉰 살에 하늘의 명을 알게 되었다. [五十而知天命(오십이지천명)-知天命] 예순 살에는 남의 말을 순순히 이해하게 되었고 [六十而耳順(육십이이순)-耳順] 일흔 살이 되니 마음 내키는 대로 해도 법도를 넘어서지 않았다. [七十而從心所欲 不踰矩(칠십이종심소욕불유구)-從心] 나이 마흔 살을 일컫게 되어 지금 많이 쓰인다. 나이 마흔쯤 되니 세상 경험이 많아져 의혹됨이 별로 없다는 말일 것이다. 참고로 20세는 弱冠(약관)이라 하고, 삼십을 입년 대신 而立(이립)이라는 말을 쓰기도 하며, 오십을 명년 대신 知命(지명)이라는 말로 쓰고 있다. 두보의 시에 의하여 칠십은 古稀(고희)라는 말이 생겨서 지금은 종심보다는 고희라는 말을 많이 쓴다. 여자는 옛날 15살만 먹으면 쪽을 올리고 비녀를 꽂았다. 그래서 笄年(계년)이라면 여자의 나이 15세를 가리키게 된다. [주] 20세: 弱冠(약관), ≪禮記(예기)≫에서 온 말. 60세: 還甲(환갑). 70세: 古稀(고희), 杜甫(두보)의 시 ‘人生七十古來稀’에서 온 말. 77세: 喜壽(희수), ‘喜’의 草書體(초서체)는 七七이라 읽을 수 있음. 88세: 米壽(미수), ‘米’ 자를 파자하면 八十八이 됨.

출처

한자성어•고사명언구사전, 조기형, 2011.2.15, 이담북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NHN의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 불혹지년 [不惑之年] (한자성어•고사명언구사전, 2011.2.15, 이담북스)

2013.06.10.

  • 채택

    질문자⋅지식인이 채택한 답변입니다.

도움이 되었다면 UP 눌러주세요!
UP이 많은 답변일수록 사용자들에게 더 많이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