갑돌이와 갑순이

1 개요

대한민국의 구전 민요를 바탕으로 한 가요인 온돌야화[1]를 김부해가 편곡하고, 김세레나가 불렀다.

민요 전문 가수인 김세레나의 간드러지는 목소리가 빛을 발한 곡으로, 발표 당시 시대를 풍미한 것은 물론, 2010년대인 지금에도 초등학교 운동회나 장터 등에서 꾸준히 들리는 명곡이다.

2 가사

1. 갑돌이와 갑순이는 한마을에 살았드래요
둘이는 서로 서로 사랑을 했드래요
그러나 둘이는 마음뿐이래요
겉으로는 음음음 모르는척 했드래요

2. 그러다가 갑순이는 시집을 갔드래요
시집간 날 첫날밤에 한없이 울었드래요
갑순이 마음은 갑돌이뿐이래요
겉으로는 음음음 안그런 척 했드래요

3. 갑돌이도 화가 나서 장가를 갔드래요
장가간 날 첫날밤에 달 보고 울었드래요
갑돌이 마음은 갑순이 뿐이래요
겉으로는 음음음 고까지것 했드래요

3 비평

단순히 보면 히트한 민요 정도로만 보이지만, 이 노래야말로 츤데레가 일으키는 최대의 비극을 그리고 있는 노래다.

가사를 훑어보면, 한 마을에 사는 갑남을녀 두명은 서로 좋아하는 사이임을 알 수 있는데, 문제는 둘이 서로를 좋아는 하지만, 겉으로는 내색을 않고 되려 ‘모르는 척’, ‘고까짓 것’하면서 틱틱대는 태도를 보인다는 점이다.

마음이야 서로 좋아하건만 당시 순진한 처녀총각들은 이를 제대로 표현하지를 못하고 되려 퉁박을 주거나 데면데면하게 굴기 일쑤였을텐데, 노래를 듣는 청자들은 둘이 서로에게 마음이 있는 것을 쉬이 알 수 있지만, 노래 속 두 남녀와 동네사람들, 혹은 둘의 부모는 이들이 서로 마음이 있다는 점을 알 수가 없었을 터, 한동네 살면서 서로 좋아하던 남녀가 서로 제각각 다른 사람과 결혼하는 일이 벌어진 것이다.

헌데 이 둘은 첫날밤에 서로 보고싶어서 울어제낄지언정 끝까지 표현을 하지 않았으니, 제대로 이루어 질 수 있을리가 있나... 이것이야말로 츤데레가 현실에 존재할 경우 가장 높은 확률로 맞이하는 결말이라고 할 수 있겠다. 잠깐, 눈물 좀 닦고
  1. 남자 이름은 갑돌이가 아니라 박돌이다.