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 메뉴로 바로가기 주제분류 메뉴로 바로가기 본문으로 바로가기

한국민족문화대백과

조원재

[ 趙元在 ]

유형 인물
시대 근대/일제강점기, 현대
출생 - 사망 1903년 ~ 1976년
성격 건축가, 대목장
성별
저서(작품) 덕수궁 중화전(중건), 창덕궁 대조전(복건), 남한산성 팔각정, 오대산 상원사 종루, 파고다공원 삼일문
대표관직(경력) 동양건축사 사장, 한도실업 사장

목차

  1. 정의
  2. 내용

정의

해방 이후 남한산성 팔각정, 오대산 상원사 종루, 파고다공원 삼일문 등의 공사를 담당한 건축가. 대목장.

내용

1930∼1960년대에 주로 활동하였으며 초기에는 스승인 최원식 밑에서 조계사 및 봉은사 법당(그 뒤 다시 지어짐) 등을 같이 지으면서 일을 배웠다.

최원식은 덕수궁 중화전(中和殿) 중건(1906)과 1917년에 화재를 입은 창덕궁 대조전(大造殿)을 비롯한 내전(內殿) 일곽을 복건(1920)할 때 참여한 뛰어난 전통궁궐목수였다. 그 뒤 조원재는 동양건축사(東洋建築社)와 한도실업을 설립, 자영하였고, 1956년 강진 무위사 수리공사시에는 지명경쟁입찰을 통하여 공사를 맡아하였다.

이 공사는 광복 후 우리나라 국보급 고건축에 대하여 처음으로 실시된 보존공사였다. 그의 대표적 일로서는 남대문 중수공사를 들 수 있다. 전화(戰火)에 의한 피해와 주변에 부설(敷設)한 전차궤도의 진동으로 퇴락해가는 남대문을 수리하기 위하여 1961년 7월 중수공사가 실시되었다.

이 때 그는 목조건축물의 해체공사를 도급, 운영하였을 뿐만 아니라, 도편수(都片手 : 목수의 우두머리)로서 중수를 위한 치목공사(治木工事)를 주관하였다.

당시 해체실측제도 및 복원도(復元圖) 작성은 임천(林泉)이 하였고, 부편수(副片手)로 있던 이광규(李光奎)는 조원재의 수제자이다. 이밖에도 그의 작품으로는 남한산성 팔각정, 오대산 상원사 종루, 파고다공원 삼일문 등이 있다.

1967년 진주성 중건 시에는 촉석문을 제외한 목조건물의 재건공사를 담당하였다. 그는 전통궁궐목수의 기술을 전수받은 뛰어난 목수로서, 임배근과 함께 일제시대 이후 전통건축 계승에 중요한 구실을 하였다.

참고문헌

  • 『서울남대문수리보고서(南大門修理報告書)』(서울특별시교육위원회, 1965)
  • 『무위사극락전수리보고서(無爲寺極樂殿修理報告書)』(국립박물관, 1958)
  • 「한국근대화과정(韓國近代化過程)의 건축제도(建築制度)와 장인활동(匠人活動)에 관한 연구(硏究)」(김란기, 홍익대학교박사학위논문, 1989)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 등에 따라 법적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외부 저작권자가 제공한 콘텐츠는 네이버의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