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AVER

질문 진관사 소장 태극기
달이우스 조회수 2,156 작성일2018.11.26
진관사 소장 태극기에 대해서 자세히 알려주세요.내공 50이요
프로필 사진

답변자님,

정보를 공유해 주세요.

1 개 답변
1번째 답변
프로필 사진
Der Spreewald
절대신
2019 스포츠, 레저 분야 지식인 남성 건설/건축업 #재난지도사 #건축기술자 #조류애조가 새, 조류 3위, 재난재해 1위, 월드컵, 국가대항전 4위 분야에서 활동
본인 입력 포함 정보

2009년 발굴되어 근대문화재(제458호)로 등록된 ‘진관사 소장 태극기


 

  
▲ 일장기 위에 덧그려진 진관사 태극기


서울 은평구 진관사에 있는 태극기는 2009년 진관사 칠성각(서울시 문화재자료 제33호) 해체 복원 조사 중 불단과 기둥 사이에서 발견되었다.


발견된 태극기는 오랜 세월이 흐르면서 색이 변하고 왼쪽 윗부분이 불에 타 약간 손상되었지만 형태가 완벽하게 보존되어 있었다. 크기는 가로 89㎝, 세로 70㎝, 태극의 직경은 32㎝이다. 이 태극기의 4괘는 현재의 국기와 비교하면 리ㆍ감의 위치가 바뀌어 있다. 이는 1942년 대한민국 임시정부 국무위원회가 제정한 국기 양식과 동일하다. 태극은 청ㆍ적색이고, 현재의 국기를 뒤집어 놓은 모습이다. 


‘진관사 태극기’는 1919년 독립운동 현장에 쓰였던 태극기로 보이며 우연히 발견되기 까지 90년이라는 오랜 세월 동안 벽 속에 숨겨져 있었다. 진관사 독립운동 유물의 발견은 일제강점기 불교계의 독립의지와 항일투쟁을 새롭게 재조명하는 계기가 된 것은 물론 애국선열의 숨결이 느껴지는 독립운동사 자료로서 매우 귀중한 유물이다.  


진관사 태극기는 여러 관점에서 의미가 있다. 우선 태극기가 발견 경우는 우리나라 절 가운데 진관사가 현재까지 유일하다. 진관사에서 나온 항일독립운동 신문과 태극기 등 독립운동 관련 자료는 일제강점기 한국불교계 항일운동의 자취를 보여 주는 생생한 자료이다. 특히 절에서도 인적이 드문 칠성각에 비밀스럽게 숨겨놓은 점은 당시 불교계를 중심으로 벌어지던 항일운동이 얼마나 절박하게 전개되었는지를 대변해주고 있다. 

 

또 한 가지 놀라운 사실은 진관사 태극기는 일장기(日章旗) 위에 덧그려졌다는 이다. 이는 일장기를 거부하고 일본에 대한 강한 저항의식을 표현했다는 점에 주목할 만하다. 그 당시 서슬 퍼런 일제 치하에서 일장기 위에 태극기를 그렸다는 점은 참으로 엄청난 담력을 갖고 행한 일이므로 놀랄 만하다.

  
▲ 《독립신문(獨立新聞)》


한편 태극기 속에는 3ㆍ1운동 직후, 국내에서 펴낸 지하신문과, 중국 상하이(上海)에서 간행된 신문이 둘둘 말린 채로 함께 발견되었다.


태극기와 함께 발견된 독립운동 자료 가운데 이번 전시에는 《신대한(新大韓)》 3점, 《독립신문(獨立新聞)》 2점, 《조선독립신문(朝鮮獨立新聞)》 5점, 《자유신종보(自由晨鍾報)》 3점, 〈경고문(警告文)〉 1점이 전시된다.


이들은 모두 태극기와 관련된 내용을 담고 있어서 주목된다. 대한민국임시정부가 상해에서 발행한 《독립신문》제30호에는 시 〈태극기〉가 있고, 제32호에는 태극기의 의미와 제작법을 제시한 〈태극국기신설太極國旗新說〉이 게재되어 진관사 태극기 제작 방식은 이 지침을 따른 것으로 보인다. 


〈경고문〉(1919년 6월)은 3ㆍ1운동 이후 일제의 편에 선 세력들이 벌인 ‘자치운동’ 등에 대하여 엄중히 경고하고, 항일독립운동에 나설 것을 촉구하고 있다. 이 격문의 끝에 실린 ‘만세(萬歲)’를 부르짖는 표어는 태극기가 교차된 그림으로 장식하였는데 진관사 태극기의 4괘와 모양이 동일하다. 그 밖의 신문자료들도 태극기의 도안을 싣고 있거나 태극기 게양에 관한 기사가 실려 있다.  


그렇다면 누가 칠성각의 기둥 사이에 태극기를 숨겨놓았을까? 이 물음에 처음으로 떠오르는 인물이 진관사에서 활동하던 독립운동가 승려 백초월이다. 백초월(白初月, 1878. 2. 17 ~ 1944. 6. 29)은 경남 고성 출신으로 14살에 영원사로 입산, 출가하였다. 3ㆍ1운동이 일어나자 그는 불교계 민족대표인 한용운을 대신해 불교 독립운동을 주도했다.


백초월은 국내와 임시정부를 왕래하던 항일승려들을 진관사에서 만나고, 불교 독립운동을 지도하였다. 그는 진관사와 진관사 마포포교당을 근거지로 삼고, 전국 절을 왕래하면서 항일운동을 펼쳤다.

  
▲ 진관사를 중심으로 독립운동을 했던 백초월 선생

특히 백초월은 진관사에서 보살계 법회를 통해 군자금의 모금, 제2의 3・1운동 추진, 임정의 독립신문과 비밀 지하신문을 배포하였다. 진관사 태극기는 함께 발견된 신문류의 발간일을 놓고 볼 때 그가 진관사를 중심으로 활동하던 1919년 숨겨 놓았던 것으로 추정된다.

 

이와 같은 항일운동으로 인해 그는 일제에게 갖은 고문을 당하여 건강이 악화되었으나, 비밀단체인 '일심회(一心會)'를 결성하고 '한 마음이면 모든 것이 가능하다'는 취지 아래 불교 교리와 민족의식을 전달하는데 힘을 쏟았다. 이후 백초월은 1939년 철도국의 노동자 박수남이 용산역에서 만주로 가는 군용열차에 ‘대한독립만세’를 쓴, 이른바 ‘용산역 낙서사건’의 배후로 일경에 붙잡혀 3년간 구속당했다.  


출옥 후에도 임정에 군자금을 보내다가 체포, 옥고를 치르다 1944년 6월 청주형무소에서 순국하였다. 정부에서는 1990년 백초월의 독립유공을 기려 건국훈장 애국장을 추서하였다.


 

2018.11.26.

  • 채택

    질문자가 채택한 답변입니다.

도움이 되었다면 UP 눌러주세요!
UP이 많은 답변일수록 사용자들에게 더 많이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