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AVER

질문 뭉크의 절규 설명좀
소광 조회수 19,992 작성일2010.07.07
뭉크의 절규의 표현 방법, 작품 설명 등 여러가지 설명 부탁드립니다. 
프로필 사진

답변자님,

정보를 공유해 주세요.

1 개 답변
1번째 답변
프로필 사진
ethn****
수호신
세계사 24위, 한국사 70위, 사회학 14위 분야에서 활동
본인 입력 포함 정보

절규 (絶叫, 노르웨이명; Der Schrei, 영어 번역명; The Scream, The Cry)는 노르웨이의 표현주의 화가 에드바르트 뭉크(Edvard Munch:1863∼1944) 1893년도 작품으로

노르웨이 오슬로의 뭉크 미술관에 소장되어 있습니다.

 

직접적으로는

1893년 이 그림을 제작하기 전 뭉크는 친구들과 거리를 걷다가 저녁노을을 보고

아래와 같은 유명한 일화가된 일기를 남겼습니다. 따라서 그 내용으로 보아 이와

같은 경험이 바탕이 되어 절규가 그려 졌었다 추측 할 수가 있습니다.

친구 두 명과 함께 길을 걷고 있었는데 거리와 피오르드가 내려다보이는 언덕 쪽으로

태양이지고 있었습니다. 바로 그 순간 갑자기 나는 너무 슬펐습니다. 하늘이 돌연 피처럼

붉게 물들었습니다. 나는 마음이 너무나 초조해저서 그 자리에 멈추어 서고 난간에

기대었으며 칼에서 뚝뚝 떨어지는 피처럼 검푸른 피오르드와 거리 위로 낮게 깔린 불타는

듯한 구름들을 바라 보았습니다.

두 친구는 잠시 동안 나를 물끄러미 쳐다 보더니 다시 걷기 시작했습니다.

나는 공포에 떨면서 소스라치게 그 자리에 줄곧 서있었습니다. 그리고 언제 끝날지도

모르는 자연의 날카로운 절규가 대기를 갈기갈기 찢는 것 같이 느꼈습니다. 이 강렬한

체험이 바탕이 되어 절규가 그려졌다고 생각 할 수가 있습니다.

 

간접적으로는

뭉크의 불행한 성장 환경이 일조했다고 볼 수가 있습니다. 어릴 적부터 어머니와 누이의

자전 병과 이들의 죽음을 목격했고 이로 인해서 정상적인 가족간의 유대 관계와 보호를

경험하지 못하여 과목 함과 슬픔, 죽음에 대한 모호한 공포가 어쩔 수없이 그의 작품에

반영 되었다고 볼 수가 있습니다.

 

뭉크의 절규(The Screem)가 만들어지기까지..

친구 둘과 함께 길을 걸어가고 있었다. 해질녂이었고 나는 약간의 우울함을 느꼈다. 그 때 갑자기 하늘이 핏빛으로 물들기 시작했다. 그 자리에서 멈춰선 나는 죽을 것만 같은 피로감으로 난간에 기댔다. 그리고 핏빛 하늘에 걸친 불타는 듯한 구름과 암청색 도시와 피오르드에 걸린 칼을 보았다.
내 친구들은 계속 걸어갔고, 나는 그 자리에 서서 두려움으로 떨고 있었다. 그 때 자연을 관통하는(가로지르며 울리는) 비명소리를 들었다.

- 뭉크의 일기 中

뭉크에게 있어 그 장소(절규의 배경으로 추정되는 노르웨이 피오르드 해안)는 매우 다른 의미를 가지는 곳이었다. 언덕 아래에는 바로 정신병원이 위치하고 있었는데, 사람들의 말에 따르면 병원에서 종종 미친 여자의 비명소리가 들렸다고 한다(화가의 동생 로라도 우울증에 시달리다 1892년 정신병원에 입원했다). 또한 근처에는 방목장과 도살장도 있어서, 이 역시 작품의 분위기를 짐작할 수 있게 한다. 뿐만 아니라 뭉크의 절친한 친구였던 칼레 로헨이 문제의 장소 근처에서 자살을 시도한 적이 있었다고 한다.

- 모니카 봄 두첸, <세계명화 비밀 The Private Life of a Masterpiece>, 뭉크의 절규 편

 

 

<절규> 이 그림 속에는 평생토록 죽음의 망상에 시달린 뭉크의 내면세계가 담겨 있다.
뭉크의 ‘절규’를 한번 본 사람은 결코 그 강렬한 인상을 쉽사리 잊지 못할 것이다. 
 
핏빛으로 물든 하늘과 암청색 물결, 다리 난간 아래로 보이는 회오리치는 피오르드 사이로 어디선가 불길하고 날카로운 비명소리가 들려오는 것 같지 않은가.
 
뭉크의 ‘절규’는 그의 내면 속에 웅크리고 있는 소리 없는 공포를 표현하고 있는 듯하다. 뭉크는 평생토록 죽음의 망상에 시달렸다. 그 이유는 그의 유년 시절을 불행으로 덧칠했던 어머니와 누나들의 연속적인 죽음에서 찾을 수 있다.
 
어머니는 결핵을 앓다 33살의 젊은 나이에 세상을 떠났다. 뭉크가 겨우 다섯 살이 되던 해의 일이었다. 어머니의 죽음은 집안에 암흑의 그림자를 드리웠다. 밝고 명랑했던 아버지의 모습은 사라졌고 딱딱하고 음울한 그림자가 집안 전체에 드리워졌다.
 
하지만 절망과 비극은 여기서 그친 것이 아니었다. 뭉크가 열세 살이 되던 해에 누나 소피에가 결핵으로 죽었고 얼마 후 동생 라우라마저 착란 증세에 시달리다 정신병원에서 숨을 거뒀다. 누구에게나 장밋빛으로 빛나야할 유년시절이 소년 뭉크에게 있어서는 죽음과 젊망의 검은 빛으로 덧씌워진 것이다. 
 
뭉크의 작품 속에서 죽음의 그늘이 드리워져 있는 여성의 모습이 유독 자주 등장하는 것도 누나들의 연속된 죽음에서 원인을 찾을 수 있다.  ‘병든 소녀’와 ‘병실에서의 죽음’이라는 작품은 누나 소피에가 결핵에 걸려 투병하던 당시의 모습을 형상화한 것으로 보이며 ‘라우라’라는 부제가 붙은 ‘우울’이라는 작품은 정신착란으로 괴로워하던 여동생의 모습을 회상한 것으로 보인다.
 

<병든 아이> 유년시절 어머니와 누이의 잇따른 죽음으로 인해 뭉크의 그림 속에는 유독 죽음의 그늘이 드리워진 사람들이 자주 등장한다.

 
가족들의 죽음과 불행은 감수성이 풍부한 어린 소년 뭉크에게 매우 큰 영향을 미쳤을 것이다. 생각해보라. 어머니와 누이들이 차례차례 싸늘한 시신으로 변해 어린 소년의 곁을 떠나는 광경을. 그리고 어둡고 텅 빈 집에 웅크리며 앉아 숨죽여 울고 있는 소년의 모습을.

어머니와 누이들의 죽음 이후 뭉크는 평생 동안 여성과 깊은 관계를 맺는 것을 극도로 피했다. 뭉크에게 있어서 여성은 나약하고 병든 존재, 그리고 언젠가는 자신을 영영 떠나 깊은 상처를 남길 존재였으리라.
 
그러던 중 뭉크의 여성공포증을 더욱 심화시키고야마는 큰 사건이 일어난다. 청년 뭉크를 열렬히 사랑하던 한 여인이 집착이 광기에 달해 급기야 그를 향해 총을 쏜 것이다. 그로인해 뭉크의 손가락 하나가 반쯤 잘려나가고 만다. 이 사건은 뭉크에게 마치 여성으로부터 거세를 당하는 듯한 트라우마를 안겨주었다. 손목이나 손가락을 자르는 형벌은 거세의 변주이기도 하기 때문이다. 
 
뭉크의 말년은 더욱 비참했다. 신경쇠약과 알코올 중독으로 정신분열을 앓던 뭉크는 1944년 아무도 없는 싸늘한 작업실에서 급작스럽게 찾아온 심장마비로 세상을 떠나고 만다. 참으로 고독하고 쓸쓸한 죽음이었다.
 
뭉크의 삶을 한마디로 표현한다면 ‘고독’과 ‘절망’이라는 단어로 표현할 수 있지 않을까. 고독과 우울을 뭉쳐놓은 것 같은 사람. 그가 바로 에드바르트 뭉크였다.
 
하지만 뭉크의 상처받은 영혼 깊숙한 곳에는 진실한 사랑을 갈구하는 다섯 살 소년이 살아 있었다. 어머니와 누이의 죽음 앞에서 웅크리고 앉아 울고 있는 소년.
 
뭉크의 ‘절규’ 속에서 그 소년의 안타까운 절규와 울음이 들려오는 것 같다.

2010.11.10.

  • 채택

    질문자⋅지식인이 채택한 답변입니다.

  • 출처

    adad34

도움이 되었다면 UP 눌러주세요!
UP이 많은 답변일수록 사용자들에게 더 많이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