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AVER

질문 음성군 대소면의 문화재
qkrq**** 조회수 468 작성일2019.04.23
음성군대소면에는어떤문화재들이 있는지알려주세요.
프로필 사진

답변자님,

정보를 공유해 주세요.

2 개 답변
1번째 답변
프로필 사진
lt****
절대신
2019 지역&플레이스 분야 지식인
본인 입력 포함 정보

(충청북도 음성군 대소면의 문화재)


1.청자 상감‘상약국’명 음각운룡문 합


종 목  보물 제646호

지 정 일  1978.12.07

소 재 지  충청북도 음성군 대소면 대풍산단로 78 (대풍리 37) 한독의약박물관

시 대  고려시대


청자 상감‘상약국’명 음각운룡문 합은 뚜껑 달린 원통형의 그릇으로, 높이 9.6㎝, 아가리 지름 7.5㎝, 밑지름 6.0㎝의 합이다.

고려 청자에는 이런 합이 상당수 전해지고 있는데, 키가 작고 납작한 형태와 키가 크고 원통형을 이루고 있는 형태로 나눌 수 있다. 이 합은 키가 크고 원통형으로 전체적으로 단순한 모양이다. 그릇 아래쪽과 뚜껑 위쪽 모서리를 비스듬히 깍아내 매우 부드럽고 듬직한 형태를 갖추고 있다. 뚜껑 위의 둥근 평면에는 정교한 솜씨로 구름과 학 모양을 새겨 넣었다.

이 합에서 주목되는 것은 몸체 윗부분과 뚜껑 아랫부분에 흰색으로 상감 처리한 ‘상약국’이라는 글자인데, 이런 종류의 합은 매우 드물다.

상약국이란 고려시대에 의약을 담당하던 관청으로, 이 합이 약을 담는 용도로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상약국은 고려 목종 때(재위 997∼1009)부터 충선왕 때(재위 1308∼1313)까지 있었는데, 이 합은 그 기간 중에서도 12세기 경에 제작된 것으로 보인다.

이와 비슷한 ‘상약국’글자가 있는 청자 파편이 전라남도 강진군 대구면 용운리 가마에서 출토된 바 있고, 국립중앙박물관과 일본 대화문화관에도 비슷한 합이 소장되어 있다.


2.언해태산집요


종 목  보물 제1088-2호

지 정 일  1991.12.16

소 재 지  충청북도 음성군 대소면 대풍산단로 78 (대풍리 37) 한독의약박물관

시 대  조선시대


『언해태산집요』는 출산에 관한 증세 및 약방문을 적은 의학서적으로, 선조 41년(1608)에 임금의 건강과 병을 돌보던 어의 허준(1546∼1615)이 왕의 명에 의해 한글로 번역하여 내의원에서 훈련도감자로 간행하였다.

허준 선생은 선조 7년(1574) 의과에 급제하여 이듬해 내의원의 의관이 되었다. 1592년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왕을 모시고 의주까지 피난을 갔으며, 그 공을 인정받아 공신으로 추대되었으나 중인신분에 과하다는 여론이 일자 취소되었다. 그 유명한『동의보감』은 그가 관직에서 물러난 뒤 16년간의 연구 끝에 완성한 한의학의 백과사전격인 책이며, 허준 선생은 이외에도 중국의 의학서적을 한글로 번역하는 데에도 많은 업적을 남겼다.

이 책은 자식 구하여 낳는 방법으로부터 시작하여 임신 중의 여러 증세와 약방문, 출산 때에 지켜야 할 일과 금기일 등을 서술하고 있다. 책 끝에는 간행기가 있고 표지 뒷면에는 내사기(임금이 신하들에게 책을 내리면서 쓴 언제 누구에게 무슨 책을 주었는가에 대한 기록)가 있으며, 책머리에 선사인이 찍혀있다. 이 책은 선조 41년 당시 대사성인 김륵에게 하사한 것이며, 보존상태가 불량하여 여러 겹으로 겹쳐붙였다. 한독의약박물관에는 목판본이 있는데 보존상태가 양호하며, 체재와 내용은 모두 동일하다.


3.찬도방론맥결집성 권1, 3


종 목  보물 제1111호

지 정 일  1991.12.16

소 재 지  충청북도 음성군 대소면 대풍산단로 78 (대풍리 37) 한독의약박물관

시 대  조선시대


허준(1546∼1615)이 선조의 명에 따라 중국 육조시대의 고양생이 편찬한『찬도맥결』이란 책을 교정하여 광해군 4년(1612)에 간행한 책이다. 고양생이 저술한『찬도맥결』은 중국의 중세 이전의 유명한 의원인 희범, 결고, 통진자 등의 맥론을 모아 편집한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내용을 보면 진맥입식으로 시작하여 여러 방식의 진맥법과 오장육부, 각종 병세에 따른 진맥법 등이 항목별로 기술되어 있는데 모두 29개 부문으로 나누어 적고 있다.

이것은 조선시대 의학의 수준을 가늠할 수 있는 좋은 자료이며, 허준이 『동의보감』을 저술하는데 많은 기여를 한 것으로 보인다. 


4.의방유취 권201


종 목  보물 제1234호

지 정 일  1996.01.19

소 재 지  충청북도 음성군 대소면 대풍산단로 78 (대풍리 37) 한독의약박물관

시 대  조선시대


세종 27년(1445)에 왕의 명에 의해 편찬된 한방의학의 백과사전으로, 이는 성종 8년(1477)에 활자로 다시 찍어낸 총 266권 264책 가운데 201권 1책이다.

이 책은 집현전 부교리 김예몽, 저작랑 유성원 등이 의방을 수집하고 뒤에 다시 신석조, 김수온 등에게 명하여 의관 전순의 등으로 하여금 편찬하게 하고, 안평대군, 도승지 이사철 등이 감수하였다. 총 365권으로 편성되었으나 수차례의 교정과 정리를 거쳐 266권 264책으로 편성되어 성종 8년(1477)에 한계희·임원준 등이 30부를 인출하였다. 그 후 다시 간행되지 않았다. 처음 간행한 30부는 대부분 임진왜란 때 없어졌는데, 총 264책 중 252책이 임진왜란 때 왜의 장수 가등청정에게 약탈되어 현재 일본 궁내청 도서료에 처음 찍은 본이 유일하게 남아있다.

이 책은 「보단요결이」, 「주씨집험방」, 「왕씨집험방」, 「수친양로서」, 「사림광기」, 「산거사요」등 여섯 의방을 옮겨 실었다.

이 책은 국내에서 처음 발견된 유일한 초판본이라는 점에서 의학서적과 관련된 인쇄문화사 연구의 귀중한 자료로 평가된다.


5.향약제생집성방 권4~5


종 목  보물 제1235호

지 정 일  1996.01.19

소 재 지  충청북도 음성군 대소면 대풍산단로 78 (대풍리 37) 한독의약박물관

시 대  조선시대


고려시대 김희선 등이 모은 『삼화자향약방』과 조선시대 권중화가 펴낸 『향약간역방』을 중심으로, 당시의 의료경험과 의학서적을 참고·보충하여 태조 7년(1398)에 펴내고, 이듬해 김희선이 강원도에서 간행한 의학과 약학에 관한 서적이다.

『향약제생집성방』총 30권 가운데 제4, 5권의 영인본으로 완질이 아니다. 권4는 44장 가운데 앞부분 1∼9까지 9장, 권5는 44장 가운데 41∼44장까지 4장이 빠져있으며, 권4는 12항 24자, 권5는 12항 22자로 글자수와 판식에서도 약간 차이가 있다. 권근의 『양촌집』과 김성수의『한의학서지 발전에 관한 고찰』에 의하면, 그 간행경위와 약방문 수록 범위 등을 대략 유추할 수 있다. 즉 전 30권에는 ‘338종의 질병의 증상과 2,803종의 약방문을 수록하고 있으며, 당시의 의료경험을 개괄적으로 설명한 다음, 약방문을 질병의 부문별로 제시하고 그에 따르는 설명을 하고 있다’고 한다.

특히 이『향약제생집성방』은 세종 15년(1433)에 간행된 『향약집성방』의 기초가 될 뿐만 아니라, 한국에서 자생하는 약초로 우리나라의 풍토와 체질에 맞는 향약을 개발, 적용하였다는 점에서 그 가치가 매우 높다. 이 책은 제6권(보물 제1178호)보다 인쇄상태 등이 다소 양호하다.


6.구급간이방 권6


종 목  보물 제1236-1호

지 정 일  1996.01.19

소 재 지  충청북도 음성군 대소면 대풍산단로 78 (대풍리 37) 한독의약박물관

시 대  조선시대


구급의방을 집대성하여 민간에서 사용할 수 있게끔 만든 한글로 쓴 한의학 서적으로, 조선 성종 20년(1489)에 윤호, 임원준 등이 임금의 명을 받들어 편찬하여 목판본으로 간행한 것이다. 이것은 활자로 다시 간행한 총 8권 가운데 권6의 1책이다.

질병을 중풍, 두통 등 127종으로 나누어 그 치료방문을 모아 엮었으며 누구나 알기 쉽게 한글로 번역하여 쉽게 편찬하였다. 이 책은 초간본은 전하지 않고, 을해자본으로 그대로 뒤집어 새긴 중간본만 전한다. 그러나 현존하는 중간본도 전질이 아니라 권1, 2, 3, 6, 7의 5권 5책만 전하고 있다. 이들은 같은 판본이 아니나, 임진왜란 이전의 간행본임에는 틀림없다.

이 책은 희귀한 한글의학서적으로서 의약서적과 관련된 인쇄문화연구는 물론 국어연구에도 매우 중요한 자료로 평가된다.


7.동의보감


종 목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345호

지 정 일  2012.10.12

소 재 지  충청북도 음성군 대소면 대풍산단로 78 (대풍리 37) 한독의약박물관

시 대  조선시대


「동의보감」은 1596년(선조 29) 왕명에 따라 허준(1539~1615)이 유의 정작, 태의 양예수 ‧ 김응탁 ‧ 이명원 ‧ 정예남 등과 함께 1610년(광해군 2)에 25권 25책으로 완성한 의서이다.

「동의보감」은 고 김두종 박사가 한독의약박물관에 기증한 문화재로 내경편 권2와 외형편 권1, 침구편 등 3권 3책이다. 「동의보감」은 비록 완질본은 아니지만, 조선시대 중기의 목판인쇄문화는 물론 한의학 및 서지학의 연구에 활용될 수 있을 자료이다.


8.언해두창집요


종 목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346호

지 정 일  2012.10.12

소 재 지  충청북도 음성군 대소면 대풍산단로 78 (대풍리 37) 한독의약박물관

시 대  조선시대


「언해두창집요」는 1601년(선조 34)에 허준이 선조의 명을 받아 지은 것을 1608년에 내의원에서 발간한 의서로 상·하 2권이다. 이 책은 1601년 두창에서 회복한 광해군 뿐만 아니라 임진왜란 직후 창궐한 두창을 치료하기 위해 한글 언해본으로 간행하였다.

「언해두창집요」는 고 김두종 박사가 한독의약박물관에 기증한 문화재로 상권 1책이다. 조선 중기의 목판 인쇄문화는 물론 17세기 국어사 연구를 위한 중요한 자료적 가치를 지니고 있다. 


9.음성 어재연 · 어재순 묘소


종 목  충청북도 기념믈 제162호

지 정 일  2014.10.02

소 재 지  충청북도 음성군 대소면 성본리 산22-1 일원

시 대  대한제국시대


1871년(고종 8년) 신미양요 때 미국군과 교전하다 광성진 전투에서 순국한 어재연 장군 어재순 형제 묘소이다. 대소면 성본리에 있는 어병산의 산 능선 정상부에 원형분 2기가 서남쪽 방향으로 두 봉분으로 된 묘소가 좌우로 나란히 자리 잡고 있다.

묘소 좌우에는 묘비가 각각 세우져 있고, 묘소 앞에 상석이 한기씩 설치되어 있으며, 그 앞으로 장군석 2기와 장명등이 세워져 있다.

묘소 아래에는 재실인 쌍충재가 정면 3칸, 측면 1칸 반의 맞배지붕 목조기와집으로 건리되어 있고, 쌍충재 아래 서남쪽 산끝자락에 어재연, 어재순의 신도비 2기가 세워져 있다.


10.박순 사당


종 목  음성군 향토문화재 제12호

지 정 일  2002.05.18

소 재 지  충청북도 음성군 대소면 대금로247번길 52-2 (오류리 226-2)

시 대  조선시대


음성군 대소면 오류리 오리골 마을입구에 충신 박순 (? - 1402년)의 충절과 그의 처 장흥임씨 (?∼1402년)의 열행과 박호원 (1599년∼1627년)과 박정규 (1677년∼1724년)의 효행 등 음성박씨 4인의 충효열을 기리기 위하여 합설한 정려이다.


박순은 조선 초기의 무신으로 본관은 음성이고 박문길이 아들이다. 고려 우왕 14년(1388년)의 요동정벌때 이성계의 휘하에서 종군하였으며 조선이 개국하자 상장군이 되었다. 태조 7년(1389년) 왕자의 난 때 태종을 도왔으며 태종 2년(1402년)에 함흥차사를 자원하여 태조의 환궁의 확답 받았으나 태조의 수하에게 용흥강에서 피살되었다. 태종이 그의 공을 찬양하여 판승추부사에 증직하고 충신정려를 내리고 숙종조에 충민이라는 시호를 내렸다.


박순의 충신각은 조선 숙종 12년(1686년)에 처음 삼성면 상곡리에 세웠는데 고종 23년(1886년)에 중수하였다가 퇴락하자 1970년 지금의 위치로 옮기어 충효열각으로 합설 신축하였다.


박순의 처 장흥임씨는 고려시대 대사헌을 지낸 임헌의 딸로서 함흥차사로 떠난 남편이 죽었다는 소식을 듣고 자결하여 태종이 묘지를 하사하고 고향에 열녀문을 세우도록 하여 처음에는 경기도 고양시 벽제면 성석리에 있었으나 순조때 후손인 박래복이 이곳으로 이거한 후에 재건하였다.


<열녀 증숭정대부판승추부사행상호군 증익충민공박순처 증정경부인장흥임씨지문숭정기원후 사병술 오월 일중게> 충민공의 사자와 충효열각이 하나의 건물로 지어진 구조가 특이하다. 둘레에는 이중의 담장을 둘렀고 박삼문과 내문이 설치되었다.


1952년과 1978년 1차에 걸쳐 주청 및 중수를 하였고, 1997년에 보수하고 1998년에 내담장과 내문을 신축하였다.

2019.04.23.

  • 채택

    질문자⋅지식인이 채택한 답변입니다.

도움이 되었다면 UP 눌러주세요!
UP이 많은 답변일수록 사용자들에게 더 많이 노출됩니다.
2번째 답변
프로필 사진
삭제된 답변
작성자가 직접 삭제한 답변입니다.
2019.04.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