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AVER

질문 집강소의 설치가 갖는 역사적 의미를...
비공개 조회수 2,723 작성일2018.07.17
집강소의 설치가 갖는 역사적 의미를 현대적 상황으로 해석해주세요
프로필 사진

답변자님,

정보를 공유해 주세요.

1 개 답변
1번째 답변
프로필 사진
tedd****
고수
사회, 도덕 분야에서 활동
본인 입력 포함 정보
동학농민운동이 일어나기 이전, 당시 시대적 분위기를 살펴보면
세도정치 가문 아래 농민들에 대한 수탈과 억압, 관리들의 부정부패가 만연한 세도정치기(1800~1863)을 
지나 고종 즉위(1863)후 개화/쇄국 파의 대립, 병인, 신미양요, 운요호 사건, 임오군란 등
사회적으로 매우 혼란한 상태였습니다.

이러한 분위기 속에서 고부군수 조병갑의 횡포로 처음 봉기한 동학농민운동은 
1894년 관군과의 전투 끝에 승리해 전주성을 점령하고 1894년 5월 정부 대표 초토사 홍계훈과 전주 화약을 맺게 됩니다.

이때 동학농민군들은 반근대적, 봉건적인 악습들을 폐지하고자 12가지 폐정개혁안을 조건으로 휴전협정을 맺고 개혁안 착수를 위해 전라도 일대에 집강소를 설치했습니다.
(내용 : 동학교도와 정부와의 숙원을 없애고 공동으로 서정()에 협력할 것,
② 탐관오리의 죄상을 자세히 조사 처리할 것,
③ 횡포한 부호를 엄중히 처벌할 것,
④ 불량한 유림과 양반을 징벌할 것,
⑤ 노비문서를 불태울 것,
⑥ 칠반천인()의 대우를 개선하고 백정의 머리에 쓰게 한 평양립()을 폐지할 것,
⑦ 청상과부의 재혼을 허가할 것,
⑧ 무명의 잡부금을 일절 폐지할 것,
⑨ 관리 채용에 있어 지벌()을 타파하고 인재를 등용할 것,
⑩ 일본과 상통하는 자를 엄벌할 것,
⑪ 공사채()를 막론하고 기왕의 것은 모두 면제할 것,
⑫ 토지는 균등하게 분작()하게 할 것 등이다. )

이러한 운동은 결국 다음 달인 1894년 6월에 발발한 청일전쟁과 2차 동학농민운동의 실패로 
제대로 실천되지 못하였지만,
집강소의 설치는 봉건적 사회를 탈출하고 평등한 근대적 사회로 진입하기 위한 움직임으로 해석할 수 있으며 
조선 최초로 어찌보면 반란군인 동학농민군의 요구를 수용해 실시하고자 집강소를 설치하였으므로
절대적인 왕권에서 벗어나 당시 백성들의 의견을 수렴하고자 했던 노력으로 평가할 수 있습니다.



  

2018.07.17.

도움이 되었다면 UP 눌러주세요!
UP이 많은 답변일수록 사용자들에게 더 많이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