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AVER

질문 한강에 있는 식물
hgpa**** 조회수 3,499 작성일2012.09.02

 한강에 있는 식물이 무엇이 있나요?

저 종합장에 10개 적어야 해요. 내일 검사 받아요. 빨리 알려주세요.

알려주면 감사하겠습니다.

프로필 사진

답변자님,

정보를 공유해 주세요.

1 개 답변
1번째 답변
프로필 사진
둔턱이
은하신
원예 74위, 모니터 11위, 컴퓨터, 하드웨어 분야에서 활동
본인 입력 포함 정보

< 한강의 식물 >

 

한강변과 그 지천에서 조사된 식물상은 총 112과 689종류이다

수생관속식물은 침수식물 11종류, 부유식물 5종류, 부엽식물 4종류, 정수식물 21종류 및 습지식물 55종류로 총 100 종류이었다. 수생관속식물의 분포는 하변식생의 보존상태와 깊은 관계가 있는데, 조사구역 중 경안천하구, 미금시 수석동, 밤섬은 수생관속식물이 비교적 잘 보존되고 있었다. 그러나 여의도 샛강은 생태공원, 운동장 및 주차장의 조성으로 수생관속식물과 습지식물이 대부분 훼손되었다. 

가. 경안천 구역
이 조사 구역은 경안천 하구인 광주군 남종면 무술리 수중보-광동리 사이의 팔당호 습지와 주변산지가 포함된다. 경안천은 용인에서 발원하여 광주를 지나 팔당호로 유입하는 지천이다. 이 구역의 식물상은 83과 256종류이고 경안천하구(광동리)에는 팔당호의 일정한 수위 때문에 습지가 형성되어 수생관속식물이 53종류나 생육하고 있다. 침수식물은 검정말, 붕어마름, 말즘, 새우가래, 대가래, 말, 가는가래 등 10종류가 분포하는데, 특히 검정말과 붕어마름이 넓은 면적에 분포한다. 부유식물은 생이가래, 개구리밥 및 좀개구리밥의 3종류 중 생이가래가 가장 많이 출현하고, 정수식물은 줄, 애기부들, 세모고랭이, 큰고랭이, 갈대 등 17종류가 순군락을 형성하며 습지식물 22종류가 분포하여 종다양성이 조사 구역 중에서 가장 높다.

나. 왕숙천 구역
이 구역은 팔당댐과 광동교 사이로 팔당댐에 인접한 검단산 (650M)과 예봉산(679M) 및 아차산 (285M)이 포함되어 식물상이 풍부하다. 이 지역의 육상식물은 102과 529종류가 출현하여 조사구역 중에서 가장 많은 종류가 기록되고 있다. 그 원인은 600M 이상되는 2개의 산(검단산과 예봉산)과 생육지 환경이 다양하기 때문이다.
수생관속식물은 왕숙천과 수석동(미금시)이 포함되어 침수식물인 말즘과 말의 2종류, 부유식물인 좀개구리밥, 부엽식물인 마름, 정수식물인 줄, 애기부들, 보풀 등 11종류, 습지식물인 버드나무, 물쑥, 미국가막사리, 고마리, 물억새 등 40종류, 총 55종류가 분포하고 있다.

다. 탄천구역
이 구역은 광동교와 탄천 사이이며 성내천, 탄천, 뚝섬과 잠실 한강시민공원이 포함된다. 육상식물은 51과 198종류가, 수생식물은 하천의 제방, 둔치 유수지에 자생하는 침수식물인 검정말과 말즘의 2종류, 부엽식물인 가래, 정수식물인 달뿌리풀, 물고랭이 및 미나리의 3종류, 습지식물인 고마리, 여뀌, 소리쟁이, 가락지나물, 개똥쑥, 미국가막사리 등 25종류, 총 31종류가 생육하고 있다.

뚝섬과 잠실 한강시민공원에 조성된 잔디밭에는 질경이, 개갓냉이, 돼지풀, 개망초, 왕바랭이, 명아주, 토끼풀, 방가지똥, 참새귀리, 개피 등이 침입하고 있다.

목본식물은 강변도로와 시민공원에 식재한 꽃병꽃나무, 족제비싸리, 개나리, 쥐똥나무, 무궁화, 수양버들, 은사시나무, 느티나무, 버즘나무 등이 경관을 유지하고 있다.

라. 중랑천 구역
이 구역은 탄천-동작대교 사이이며 뚝섬 한강시민공원의 일부와 반포시민공원 및 큰매봉을 포함한다. 식물상은 41과 128종류로 빈약하다. 중랑천의 수생식물은 정수식물인 달뿌리풀, 미나리의 2종류, 습지식물인 물억새, 산괭이사초, 닭의장풀, 소리쟁이, 여뀌 등 8종류, 총 12종류가 생육하고, 중랑천 둔치에는 교란지의 대표적인 식물인 환삼덩굴, 돼지풀, 쑥 등이 우점하고 있다. 반포 한강시민공원에는 잔디밭, 농작물(유채, 해바라기 등)을 계절에 맞추어 식재하고, 아름다운 화단이 가꾸어져 있다. 반포동의 올림픽대로 사이에는 5그루의 느티나무 노거수 (마을나무)가 보존되어 있다. 도로변에는 개나리, 꽃병꽃나무, 족제비싸리, 은사시나무, 버즘나무, 아까시나무가 보호되어 있고, 큰매봉에는 개나리와 아까시나무가 조림되어 있다.


마. 노들섬-여의도 구역
이 구역은 동작대교-양화대교 사이의 반포와 여의도 한강시민공원 및 여의도 샛강을 포함한다. 이 구역의 육상식물은 46과 165종류로, 수생식물은 침수식물인 말즘과 가는가래의 2종류, 부엽식물인 가래와 정수식물인 줄과 쇠털골의 2종류, 습지식물인 물억새, 산괭이사초, 닭의장풀, 비녀골풀, 참소리쟁이 등 20종류, 총 25종류가 생육하고 있다. 여의도 한강시민공원은 서양식화단 설계에 따라 화훼식물이 아름답게 배치되고 있는데 잔디밭에는 토끼풀, 수크렁, 개소스랑개비, 매듭풀, 개망초, 다닥냉이 등의 인가식물(人家植物)이 침입하고 있다. 공원 주변의 강뚝에는 왕벚나무, 계수나무, 느티나무, 아까시나무, 가죽나무, 쥐똥나무, 개나리 등이 식재되어 경관을 유지하고 있다. 노들섬에는 자연식생이 없고 버즘나무, 버드나무 등 가로수가 식재되어 있다. 여의도 샛강은 주차장과 생태공원 및 운동장을 조성하여 자연식생이 훼손되었다. 금번의 식물종류수(165종류)가 지난번(173종류)보다 8종류가 감소되었는데 그 원인은 여의도 샛강의 주차장과 생태공원 조성에 있다. 특히 샛강에 분포하고 있었던 질경이택사, 줄, 달뿌리풀, 세모고랭이, 큰고랭이와 같은 수생관속식물과 꽃창포, 갯버들, 눈갯버들과 같은 습지식물이 금번 조사에서 관찰되지 않았다.

바. 불광천-난지도 구역
이 구역은 양화대교와 고양시 대덕산(126.8km) 사이의 한강 북안(北岸)이며 불광천과 난지도를 포함한다. 육상식물은 31과 126종류이며, 불광천에는 습지식물인 갈대, 달뿌리풀, 소리쟁이, 물억새, 개구리자리, 사철쑥 등 8종류가 생육하고, 하변에 환삼덩굴, 개소시랑개비, 바랭이, 돌피, 여귀, 매듭풀 등의 교란지식물이 무성하게 생육하고 있다. 1994년에는 난지도에 식생이 거의 없었는데 금번에 난지도 주변의 법면(法面)에 아까시나무와 버드나무가 무성하게 생육하고, 상면(上面)에 1년생의 교란지식물이 침입하고 있어, 이 구역의 식물종은 1994년의 53종에서 126종으로 증가하였다. 난지도 상면의 쓰레기장 곳곳에 박아 놓은 파이프에서 황화수소의 악취가 풍기며 그 주변에는 식물이 자라지 못하고 있다.

사. 안양천 구역
이 구역은 양화대교와 강서구 가양동 궁산 사이의 한강 남안(南岸)으로 안양천, 증산 및 궁산이 포함된다. 육상식물은 29과 91종류로 조사구간 중에서 다양성이 가장 적었다. 안양천에는 습지식물인 사마귀풀, 참소리쟁이, 개구리자리 등 6종이 생육하고 있다. 하변의 법면에 끼워 놓은 콘크리트블럭 틈 사이에 개망초, 여귀, 마디풀, 토끼풀, 명아주, 소비름 등 인가식물이 생육하고 있다.

아. 창릉천-행주산성 구역
이 구역은 강서구 궁산(또는 고양시 대덕산)과 김포군 고촌면 신곡 수중보 사이로 창릉천, 덕양산(행주산성), 개화산 및 고촌면의 넓은 평야가 포함된다. 생육환경이 다양하므로 식물상은 72과 258종류가 출현하였다. 덕양산(124.8m)은 공원화되어 있고, 남사면의 절벽식생은 한강수에 맞닿아서 빼어난 자연경관을 이루므로 식물종이 비교적 많은 편이다. 개화산(128.4m)은 리기다소나무, 버드나무 및 아까시나무가 생육하고, 신곡리의 구릉지에는 아까시나무, 상수리나무 및 리기다소나무가 생육하여 사람이 들어가지 못하므로 종수가 비교적 많은 편이다. 창릉천의 수생식물은 정수식물인 줄, 달뿌리풀, 송이고랭이의 3종류가, 습지식물인 사마귀풀, 푸른갯골풀, 참소리쟁이, 소리쟁이, 고마리 등 9종류가 생육한다.

자. 밤섬 구역
밤섬은 여의도와 서대문구 신정동 사이에 위치하며 한강이 범람할 때마다 침수되어 식생이 주기적으로 교란되는 2개의 섬이다. 식물상은 47과 228종류로 구성되며, 수생식물은 침수식물인 말즘, 부유식물인 생이가래, 정수식물인 애기부들, 택사, 줄, 갈대, 솔방울고랭이, 송이고랭이, 물달개비등 13종류, 습지식물인 물억새, 물쑥, 개똥쑥, 부처꽃, 여귀바늘, 낙지다리 등 39종류, 총 54종류가 생육하고 있다. 1994년 조사(189종류)보다 금번 조사(228종류)에서 39종류가 증가한 이유는 홍수 때마다 상류에서 종자가 운반되어 새 종류가 보충되고, 귀화식물이 정착하고, 섬의 하류부에 퇴적작용이 일어나서 육지화되어 다양한 식물이 생육하기 때문이다. 

2012.09.02.

  • 채택

    질문자가 채택한 답변입니다.

  • 출처

    네이버 오픈백과 martcard님의 글에서 정리

도움이 되었다면 UP 눌러주세요!
UP이 많은 답변일수록 사용자들에게 더 많이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