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AVER

질문 찬기파랑가에대해서
0103**** 조회수 3,955 작성일2006.10.26

찬기파랑가에대해서쫌알려주세요

국어수행평간데도저히찾아도내가찾고싶은

해답이없어서이런게질문을합니다

일단구체적으로제가말해드릴게요

찬기파랑가에대한거에요

 

*시대:

 

1.관련장르

2.이장르의시대적특징 3~4가지정도

3.담당작가소개

4.담당작품요약(운문은3~4행,산문은줄거리3~4줄로)

제목:

요약:

5.작품해설(3~4줄)

6.이시대의장르적특징과이작품의연관성

 

이렇게됩니다 까다롭겟지만

부탁드려요

내일제출일인데감정당하지만제대로해서1일늦게

내려구요............그럼부탁드림다

내공팍팍드릴게요

프로필 사진

답변자님,

정보를 공유해 주세요.

1 개 답변
2번째 답변
프로필 사진
save****
초수
카메라, 캠코더 분야에서 활동
본인 입력 포함 정보

1. 향가란?

 

향가란 신라시대에 가창된 우리말 노래를 총칭한 용어인데, 현제 향찰문자로 표기된 신라시대의 시가 14수와 고려초기 균여의 보현십종원앙가 11수 및 예종의 도이장가를 두고 지칭하되, 전자 25수를 협의의 향가, 후의 1수를 광의의 향가로 다루고 있다.

 

2. 향가의 의미

 

향가라는 명칭에 대해서는 '鄕(시골향)'이 내포한 자기비하적 의미를 염두에 두고, 우리시가를 낮추어 향가라고 불렀다는 견해와  '鄕(시골향)이 결코 자기비하적 의미만을 가진 한자어가 아닌 만큼 중국 시가와 대등한 위치에서 서로 구별하기 위해 쓰여진 ' '우리 노래' 또는 '우리말의 노래'의 명칭이라 보는 견해가 있으며, 후자가 일반적인 견해이다.

 

3. 이 장르의 시대적 특징

향가는 '우리말로 된 노래'이니 향찰문자(성립연대 7세기)가 발생하기 이전에도 존재 했을 것이나, 그것은 어디까지나 구비문학의 범주에 드는 시가이고, 현전 향가를 보면, 향찰문자가 나오기 전에 혜성가가 존재 했음을 보아 삼구육명의 사뇌가 형식은 5세기 초, 중엽에 형성되었을 것이다. 이는 불교 경전에서의 차자형식의 수용과 일본에 사뇌가 형식과 비슷한 시라기노래가 5세기에 창작된 점으로 보아 할 수 있을 뿐더러, 장르의 형성 요인이 한 시대의 신분 계층의 변동과 연계된다면 5세기경 김씨 왕권을 중심으로 한 새로운 지배계층의 형성이 이루어짐으로써 새로운 시가 양식인 사뇌가 형식이 이루어진 것이다.

* 사뇌가는 3구6명으로 이루어진 향가의 형식적인 한 갈래입니다.

 

그 내용을 살펴 보면 먼저 작가층을 범국민적 계층으로 한정하는 경우에 향가를 국풍적 성격으로(대중적 성격), 승려를 중심으로 한 견해에서는 신라 귀족의 호화스러운 향락을 내세에까지 연장하고자 하는 기능으로, 낭승집단(승려+화랑)으로 보는 견해에서는 화랑사상과 불교의 이상주의라는 신라정신의 두 가지 지주를 아울러 대변하면서 집단의 결속과 개인의 표현을 함께 감당하는 기능으로 보고있습니다.

 

세부적인 내용과 작품의 성격을 위주로 분류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가. 민요적 계열 : 서동요, 풍요

나. 불교적 계열

      1) 주밀적 계열 :  도솔과, 혜성가, 도천수대비가

      2) 현교적 계열 : 원왕생가, 안면가, 우적가, 보현십종원왕가 11수

다. 서정적 계열 :  헌화가, 모죽지랑가, 찬기 파랑가, 원가, 제망매가

라. 주가적 계열 : 처용가

 

4. 담당작가 소개

향가는 승려의 작품 18수를 필두로 하여, 승려와 가장 긴밀한 유대로 연결되어 있던 낭도의 작품이 3수, 그리고 여류의 작품 1수는 독실한 불교 신도의 작품이었으니, 현전 향가 25수중 22수가 불교에 관련된 사람, 또는 그러한 고도한 문화 생활을 누릴 수 있는 고급 문화인에 의해 제작되었다. 또한 당대의 이름 높은 향가 시인들은 대부분 월명사, 충담사, 융천사, 균여대와 같은 고승들이었다.

향가의 작가는 승려 또는 화랑도를 중심으로 하는 당시의, 문화층에 속하는 극히 국한된 부류만이 향가의 작가였다 할 수 있다.

* 찬기파랑가의 작가도 충담사(승려)입니다.

 

5. 담당작품 요약

 

열치매 나타난 달이 / 흰 구름 좇아 떠가는 것 아니야? / 새파란 나리에 / 기랑의 모습이 있어라. / 일로 나리 조약에 / 낭 지니시던 / 마음의 끝을 좇누아져 / 아아, 잣가지 높아 / 서리 모르시올 화반이여

* 운문이라 딱히 요약을 할 것도 없군요..

 

6. 작품해설

 

충담사가 기파랑의 고매한 인격을 찬양하기 위해 지어 부른 서정적 사뇌가로 현전향가 가운데 가장 뛰어난 작품으로서, '달//구름, 강물/자갈, 잣/서리'의 대립적인 상징체계와 색채어를 구사함으로써 기파랑의 고매한 인격을 절대적이고도 초월적인 위치로 까지 형상화 하고 있다. 하늘의 달마저 기파랑을 따르고 싶어하며, 작중 화자는 마음의 가장자리 만이라도 따르고 싶어한다. 즉 기파랑의 고매한 인격을 누구나 따라야 할 이상의 세계로 표현하고 있는 것이다.

 

7. 이 시대의 장르적 특징과 이 작품의 연관성

찬기 파랑가는 시대적으로 불교와 함께 신라정신을 대표하던 화랑사상을 대변한다.

분류상으로 화랑정신을 대표하는 '나라 사랑의 노래', '화랑의 노래', '풍월계의 사뇌가', '서정적 향가'로 연관지어 분류 할 수 있다.

 

* 수행평가의 정확한 포멧을 알 수 없어 정확한 답변이 되었는지 모르겠습니다.

2006.10.26.

  • 채택

    질문자가 채택한 답변입니다.

  • 출처

    한국문학개론, 전공 수업시간에 졸며 주워 들었던 기억

도움이 되었다면 UP 눌러주세요!
UP이 많은 답변일수록 사용자들에게 더 많이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