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AVER

질문 인수대비 에대하여,,
gksr**** 조회수 10,150 작성일2012.02.18

 요즘 은정나오는 인수대비를 보는데요

왜 인수대비보고 수빈한씨 라고부르는거예요????

 

프로필 사진

답변자님,

정보를 공유해 주세요.

3 개 답변
1번째 답변
프로필 사진
비공개 답변
초수

그 이유는 세조 때 장남인 덕종의 세자빈에 간택되어 수빈에 채택되었기때문입니다.

 

여기서 빈이란 장희빈할때 희빈, 수빈 이런 것입니다.

 

한마디로 인수대비는 한확의 딸이었으니 아버지의 성을 따라 수빈한씨가 된 것이고

 

1470년에 성종이 즉위하여 세자로서 죽은 수빈 한씨의 남편을 덕종으로 추존하자

 

수빈 한씨는 왕후에 책봉되었고 이어서 인수대비에 책봉되었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시대의 변화에 따라 명칭이 다른 것이고 결국은 같은 인물을 지칭하는 것입니다.

2012.02.18.

  • 채택

    질문자가 채택한 답변입니다.

도움이 되었다면 UP 눌러주세요!
UP이 많은 답변일수록 사용자들에게 더 많이 노출됩니다.
2번째 답변
프로필 사진
스파르타
고수
본인 입력 포함 정보

안녕하세요 저두 인수대비의 한 시청자이기전에 역사의 관심이 있는사람입니다.

 

질문:요즘 은정나오는 인수대비를 보는데요

왜 인수대비보고 수빈한씨 라고부르는거예요????

 

답변:그 이유는 세자빈으로 책봉이 되어서 왕비가 되면 빈으로 되는일은 없겠지만.

 

세자가 국왕이도 되기전에 요절한다면 그의 세자빈은 빈으로 불리게 됩니다.

 

왜! 조선시대의 한참 인기를 끊었던 영조의 서차남 사도세자(장조)가 영조의 어명의 의해 죽었잖습니까

 

그래서 사도세자의 아내이자 영조의 둘째며느리인 세자빈홍씨는 빈으로 불리게 되다가

 

아들 세손이 영조의 왕위를 이어받아 국왕이 되어서 헌경왕후 홍씨라고 추존이 되었잖습니까!

 

뭐 정순왕대비가 있어 대비는 못되었지만 월레 법적으로 따지자면 헌경왕후 홍씨(혜경궁홍씨)

 

의 시어머니는 물론 영빈 이씨겠지만 중전인 정순왕후 김씨가 됩니다. 물론 정순왕후 김씨가

 

영빈 이씨의 막내딸인 화완옹주 랑 영조의 후궁인 폐서인 문씨(숙의 문씨) 랑 손을잡아 영빈 이씨의

 

유일한 아들인 사도세자를 죽이고 양아들로 인정을안해도 후궁들이 아들을 낳으면 법적으로는

 

중전의 아들도 됩니다. 지금으로 따지자면 아내가 중전이되고 첩이 후궁이됩니다.

 

마찬가지로 영조의 중전들과 후궁들도 시어머니가 숙빈 최씨겠지만 법적으로는 인원왕후 김씨입니다.

 

뭐 이런애기 하자는건 아니구요!

 

 이것도 마찬가지입니다. 세조의 맏며느리인 세자빈 한씨가

 

아들 세자가 국왕이 되기도전에 요절하여 세자빈 한씨도 수빈 이라고 봉하여 수빈마마..

 

이렇게 불리게됩니다 그러다가 세조의 손자이자 덕종의 차남인 잘산군이 국왕이 되죠!

 

연산군이 아버지 성종이 그러자 수빈한씨는 다시 소혜왕후라고 추촌이 되고

 

바로 인수대비라고 추촌이 됩니다. 이상입니다.

2012.02.19.

도움이 되었다면 UP 눌러주세요!
UP이 많은 답변일수록 사용자들에게 더 많이 노출됩니다.
3번째 답변
프로필 사진
지식도우미
영웅
본인 입력 포함 정보
  • 유형

    인물

  • 시대

    조선

  • 출생-사망

    1437년(세종 19) ~ 1504년(연산군 10)

  • 성격

    왕비

  • 성별

  • 본관

    청주(淸州)

  • 저서(작품)

    내훈(內訓)

정의

1437(세종 19)∼1504(연산군 10). 조선 제7대왕 세조의 장남인 덕종의 비(妃).

내용

본관은 청주(淸州). 서원부원군 한확(韓確)의 딸이며, 좌리공신(佐理功臣) 치인(致仁)의 누이동생이다.

1455년(세조 1) 세자빈에 간택되어 수빈(粹嬪)에 책봉되었으나 세자가 횡사하였다. 1470년(성종 1) 소생 혈(?)이 성종에 즉위하여 세자로서 죽은 남편을 덕종으로 추존하자 왕후에 책봉되고, 이어서 인수대비(仁粹大妃)에 책봉되었다. 소생으로는 월산대군(月山大君)과 성종이 있다.

성품이 총명하고 학식이 깊어 정치에도 많은 자문을 하였다. 불경에 조예가 깊어 불경을 언해하기도 하였고 부녀자를 위하여 지켜야 할 도리인『내훈(內訓)』을 간행, 후세에 귀중한 연구 자료가 되고 있다.

손자 되는 연산군이 생모 윤비(尹妃)가 모함에 의하여 폐위, 사사되었다는 사실을 알고 박해를 가하려 하자, 병상에 있던 대비가 이를 꾸짖으니 연산군은 머리로 대비를 받아 얼마 후 절명하였다. 능은 경릉(敬陵)으로 경기도 고양시 신도면 서오릉(西五陵)에 덕종과 합장되어 있다.

2012.02.19.

  • 출처

    네이버 검색

도움이 되었다면 UP 눌러주세요!
UP이 많은 답변일수록 사용자들에게 더 많이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